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지2 인벤

리니지2 인벤

로그인하고
출석보상 받으세요!

 

도미네이터 스킬인챈 및 올림 팁

안녕들하세요 인벤가입인사 겸 모두 아실만한 글 올려요^^

가입인사차 린2홈페이지 이벤트때 적었던 글을 올려요^^

활력음료와 세련된 천사링 준다길래 적었던 글이네요>.<

모두가 천사링이 오크와 어울리지 않는다지만!! 제눈에는 멋지고 이쁜 오크거든요^^

쓴지 오래된 글이라 바뀐점도 있겠지만 기본적인 맥락은 비슷하리라 보고 올리니

틀린 점이나 잘못된 정보가 있다하더라도 너그러히 이해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전장을 지배하는 카리스마의 도미네이터. 모두 화이팅 입니다^^

 

도미네이터 스킬인첸--------------

 

1. 자신의 서버명, 클래스, 캐릭터 레벨, 캐릭터명

 

  페이샤르, 도미네이터, 85,  불꽃이되어

 

2. 스킬 강화 시 유용한 스킬과 강화 루트, 추천 강화 수치

 

  도미네이터는 직업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저주스킬, 버프, 패시브에 인챈루트 또한 다양하다

 

  우선 액티브를 살펴보면 cp회복을 위한 스킬 두 가지가 있다

  혈맹원 모두의 씨피를 채우는 오너, 한 명의 씨피를 채우는 리튜얼

  두가지 모두 10~15정도면 무난할듯하다 더 올릴수록 좋은 것은 당연하지만, 들어가는 돈에 비해

  그 효과는 미비하다. 파워와 코스트의 선택의 기로.. 올림이나 쟁/공성/영지전을 위한 스킬이기 때문에

  사용빈도와 그 효율성을 비교해보아야한다. 오너의 경우는 교전시 거의 딜마다 사용하는 스킬이다.

  엠소모량이 크기때문에 코스트인첸이 효율적이라 할 수 있겠지만, 대규모 교전의 경우 엠오링전에

  서브라임을 받거나 리차를 받기에 파워도 좋다. 15파워일경우 738의 cp가 회복된다. 그러나 코스트일경우

  약 50?정도 적은 회복양이지만 30정도 적은 엠소모로 보다 엠운용이 탁월하다.

  같은 엠피로 오너만 한다면 엠감소의 코스트인첸이 파워보다 많은 횟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결론적으로 보다

  많은 cp를 회복시킬 수 있다.

  cp50이 아쉬운 때도 있을테고 엠피 30이 아쉬울때도 있을 것이다. 항상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에 무엇이

  보다 효율적인 인첸루트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주력공격이라 할 수있는 에쎈스 높을수록 좋다. 올림에선 25~30을 추천하겠지만 올림아닌 쟁을

  생각한다면 에센스 한 번보단 그 엠으로 오너 한 번, 저주한번 더 하는게 낫다고 생각한다.

  10이상이면 무리없다.

 

  hp를 회복하는 하트는 파워보단 코스트인챈을 추천한다. 쟁에서는 일반적으로 하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사냥용으로 볼 수 있는데, 파워인챈으로 지효성회복량 약간 더 올리는 것보다

  코스트인챈으로 즉효성힐량을 노려 여러번 시전함이 효율적이다.

  파워인첸시 즉효성힐량의 증가는 없으며 지효성힐량증가도 극히 미비하다

  즉효성힐로 체인힐이 생겼기에 하트의 효율성은 좀 더 낮아졌지만, 수정값이 많이 내려간 요즘.

  특히 쟁에서의 하트 사용빈도가 전보다는 높아졌다. 높은속작으로 속성버프를 받지않아 전보다

  버프칸에 여유가 생겨서 일정범위내의 혈맹원 모두의 hp를 즉효성+지효성으로 꾸준히 채워주기에

  좋은 회복스킬임에 틀림없다. 올림에서의 활용빈도 또한 높은편이다.

 

  버프류의 인챈을 보자. 팟/혈맹을 위한 버프이기때문에 소모엠피량이 상당히 크다.

  그렇기 때문에 코스트인챈 10정도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올림에서 특히 좋다.

  빅토리/피스트/앰블럼 빅은 시간보단 답답함을 덜어줄 수 있는 디크리즈패널티로 15, 피스트10파워이상을

  권한다. 엠블럼은 개인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올림때는 사용하니 타임인챈으로 10~15를 한다.

  교전에 있어 엠블럼과 아케인프로텍션의 효율성에 관해 명확한 결론이 없어 올림으로 국한했다.

 

  악화스킬을 보자. 상당히 많은 종류의 디버프가 있으므로 주력을 추려 인챈을 해야한다.

  필자는 서스팬션, 블럭게이트,디스페어,사일런스,피어를 주력으로 뽑아 30/15/15/20~30 인챈을 추천한다.

