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원게에도 올린 글입니다만, 원게에만 쓰고 말기에는 인벤 여러분들이 별 관심도 안 가지고 해서 내용을 조금 다듬고 팁게에도 올리게 되었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잡소리가 굉장히 긴 글이니 결론부터 쓰겠습니다.

케이틀린의 공격속도 공식은  입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케이틀린의 기본공격속도는 0.56818181818...이며, 10%의 추가 공격속도를 얻는 숨겨진 패시브가 있습니다.

다만, 이 수치는 단순히 케이틀린이 기본공속을 제외한 룬, 특성, 레벨업, 아이템, 버프 등으로 얻는 추가 공격속도가 10%만큼 차감되어 적용된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현재 국내 패치노트는 이러한 세부적인 내용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인게임에서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럼 본론을 시작하겠습니다.
한국 패치노트에 따르면, 

케이틀린의 기본 공격에는 공격 속도가 90% 효율로 적용됩니다.

라고 합니다. 이 글은 언뜻 보면 케이틀린의 전체 공격속도가 10% 감소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습니다. 저도 실제로 그랬으니까요. 하지만 인게임에 적용되는 수치는 전혀 딴판이더군요. 그래서 북미 패치노트를 찾아보았습니다.

Caitlyn's basic attacks scale with bonus attack speed at 90% effectiveness

한글 패치노트와는 의미가 다릅니다. 이에 따르면 기본 공속을 제외한 추가 공격속도만이 총 10% 감소한다는 의미지요. 그래서 저는 케이틀린의 공격속도가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공속 16% 룬에 특성 4%를 챙긴 케이틀린의 인게임 공격속도는 0.739를 나타내는데, 0.625*(1+0.2*0.9)는 계산상 0.738을 나타내야 하거든요. 그래서 리그오브레전드를 켜고 실험에 들어갔습니다.



공속룬과 공속특성이 아무것도 없는, 공속 보너스가 0인 케이틀린의 1렙 스텟입니다. 보시다시피, 기본 공속이 0.568로 설정되어 있고, 아무런 공속 관련 보너스가 없음에도 10%의 추가 공속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케이틀린의 18레벨 공속입니다. 참고로 케이틀린의 레벨업에 의한 공속상승은 18레벨에 68%입니다.

처음에 생각한 것처럼 공격속도 수식이 0.625*(1+0.68*0.9)라면 18레벨 공속은 1.008을 나타내야 하나, 실제로는 1.011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실제로 케이틀린의 기본공격속도가 0.568이고, 성장공속 68%에 모종의 추가공속 10%가 부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계산대로 하면 정확히 1.011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길게 썼지만 사실 위의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영문 위키에 모두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별 생각없이 진행했는데 상당한 뻘짓을 했더군요.

다만 몇가지를 더 확인해보았는데, 0.568이라는 수치에 10%를 더하면 0.625가 된다면, 0.568은 0.625의 10/11에 해당되죠. 그래서 기본공격속도가 단순히 0.568인지, 아니면 0.625에 10/11을 곱한 값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계산식을 세워놓고 공속템을 올려가며 비교해보았습니다.



단검 하나를 올려 공속이 80%가 되었을 때, 0.568기준으로는 1.079의 공격속도를, 0.625*10/11 기준으로는 1.080의 공격속도를 얻습니다. 따라서 케이틀린의 기본 공격속도는 0.625*10/11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첫 문단의 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북미 패치노트에 나온 기본 공격속도를 제외한 추가 공격속도가 90%효율로 적용된다[0.625*(1+추가 공격속도*0.9)]는 말은 엄밀히 말하면 틀렸습니다만, 아마 이렇게 만드는 것이 훨씬 간단하면서 패치노트에 적혀있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패치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실제로 두 공식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만, 공격속도 보너스가 300%에 이를 때 실제 수식이 0.017 더 높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이 부분은 신경 끄셔도 되겠습니다. 

여담으로, 현재 한국 패치노트의 내용으로는 추가 공격속도가 90%효율로 적용된다는 의미도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 부분은 라이엇 코리아가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