z01.jpg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마이크로닉스 MANIC HS-300 Virtual 7.1CH RGB LED 헤드셋으로 현재 다나와 최저가는 18,490원이고, 오픈마켓 최저가로는 19,800원으로 나와 있습니다.

 

z02.jpg

마이크로닉스 MANIC HS-300 Virtual 7.1CH RGB LED 헤드셋은 50mm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였으며 주파수 대역폭은 20Hz~20KHz이며, 음압감도는 108±3dB, 임피던스 = 저항값은 21Ω+10% 입니다. 이어패드 재질은 인조 가죽 에어쿠션 소재로 되어 있고, 헤드밴드는 수동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일체형 고감도 마이크를 탑재하였고, USB 인터페이스를 지닌 PC 가상 7.1채널 헤드셋 입니다.

특히 가상 7.1 채널을 지원하면서 가격대가 2만원이 채 되지 않는 점이 놀랍습니다. 

 

아래 사진은 제품이 도착한 상태입니다.

에어캡 완충재로 잘 감싸져서 도착하였고, 뒷면에 1300K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런 건 처음 접해보네요~

마이크로닉스 체험단은 생각해보니, 올해엔 이 제품이 처음이군요. 이전에 마지막으로 했던 체험단 필테가 작년이었는데 작년까진 체험단 제품은 무료배송으로 왔었는데, 이번엔 착불로 왔습니다.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착불로 변경이 된 듯 하네요... 착불로 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1528022564_966943d6c751a50689a0a0d57715c

제품 박스 전면엔 제품의 디자인 그림이 들어있고 7.1채널 지원, LED 라이트, 마이크로폰, USB 인터페이스 라는 주요 특징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제품 박스 후면엔 헤드셋 각 부위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고 하단쪽엔 한미마이크로닉스의 회사 주소, 홈페이지 주소, A/S 센터 주소와 전화번호, 운영시간에 대해 기재되어 있네요.

 

좌-우 측면에는 제품의 주요 특징과 상세한 스펙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1528022580_24466f8b4dadeb4791d43587a6d8d

제품 박스 바닥면에 시리얼 넘버 표시가 들어 있고, 상단의 개봉 부위에 봉인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제품 박스를 개봉해보면, 헤드셋 본체와 제품 보증서 한 장이 들어 있는데, 

1528022591_9d0644ea1c4a3aeb8f4869e93961f

앞뒤가 똑같은 전화번호~!가 아니라 앞뒤가 똑같은 제품 보증서에는 유상 무상 서비스 기준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습니다.

 

헤드셋은 전체적으로 블랙 색상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헤드밴드 윗 부분 금속 재질로 메탈 밴드 브릿지는 이물질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비닐 커버로 덮여 있네요. 

1528022600_a1a95a7f5915dafb091c6271c7907

헤드셋 하단쪽에 볼륨 조절 컨트롤 버튼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어셋 좌-우의 하우징은 유광 처리된 플라스틱 재질로 보이는 소재로 되어 있는데 한 가운데 마이크로닉스 로고가 들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LED가 투영됩니다. 헤드셋 좌-우의 하우징에 각각 L과 R이라는 좌-우 구분 표시가 들어가 있습니다.

1528022608_7fbad1e4694288cbf961264d59f70

그리고 인조가죽 재질의 소프트 타입 이어패드는 지나치게 두껍지도 않고 얇지도 않은 적당한 수준으로 되어 있고, 고감도 MIC는 플렉시블 타입이 아닌 일체형 MIC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MIC 형태를 보고 다소 놀란 감이 있네요. 아무래도 최대한의 가성비를 뽑아내기 위해서 진동 기능은 부여하지 않고(아무래도 진동 기능까지 들어가게 되면 가격대가 보다 상승하게 되는 듯 합니다.), MIC 형태도 간결하게 제작한 듯한 느낌이 듭니다.

 

헤드밴드 역시 소프트 타입 쿠션이 부착되어 있으며, 두상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납니다.

헤드밴드 윗 부분엔 마이크로닉스 로고가 박혀 있네요~

1528022618_62d07d08391edd5bdedf5313c7556

볼륨 조절 버튼이 헤드셋 하단 쪽에 들어있는 만큼 케이블 쪽에 별도의 리모컨은 달려 있지 않습니다. 연결 케이블은 선 꼬임 방지 기능에 노이즈 필터가 달려 있으며 USB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습니다.