  사일과 피어는 정통! 정신공격이다. 걸렸을경우 교전이나 올림에서 모두 치명적이므로

  20이상 30을 목표로 달려보자.

  그외 보조저주로 윈터, 디지즈,  드리밍(올림)을 10~15정도씩 추천한다.

  이유는 윈터는 스킬렙이 낮아도 어느정도 잘걸리는 공속저하 저주로, 그효과가 빛을 보려면

  격수/궁수/가무에게 걸어야하기때문에 낮은 인챈수치(비전서로만 가능할 정도)를 추천한다

  많은 종류의 디버프가 있지만, 서스/블럭/디스페어/윈터/디지즈/사일/드리밍/피어 정도로 인챈을

  권한이유는 올림때야 이것저것 써볼 수 있지만, 교전을하게되면 리미트,서스,윈터,디스페어,블럭게이트,사일,피어

  정도면 딜이 다시오고도 남기때문에 걸렸을때 치명적인 것만으로 추린것이다.

  숙련/sp에 부족함을 전혀 느끼지 않는 유저라면 보조격 저주를 숙련쓰며 좀더 인챈해도 무방하다~

 

   토글형 스킬을 보자. 공격력의 소울크라이, 방어력의 소울가드, 그리고 아케인.. 대부분 사냥이나 교전시

   켜놓고 사는 스킬들이다. 10~15정도씩 하자~ 돈과 sp가 정말 많다면? 그돈 다른곳에 쓰길바란다.

   숙련써가며 인챈해서 효과가 눈에 띄게 늘어나는 스킬들이 아니다 ...

 

   패시브를 살펴보자.

   로브마스터리 에디셔널마인드(마방)으로 20이상.. 30을 목표로 가길 바란다.

   디바인로어 이는 엠소모감소로 11인챈하면 7%정도 감소했던것으로 기억한다. 15인첸하자.

   위즈덤.. 당연 정신루트로 15추천한다

   그외 터프니스, 패스트스팰캐스팅, 헬스, 안티매직, 패스트마나리커버리 등등은 비전서로 할 수 있는

   10~15정도만 추천한다. 

 

  짧게 정리해보자면 도미네이터는 엠소모가 심한 디버퍼이기 때문에 유저의 플레이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으나 디버프류는 챈스, 버프/회복계열은 코스트인첸이 보다 효율적이다.

 

 

3. 나만의 스킬 강화 노하우

     액티브스킬의 경우 인챈중 한두번씩 써주고 인챈하면 느낌상이겠지만, 좀 더 뜨는 느낌이 든다.

     사람 많은곳보다는 역시 적은 곳. 사냥중일때는 왠만함 말리고 싶다.

     루운마을 또한 별로인듯하고 몽환 남방옆 벽보고 하면 제법 떠준다.요즘은 아지트구석을 애용한다.

     뭐 개인적인 편차가 크겠지만, 필자는 그렇다

 

4. 그 외 도움이 될만한 팁과 주의사항

 

  

  스킬인챈은 몇렙에 하던 몇까지하던. 확률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필자는 80~84렙에 숙련 12권으로 빅 12, 85때 4권 더써서 15를 만들었지만,

   아는 동생은 84렙에 숙련 4권으로 15, 아는형님은 83때 5~6권으로 15를 만들었다.

   만렙이전에 스킬인챈을 한다면 비전서로만 띄울 수 있는 만큼만 하길 바란다.

   숙련써서 1더 올린다고 확~달라지는 스킬은 하나도 없다.

   어차피 렙오르고 85되면 3차스킬 비전서로 12까진 몇번하면 뜬다.

   2차스킬은.. 뭐 답이 없다.. 밑빠진 독이다.. 12~15까지 비전서로 띄웠다면 그때부턴

   숙련으로 하길 바란다. 비전서로 1더 올리려다 깨지면 숙련 몇권쓸만큼 돈써야 겨우 복구된다.

   명심하자.스킬인챈은 최고97%의 성공확률이 있다면 최저3%라는 실패확률도 공존하는애매한 주사위니,

   어느정도 수치가 되면 숙련쓰자..

 

<린2홈피 발췌 레벨별 스킬강화 확률>

1차 스킬의 레벨/단계별 스킬 강화 성공 확률

 

 

2차 스킬의 레벨/단계별 스킬 강화 성공 확률

 

 

 

 

 

 

 

 

 

 

 

 

 

 

 

 

 

5. 마치는 글

   필자가 쓴글의 인챈수치나 루트, 종류는 올림영웅할 것도 아니고 쟁에서 최고가 되기 위함도 아니다

   어느정도 올림과 쟁에 있어 기본적인 혹은 보통은 되겠지하는 마음으로 다가가고있는 수치를 적은 것이니

   인챈이 왜 그렇게 낮냐? 혹은 그만큼 인챈할 돈이 어딨냐?는 댓글은 달지 마세요

   여린 오크 상처받습니다

http://power.plaync.co.kr/exe/ln2/doc.php?doc_no=40888&forum_no=3921&page=

 

 

도미네이터 올림팁-------------------------------------

 

1. 자신의 서버명, 클래스, 캐릭터 레벨, 캐릭터명

    페이샤르서버 . 도미네이터. 85레벨. 불꽃이되어

 

2. 나만의 그랜드 올림피아드 승리 전략

    - 승리를 위한 캐릭터 세팅 및 준비물

        기본적인 준비물을 살펴보자.

