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2016년부터 최근 출시되는 SSD 대부분이 TLC 3D 낸드가 적용된 제품들이 많습니다.

TLC에 대한 이미지덕분에 초창기 TLC 3D 낸드 플래쉬가 적용된 제품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았지만, 1~2년 사이에 많은 다수의 제품에 사용되는 만큼 안좋은 시선도 많이

희석되었습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스펙 (MX300과 변화점)


1. 3년 보증 - > 5년 보증

2. 4K 랜덤 읽기 속도 70% 증가, 쓰기는 10% 증가

2. 32단 3D TLC - > 64단 3D TLC 

3. 마벨 88SS1074 컨트롤러 -> 실리콘 모션 SM2258 컨트롤러

4. 내구성 3만 시간 증가

5. 토탈 쓰기 용량 20TB 증가, 내구성 증가

6. 18년 06월 기준 약 2만원이 더 저렴함


쓰기 속도 560, 읽기속도 510으로 기존 MX300보다 향상된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4K 랜덤 속도가 증가한 점이 특징입니다. 실리콘 모션의 SM2258 컨트롤러가를

사용하였으며, MX300이 3년 보증이었다면, 이번에 MX500은 2년 더 늘어난 5년의 

보증기간을 갖고 있으며, 그만큼 내구성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개봉 및 외형


 아스크텍 정품을 알려주는 정품 확인 스티커가 부착되어있으며, 마이크론을 상징하는

어두운 파랑색과 흰색 조합의 깔끔한 패키지박스입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장착


벤치마크 시스템 이미지 참고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벤치마크 


▷벤치마크 결과 요약, MX300과 비교 (1GB 기준)




 Seq Q32T1 항목은 SSD의 랜덤 읽기, 쓰기를 알아 볼 수 있는 지표이며, 4K Q32T1는 4K 랜덤 쓰기, 읽기 성능 지표입니다. 4K는 OS 운영체제에 가장 작은 단위 분할이라고 하네요. 


 MX300은 용량이 70% 수준에서 테스트하여 0%일때 보다 약 1~30MB/s의 성능 오차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MX500의 4K 랜덤 읽기, 쓰기 속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제조사에서 언급한 4K 랜덤 읽기는 상당히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게임 및 윈도우 로딩


 도시바 2테라 HDD, 7200RPM과 게임 로딩 및 윈도우 부팅 시간 비교하였습니다.

윈도 부팅 시간은 50% 가량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게임 로딩 시간은

20~30% 빨리져서 HDD에서 넘어온다면 충분히 체감되는 차이를 보여줍니다.

오픈 월드 인기 게임 배틀그라운드에서도 확실히 빨라진 로딩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게임 플레이 및 로딩 시간 영상



 오버워치, 워쳐3 등 게임을 장시간 즐겨봤으며, 별다른 프레임 드랍 없었습니다.

HDD 사용 할때보다 빨라진 로딩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소프트웨어


 네이밍 브랜드 SSD 전용 소프트웨어를 지원하여 SSD를 최적화해주는데,

마이크론도 역시 전용 툴을 갖고 있습니다. 저장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온도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램의 일부를 캐시로 활용하는 모멤텀 캐시를 사용하면

전체적인 벤치마크 결과값이 최대 10배까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론 Crucial MX500 총평


 최신 기술인 64단 3D TLC를 적용한 제품으로 이전 MX300 보다 더욱 더 4K 랜덤 속도가

빨라졌으며, 제조사 스펙 기준 내구성이 강화되었습니다. 기존에 제품도 가성비가 좋았지만,

마이크론 하면 가성비 SSD의 대명사란 브랜드 답게 이번 MX500도 가성비 좋다고 봅니다.



▷ 64단 3D TLC 낸드

3D TLC란 단어를 정말 많이 보셨을 겁니다. 최근 TLC SSD 대부분이 3D TLC 낸드 플래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은 MLC가 적용되어서 가성비, 성능 두루두루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았던 전 세대에서

MX300에서 TLC 3D 낸드를 적용 후 MX500까지 3D 낸드 64단까지 적용된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기존에 수평방식의 구조에서 수직구조로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최근 글로벌 업체 대부분이 

이런 방식의 TLC 낸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 2D 수평 방식보다 개선된 전력소모와 내구성을 갖고 있습니다.


마벨컨트롤러에서 실리콘 컨트롤러로 변경하여 많은 소비자들이 우려한 부분이지만, 벤치마크를

통한 성능 결과값은 준수하였으며, 5년 보장 A/S인 만큼 더 믿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년에 250GB SSD 가격이 10만원 초반대였으나, 요즘은 8~9만원으로 상당히 저렴해졌습니다.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오픈월드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라면, SSD가 필수 아이템이며, HDD 에서

SSD로 업그레이드를 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할만한 아이템입니다.


'이 사용기는 쿨엔조이를 통하여 아스크텍에서 제품을 제공받아서, 자유롭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