 

두상과 비슷한 디자인의 헤드셋 거치대에 헤드셋을 장착한 모습입니다. 

실제 착용해보니 이어패드의 두께는 적당한 편이었고, 이어패드의 밀폐력 = 차음성은 준수한 편이었습니다. 그리고 장시간 헤드셋을 착용하여도 머리에 주는 부담감이 적은 편이었습니다.

1528022627_d4c899d735b6ea26fa48b8f8a2d7f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전엔 분명히 헤드셋 좌-우의 하우징 부분에 구현되는 LED가 좌-우 동일한 색상이 나왔었는데,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후에 살펴보니, 좌-우의 하우징 부분에 구현되는 RGB LED 컬러가 왼쪽과 오른쪽에 서로 다른 컬러가 구현되네요.

 

다음으로 소프트웨어의 설치와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한미마이크로닉스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고객 지원 - 제품자료실 탭으로 들어가보면 손쉽게 전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micronics.co.kr

1528022638_8ae70759d699b7dd93271c150ce7a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설치해보면 한글을 지원함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면, 하단쪽에 이퀄라이저 - 음향 설정 - 마이크 - 7.1채널 설정이라는 4가지 메뉴가 있는데,

 

첫 번째, 이퀄라이저 탭에 들어가보면, 이퀄라이저 설정 변경과 4개의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음향 설정 탭에 들어가보면, 극장 - 욕실 - 거실 - 복도 라는 네 종류의 장소에서 사운드를 듣는 듯한 음향 효과를 제공합니다.

1528022647_f7729963c5e9a6f4d27b1ff57bdf5

세 번째 MIC 메뉴에서 MIC 감도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네 번째 7.1채널 설정 메뉴에서 가상 7.1채널 활성화를 시킬 수 있습니다.

7.1 채널의 사운드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좌-우의 입체적인 음향이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하는 현상이 회전에 의해 반복하게 되는 효과도 제공해줍니다.

 

마이크로닉스 MANIC HS-300 Virtual 7.1CH RGB LED 헤드셋을 착용하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감상해보고, 여러 가지 게임을 실행해보았습니다.

z12.jpg

중저음이 잘 표현되어 있고, 각종 관현악기, 타악기와 같은 악기 연주 소리도 생생하게 잘 전달이 되더군요. 고음 부분 역시 선명하게 잘 들리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녹음 프로그램으로 목소리를 녹음해서 확인해본 결과 MIC의 감도도 선명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헤드셋 좌-우 하우징에 구현되는 RGB LED 효과는 LED 색상이 상당히 선명하게 구현되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제품 DB 페이지 상에는 빨-주-녹-하-파-보 로 나와 있는데,

실제로 확인해보니 빨강-그린-파랑-노랑-하늘색-보라-흰색의 순서로 구현되더군요.

z13.jpg

플래시 ON 상태로 촬영해도 사진상에 LED가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마이크로닉스 MANIC HS-300 Virtual 7.1CH RGB LED 헤드셋은 RGB LED 효과로 시선을 사로잡으며, 상당히 선명한 색상의 LED를 구현해주는 점이 인상적인 제품이었습니다.

가상 7.1채널을 지원하여 입체적인 사운드 효과로 인해 음감용이나 영화 감상에 있어서는 상당히 실감나는 효과와 작품 속으로의 몰입감을 선사해준다고 생각되고, 보다 실감나는 음질과 가상 7.1 채널 지원으로 증폭되어 좀더 깊이감 있는 사운드 효과로 음악 감상이나 게임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보다 실감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리라 생각됩니다. MIC의 감도 역시 상당히 선명한 편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스테레오 헤드셋도 아닌 가상 7.1 채널을 지원하고, 더불어 RGB LED 효과까지 구현되어있음에도 2만원도 채 되지 않는 가격대라는 점에서 무척이나 우수한 가성비를 지닌 게이밍 헤드셋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상으로 필드테스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체험단으로 선정해주신 한미마이크로닉스에 감사드리며, 이 글을 읽어주시는 인벤의 모든 회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체험기는 (주)한미마이크로닉스와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zz_bg_tag_banner.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