        스턴방어를 위한 버페스or베스페르or아르로브셋

        마비방어를 위한 데스티노 로브셋

        프린or프레야or올림목걸이. 자켄or올림귀걸이,기란.아덴정도의 영지마방

        (발라,안타,바반은 너무 고가이기때문에 없다고 설정해놓습니다. 올림악세,영지마방도 충분히 훌륭하지 않은가.)

        탈리스만 -가호.엠대폭감소.생명력.마법침묵해제.이속.마속.크리데미지감소, 버프훔치기  등

        업다운이나 마나업무기. 맨탈용헬나이프.

        문신 - 위트4/멘-4, 콘4/힘-4, 덱스4/힘-4  or  위트5/멘-5, 콘4/힘-4

 

     - 하이파이브 신규 스킬을 이용한 전투 방법

       도미네이터의 신규스킬은 체인힐!

       /타겟 내아이디

       /지연 0

       /스킬 체인힐  매클이 효율적입니다

       즉효성 힐이 아쉬웠던 도미에게 상당히 좋은 스킬입니다. 단검의 인킬시 특히 좋습니다.

       엠소모가 많다는 점을 염두해두고 필요한 경우만 사용합시다.

 

     - 신규 일일 퀘스트 활용 방법

        도미네이터는 비교적 승률이 좋은 클레스입니다. 모든퀘를 받고 연승도전에 있어 5나 10연승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나~ 10연승도 좋지만 5연승을 목표로 1일 5판씩 1주일에 나눠서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10연승코앞에서 좌절한 경우가 적지만은 않네요;

        1일 5판or10판을 채우는것은 일일퀘보상을 그때 받을 수 있기때문이며, 보상으로 받게되는 상자에서

        350개씩의 토큰이 나오니 1달이면 4~5만개의 토큰을 올림퀘만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토큰외에도 원본, 올림악세사리, 용순체도 얻을 수 있으니 올림신청전에 필히 퀘를 받읍시다.

 

     - 경기장 특징에 따른 행동요령

        장애물경기장의 숨을 곳!이 생겼습니다.탱얼터.위자엔라,아케인쉴드, 트릭의 프라흐 등등 시간을 소모시켜야할

        경우 좋은 보호막이 되어 줍니다. 종류에 따라 장애물사이로 에센스도 가능하니 경험을 넓힙시다.

       

올림피아드 스타디움

세 갈래 길

영웅의 흔적

오르비스 원형 투기장

                              -출처-홈페이지

      세갈래의 길 - 두 장애물중 한쪽. 쇠사슬이 끊어져있는 장애물이 있다. 이곳은 마법공격이 가능함을 알아둡시다.

                           돌면서 사슬이 끊겨져 있는 곳에서 한번씩 마공을 써주면 도움이 됩니다.   

     영웅의 흔적 - 장애물근처에 작은 바위가 놓여있는 곳이 있습니다. 이곳넘어 있는 상대에게 마법공격이 가능하며

                         러쉬는 사용이 되지 않기에 워리여계열과 둠브,밀리격수 대전시 도움이 됩니다.

      오르비스 원형 투기장 - 상당수의 기둥이 서있으며 그사이사이로 상대가 보이면 마법공격이 가능합니다.

                         아케인쉴드/엔라/얼터 등을 사용한경우 기둥뒤에 숨도록합니다. 가운데로 가로질러 이동할 수도

                         있지만 그사이 화면이 줌이 되므로 상대에게 공격을 받을수도 있고 이동컨트롤 또한 공격등을

                         함께하기엔 신속하지만은 못합니다.

 

     -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자세

       예상치못한 상황에 놓이게 된 경우 가장 중요한 점은 버프창을 보라

       버프 중 아큐/윈드/멘탈쉴드. 적어도 이 3가지를 살펴라. 그리고 재빨리 버프를 채워넣는다면

       마법시전캔슬/루트 등의 상황에서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디버프상황시 무조건 달아나며 버프를 체크하긴 쉽지 않은 일. 조금 여유를 갖고 턴스톤사용후

       캔슬된 버프와 턴스톤 도중 캔슬되는 버프를 체크할 수 있다면 보다 적은 피해를 입고

       빠른 버프를 마칠 수 있습니다.

       스턴내성옷과 마비내성옷을 갈아입을경우 신속함을 위해 매크로를 활용합니다.

       그러나 마음이 급하면 매클중 마법사용등으로 옷이 모두 바뀌지 않는 경우도 생기니 주의합니다.

       체감상 마속이 느려졌음을 느끼게 될 것이며 바로 인벤을 열어 확인 후 빠진 방어구를 입습니다.

       턴스톤을 사용하거나 지형뒤에 숨은 뒤 빠진 방어구를 체크하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 승리로 이끄는 전략의 중요 포인트 등

       도미는 하나하나의 버프/디버프/에센스 등의 스킬에 사용엠피량이 상당히 크다는 점을 명심하자.

       가장 중요한것은 마나업무기착용상태로 입장한후 바로 축마를 켜고 최대한 신속히 버프를 함으로서

       5500~6000가량의 엠피를 가지고 시작하는것입니다.

       입장렉을 줄이고 바로 버프를 할 수 있도록 경기신청전 관전하기로 여러경기장을 관전후 경기신청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버프순서는 아큐,컨디션(mp확보),빅(mp확보) 등 중요버프가 앞으로 덜 중요한버프가 뒤로가게하며 

       버프훔치기나 캔슬에 대비해 노블이나 필요없는 버프도 해놓습니다.

       마나업무기를 든 상태로 입장하자마자 축마를 켜고 아큐 컨디션 빅을하고 버프 1~2개를 더하는 사이

       만엠상태로 회복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격수클레스에게는 소울가드를 켜고 대전함을 기본으로 하고 더이상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소울가드/소울크라이/아케인파워의 경우  각지형의 특성이나 석댄등의 경우 엠소모/hp감소등의 피해만을

       입게 될 수 있으므로 그때그때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챗팅창 필터링을 이용하여 '걸리지 않았습니다'에 밑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해둡니다. 디버프사용시 안걸린 경우에

       다시 걸어야하는데 빠른 판단에 도움이 됩니다.

       -경기장에 입장하면 아래의 버프 중 5가지를 선택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윈드 워크 Lv2     헤이스트 Lv2           마이트 Lv3       가이던스 Lv3     데스 위스퍼 Lv3

               포커스 Lv3         버서커 스피릿 Lv2    엠파워 Lv3       아큐멘 Lv3        콘센트레이션  Lv6

        마나업무기로 도미자체버프후  맨탈헬나이프를 들고 쉴드나 노블로 맨탈쉴드를 발동하고 윈드 헤이 버서커 콘센

        포커등을 받으면 됩니다. 엠파를 받지 않는 이유는 캔슬시 전체버프중 소울하나 캔슬될 확률이 글로리/엠파 둘중

        하나가 캔슬될 확률보다 적기때문이라고 보기때문이며 캔슬된 버프확인시 소울하나 확인하는것이 글로리/엠파

        둘 모두 캔슬되었는지 살피는 것보다 더욱 빠르기 때문입니다. 버프 캔슬된경우는 빠른 파악과 최단시간에

        다시 버프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 필터링으로 '의 효과가 해제되었습니다'를 설정해 놓아도

        캔슬된 버프를 빨리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 경기장으로 소환되면 HP, MP, CP가 자동으로 회복되며, 기존에 받았던 버프와 디버프는 모두 사라진다.
      - 큐빅과 소환수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소환된 펫은 되돌려진다. 이전에 받았던 소환수의 버프 역시

         모두 사라진다.
      - 경기장으로 이동할 때 재사용 시간이 15분 이내인 스킬은 재사용 시간이 초기화된다
     

      다음 각 클레스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얼터,디스암,러쉬,하이드,프라흐,아케인쉴드 등등 너무 많다.각 스킬 이펙트를 필히 알아두자)

        각 클레스별 대전을 짧게 적어보기로 하겠습니다.

                

        대 탱전  

        대부분 탱과의 올림은 엠대폭감소탈리스만이 좋고 필요합니다. 얼터와의 싸움이라해도 과언이 아니기때문에

        대부분 장기전으로 진행됩니다.  자신의 씨피를 채우며 거리를 벌리며 얼터시간을 버텨냅니다.

        헬나이트의 경우 팬서가 버프를 캔슬합니다. 이점 주의하며 파얼을 쓰면 팬서를 집중 공격합니다. 팬서로 가는

        데미지 대부분이 탱에게 갑니다. 이점은 피닉스나이트의 피닉스 또한 마찬가지 공략이 되겠습니다.

        실템과 헬나의 터치 오브 데스를 맞을 경우 씨피의 대부분과 버프가 랜덤 캔슬되니 무빙하며 캔슬버프를 빨리

        파악하고 다시 채워놓도록합니다.

        자~ 장애물을 이용하던 빙빙 돌던 모든 얼터가 끝났다면~ 그럼 대부분소환수도 사라졌을테고 탱과 1:1상황이

        많을것입니다. 역시 거리를 벌리며 에센스하고 씨피채우기를 반복해 나갑니다. 엄청난 힐량을 가진 피나나

        큐빅의 에템,  실템의 경우 피가 반이상 깍였을때 리미트-에센스로 승부처를 갖는다. 큐빅이나 피닉스가 남은경우

        다시 리미트를  걸어 리미트가 풀린 것을 무효화시킵니다. 피나의 경우 디지즈도 큰 도움이 됩니다.

        터치로 씨피와 버프를 캔슬시킨 후 장애물빙빙 도는 탱도 있으니 의도 파악 또한 중요합니다.

        몇 번해보면 실템/헬나의 터치타이밍이 보입니다. 주저없이 턴스톤을 사용하여 버프캔슬이 되더라도 cp가

        날아가는것은 방지합니다.남은 턴스톤시간에 캔슬된 버프를 빨리 파악하고 채워넣습니다.

        단검들은 탱인 경우 턴스톤은 검의 양날로 오히려 더 많은 버프가 캔슬될 수 있으니 턴스톤은 실템의 마비같은

        경우에 사용하도록 남겨두고 무빙하며 캔슬된 버프를 빠르게 채워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루트를 걸기때문에 맨탈을 특히 잘봐야하는데 무빙하며 멘탈헬나를 들고 오너의 빠른 시전으로 씨피를 채우며

        멘탈을 다시 걸어줍니다.

 

        대 둠브전

        어찌보면 탱과 비슷한 느낌이다. 강력한 스턴공격과 디스암.마속저하의 템퍼.게다가 소울클렌스에 얼터..

        가장 중요포인트는 러쉬거리를 벌리지않고 근접타격도 피할 그 중간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

        디스암이 계속 걸릴 경우 패색이 짙으나턴 스톤/장애물로 버티며. 한번이라도 걸리지않는다면

        짧은 순간 적지않은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서스-블럭게이트-리미트/사일(소울클렌스방지)/피어가 효과적입니다. 소울클렌스하는 모션을 보자마자 적어도

        리미트는 다시 걸어놓습니다. hp모두 회복을 막기 위함입니다. 그리곤 다시 에센스로 승부를 봅니다.

        피어는 둠브의 가장 강력한 위협요소인 디스암/매스디스암을 봉쇄할 수 있으며 상당히 유리한 경기를

        운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명심합시다

        대 둠브전에 가장 중요한 탈리스만은 가호가 될 듯 합니다.

 

        대 소하전

        마비내성에 중점을 둔 셋팅을합니다. 데스로브+프레야+기란영지마방이면 훌륭하지요.

        마비방어 셋팅이되었다면 한가지만 명심합니다. 버프뺏기!

        버프를 뺏는 즉시 바로바로 버프를 채워넣으며 서스-에센스정도로 상대합니다.

        투명화/인보 이외의 모든 탈리스만은 사용금지입니다. 어차피 내버프가 내버프가 아니니까요.

 

        대 단검전

        등을 벽에 붙이고 기다려서 와주면 고맙고 안오면 어느정도 나가서 하이드를하면 가능하면 근처의 지형을

        이용해 등을 보이지 않도록 합니다. 타겟해제됨과 동시에 바로 타겟을 잡으며 에센스를 하면 어렵지만은 않은

        승부가 될것이다. 전투중 하이드를 쓴 경우 빠르게 블럭게이트/실오브플레임을 씁니다.

        바로 시전했다면 하이드가 풀리게 됩니다. (실 오브 플레임은 범위이지만 걸렸을경우 화상이므로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하이드가 풀리지 않는듯 합니다)

        대 단검전은 씨피를 없다고 보고 인킬의 경우 체인힐로 hp를 우선적으로 회복합니다.

        그러나 힐까지 쓰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엔라 윈터 서스 블럭 엔센스의 사용으로 승부가 납니다.

        황색탈리스만-크리티컬데미지감소/크리데미지회피가 도움이 됩니다

        어벤의 경우 미라지를 조심하자. 데미지를 줌과 동시에 타겟이 해제되므로 데반제련이나 프린/프레야는

        바로 빼도록하고 경기에 임하자.

        인킬이 연속으로 터져 씨피만땅에 피가 0이되는 경우도 있으나.. 극히 드문 경우입니다. 운이 없었다 칩시다;

 

        대 글라/그카/타이탄/포츈/마에/노트전           

       막강화력이나 러쉬임팩트가능한 밀리스턴격수들입니다. 막강화력클레스는 가호가 큰도움이 되구요.

         어느정도의 피해를 각오하고 가호로 버티는 동안 서스 윈터 정도만 걸어주면 경기는 쉽게 풀립니다.

         역쉬 러쉬와 근접평타의 중간거리 유지는 항상 도움이 되지요.그렇지만 그거리유지가 쉽지만은 않구요..

         모든 클레스영웅급이 쉽지는 않겠지만, 특히 피작하고 나오는 영웅급 그카는 꽤나 피곤합니다

         엄청난 공속과 이속, 크뎀증가,디버프내성대폭증가의 질럿은 도미의 느린 마속에 심심찮게 마법캔슬을 줍니다

         가호를 사용하거나 접근하기전 엔라로 많은 데미지를 입히고 근접시 피어/블럭/윈터로 대처합니다

         엔라-에센스-무빙-에센스-무빙-반복이 중요합니다.

 

       대 궁수전

       스턴내성옷을 입자~ 초뜨자마자 최대한 붙어서 멀어지기전까지 서스/윈터/디스페어정도만 걸면 쉽게 풀립니다.

       데스스팅어와 멀티샷은 상당히 위협적이므로 다음딜이 오기전에 승부를 보는것이 좋겠으나 모두 지형을 이용하므로

       초반에 보다 많은 데미지를 줌에 주력하도록 합니다.

       트릭스터의 경우 리얼과 프라흐가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엄청난 마방으로 에센스에 씨피조차 깍이지 않지요.

       그시간을 무조건 버텨야 합니다.. 장애물이 있으면 숨고, 가호가 있다면 쓰고. 시간이 남으면 턴스톤도 마다하지

       말아야  합니다. 버프뺏기는 많이 위험합니다. 가드켠 상태라하더라도 리얼에 데스스팅어와 멀티샷 트윈샷 등등은

       참아내기 힘든 데미지입니다.

       프라흐시간을 최대한 버틴후 승부를 봅니다.

       프라흐시간을 버틸 자신이 없다.. 여건이 안된다.. 그렇다면 무조건 붙어서 온슬/스턴으로 승부를 봅니다

       간간히 체인힐/하트로 버텨가며 온슬/스턴으로 집요하게 괴롭힙시다..

 

       대 힐러전

      하펀=이뮤니티, 카디=클렌스라는 기본적인 생각을 갖고 경기에 임하며 특이 하펀의 경우 이뮤니티시간을

       장애물로 피할 수 있으면 피하고 그렇지 않다면 버프훔치기탈리스만으로 이뮨을 뺏습니다.

       초반에 서스 리미트로 최대한의 대미지를 주도록합니다.

       서스와 리미트를 버텨내는 힐러들과의 경기는 대부분 엠오링의 상황을 염두해둬야하므로  초반 데미지로

       타임오버를 노려야합니다.

        그러나~ 엠대폭감소와 생명력탈리스만이 있다면 큰도움이 됩니다. 시작전 엠대폭을 사용하고 쭈~욱 서스 리미트

       싸일 디스페어 디지즈 에센스 등으로 괴롭힙니다. 기나긴 탈리스만의 시간까지 버텨낸 힐러는 많지 않습니다.

       버텼다해도 생명력탈리스만이 있지않은가.

       써줍니다~ 다시 첨부터 시작이지요.. 이 모든 시간이 끝나면 숨지 않고 승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귀한 탈리스만들이지 않은가.. 아껴야합니다...; 

       요즘들어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대 힐러전의 열쇠는 피어입니다. 특히 카디는 상대적으로 약한 버프와 뽕이

       없기때문에 다른 힐러보다 피어에 잘 걸립니다.

       시작함과동시에 서스/리미트 걸고 씨피를 빼놓습니다. 풀면 다시풀고 달아나면 따라갑니다.

       포인트는 피어걸린 시간동안 잡아버릴 수 있도록 사전에 시피정도는 빼놓아야합니다. 그리 어렵지 않지요.

       어느정도 빠졌다싶으면 서스/리미트정도 걸어두고 엔라-피어-에센스로 승부합니다.

       팁이라면 피어걸리면 자신의 캐릭 반대편으로 뛰므로 상대캐릭의 뒤가 뛰어갈수없게 막힌길이나 벽이 가까우면

       좋습니다.

      

      대 위자전

      무조건 달려가 서스 디스페어 싸일 정도를 사용합니다. 뱀피릭클레스에겐 리미트도 도움이 됩니다.

      엔라 아케인쉴드의 경우엔 장애물에 피하거나 턴스톤을 사용합니다.

      아크.미뮤의 캔슬에 주의하며 서스로 승부를 봅니다. 네크의 경우도 비슷한 맥락이나 초반에 해골을 잡아두는것이

      편하게 진행됩니다.  뱀피릭이 있기때문에 리미트나 디지즈도 도움이 되지요.

      가장 중요한것은 역시 서스팬션입니다. 마법침묵해제탈리스만도 준비해서 싸일에 대비합니다.

   

     대 소환사전

      무적/얼터시간을 장애물등을 이용해 최대한 버텨내자. 이시간에 불필요한 엠피소모를 최대한 줄여야합니다.

      본체공격하며 소환수 피가 1/3정도남았을때 서스 리미트와 엔라를 사용하여 소환수를 잡습니다.

      소환사와 소환수가 근접해 있다면 온슬롯도 좋은 공격방법이 됩니다.

      혹은 소환사에겐 서스 싸일정도만 걸며 집요하게 소환수만을 뎀지를 입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소환사를 공격하며 소환사가 장애물등에 피하면 그때 소환수에게 피어를걸어 소환사에게 멀리 달아나게하며

      소환수만을 재빨리 처리하는 방법이지요.

      소환수잡기에 성공한다면 남은 경기는 쉽게 풀릴 것입니다. 엠대폭 탈리스만이 큰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소환수무적/얼터 타이밍과 디버프 해제후 힐집중으로 소환수 잡기가 말처럼 쉽지가 않기에

      상당히 까다로운 상대입니다.

      업뎃후 소환수소환이 상당히 빨라졌기때문에 이제는 소환수 서스/리미트/피어 정도로 적당히 피를 빼준후

      본체에 화력집중합니다. 그렇지만 상당히 힘든 상대입니다.

     

      대 가무전

      블댄의 석화/소싱의 사일송을 생각하고 경기에 임합니다. 석댄 걸린경우 아큐-윈드-컴뱃 정도만이라도 무빙하며

      채워넣고 승부합니다. 블댄과의 대전시 처음부터 아케인파워와 가드를 켜고 나가지 않습니다. 포블댄에 석댄걸리면

      피바닥에 엠소모또한 적지 않기때문입니다. 석댄 소싱의 사일송동안 계속 피하며 시간을 버텨내고 경기토록합니다~

      위협요소를 없애기 위해 처음 시작할때 달려오는 가무와 거리를 벌리고 피어를 겁니다. 걸리면 엔라후 에센스로

      승부를 봅니다.

 

      대 도미전

      엠대폭감소탈리스만이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결국엔 서로간의 에센스 싸움입니다. 양측모두 서스와 리미트정도는

      걸려있을 것이므로 서로간의 남은 엠피량이 승패를 좌우할 것입다. 

      서로간 에센스싸움입니다. 마공보다도 에센스는 자신의 hp도 회복되므로 보다 우위의 스킬입니다.

      단지 엠소모가 클뿐이지요. 경기후반 양측 모두 서스가 걸려있고 hp정도만 남았다면

      에센스-오너or리튜얼로 에센스딜동안 cp를 채웁니다. cp가 있을경우 에센스로는 hp를 흡수하지 못하기때문입니다.

      둠크전은 힐러전과 도미전과의 특성 모두를 포함한다. 마나번과 같은 오라싱크로  엠을 태우며 에센스로 자신의 

      hp를 회복하기 때문에 초반시작하는 시점에 바짝 붙어서 서스/리미트를 걸어두는 것이 중요포인트이다.

      지속적으로 오라싱크를 통한 mp소모를 노리는 상대 둠크에게 서스로 딜을 늘리고 리미트로 hp회복을 제한하며

      엠관리와 낮은 물방에 치명적인 물리공격.. 온슬롯과 스턴공격을 크라이를 켠상태로 사용하자

      리미트가 걸리지 않았다면 도미전과 마찬가지로 cp를 회복하며 대응해 상대둠크의 hp회복을 막자. 실 오브 디지즈

      역시 hp회복률 50%감소로 에센스를 사용하는 둠크/도미에게 도움이 된다. 

 

 * 이 직업군이 쉽다 혹은 약하다라는 내용의 글이 아니며 도미인 저는 이렇게 대처한다는 취지의 글이니

   기분상하시거나 오해하진 말아주세요^^;

 

3. 그 외 도움이 될만한 올림피아드 정보와 팁

1) 그랜드 올림피아드의 경기장을 인스턴트 존으로 변경함에 따라 동시에 총 160개의 경기장에서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2) 경기 최소 참가 인원을 변경하여 경기 참가 신청을 한 모든 캐릭터가 경기장에 입장하도록 수정되었다.

매칭 조건

기존

변경

클래스 무관 개인전

9명

10명

클래스 개인전

5명

10명

클래스 무관 팀전

9팀

4팀


3) 경기 상대를 선정할 때 랜덤하게 매칭하던 방식을 올림피아드 포인트가 비슷한 경기 신청자끼리 우선적으로 매칭하도록 변경되었다.

 

4) 포인트 지급 방식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포인트 지급 방식

  - 최초 노블레스 달성시 10 포인트 지급(8월 주기 시작 시 적용)
  - 1주일마다 10포인트씩 추가로 부여

  - 총 50포인트를 습득

 

5) /전적 명령어가 추가되었다. 노블레스 캐릭터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올림피아드 포인트와 전적, 남은 경기수를 확인할 수 있다.

 

6) 노블레스 캐릭터는 다음과 같이 1주일마다 참가할 수 있는 경기 수에 제한을 두도록 변경되었다.

 - 경기 제한 수는 올림피아드 포인트 지급 시 초기화된다.

경기 방식

최대 경기수

1주간 캐릭터가 참가할 수 있는 최대 경기수

70 경기

1주간 캐릭터가 참가할 수 있는 최대 클래스 무관 개인전

30 경기

1주간 캐릭터가 참가할 수 있는 최대 클래스 별 개인전

30 경기

1주간 캐릭터가 참가할 수 있는 최대 클래스 무관 팀전

30 경기

 

7) 한 경기장에 관람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이 18명으로 변경되었다.

                                                                                                   1)~7) - 홈페이지 하이파이브 발췌

 

     올림을 꼭이기자보다는 적은 시간을 투자해 토큰이나 원본등 아이템을 얻는 하나의 즐길만한 컨텐츠로 임하면

      보다 즐거운 올림피아드가 되지 않을까합니다. 항상 이기기만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항상 지지도 않으니 영웅보단

      일일퀘정도의 가벼운 마음으로 임합니다.

      필자의 승률은 그리 높은 편이 아닙니다. 아는 사람이나 토큰필요한 사람을 만나면 점수를 주고요.

      영웅할 실력도 아니고 이런 편이 오히려 기분이 더 좋습니다. 이젠 탈리스만도 안뽑고 상점표로 한다지요..

      참고로 새로운 올림 첫달 점수가 350점 정도로 75.000개의 토큰을 받았지만 꾸준한 1일퀘로 총 12만개정도를

      모은듯 합니다.이벤트로 2배보상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한달 10만개가량을 모을 수 있을듯합니다.

      난 이것도 저것도 귀찮다.. 하시는 분들께선 그냥 꾹참고 100점정도만 모으셔서 75000개 받으세요;;

      난 이기는 것에서 즐거움을 찾겠다하는 사람들은 각클레스마다 특성이 있기에 다른이들의 경기를 관전하며

      버프순서나 마공제련 경기스타일등을 눈여겨 봐둬야합니다. 그러나 알아두세요. 올림에 너무 얽메이는 순간

      준비할것이 너무 많아지고(레어/방어구/탈리스만 등등) 적지 않은 비용이들며.. 무엇보다 전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될 것입니다. 그냥 일일퀘정도로 즐기길 추천합니다.

http://power.plaync.co.kr/exe/ln2/doc.php?doc_no=41225&forum_no=5563&page=

EXP 43,708 (56%) / 45,001

Lv53 불꽃이되어


 

 

레벨
Lv53
경험치
43,708 (56%) / 45,001 ( 다음 레벨까지 1,293 / 마격까지 1,142 남음 )
포인트

이니 39,757

베니 121

제니 37

명성
503
획득스킬
  • 6
  • 3
  • 4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리니지2 인벤 팁과노하우 게시판

목록 글쓰기
인증글 10추글 즐겨찾기
리니지2 인벤 팁과노하우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641 레벨 아이콘 데스피나 10-13 29,779 47
631 레벨 아이콘 데스피나 10-11 18,255 122
624 레벨 아이콘 쎈츄리온 10-10 4,882 89
605 레벨 아이콘 쎈츄리온 10-08 3,715 36
597 레벨 아이콘 돔이G 10-07 15,482 36
595 레벨 아이콘 쎈츄리온 10-06 7,303 25
589 레벨 아이콘 행복과일나라 10-06 2,960 30
586 레벨 아이콘 앙증애기 10-05 4,668 31
585 레벨 아이콘 앙증애기 10-05 5,485 33
581 레벨 아이콘 OIOFJI 10-04 4,571 104
580 레벨 아이콘 쎈츄리온 10-03 3,470 55
577 레벨 아이콘 불꽃이되어 10-03 9,280 23
576 레벨 아이콘 OIOFJI 10-03 5,148 20
569 레벨 아이콘 나이칸경 10-02 3,605 34
549 레벨 아이콘 하늘지기하늘 09-30 18,163 18
548 레벨 아이콘 DK롸져 09-30 2,190 12
546 레벨 아이콘 빅터크룸 09-30 5,320 11
545 레벨 아이콘 빠다링 09-30 3,800 0
541 레벨 아이콘 빅터크룸 09-29 2,681 1
540 레벨 아이콘 빅터크룸 09-29 4,866 4
534 레벨 아이콘 고양이바나나 09-25 6,167 5
533 레벨 아이콘 dlfjwlakdy 09-24 1,529 2
532 레벨 아이콘 마르뛰냥 09-19 1,411 8
531 레벨 아이콘 기다림의정의 09-20 2,069 11
목록 글쓰기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서형준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