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체 리그 변화
유럽(LEC)리그 개편
과거 EU지역에 한정되었던 
LEC(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유럽전체,중동,아프리카(튀르키예TCL, 러시아LCL통합)로 확장됨
LEC(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EMEA : Europe, the Middle East and Africa

TCL과 LCL의 행방
유럽의 2부리그는 13개의 하부리그로 구성됨(EMEA Regional Leagues)
리그상위권 팀들이 모여 연2회(스프링,서머) 
리그별 2~3팀씩 롤드컵과 유사한방식으로 대회를 진행함(EMEA Masters)

TCL은 ERL의 13개 리그중 2시드를 받아서 편입됨
LCL은 전쟁으로 러시아가 퇴출되고 역시 전쟁으로 리그자체가 중단됨
전쟁피해국인 우크라이나가 폴란드리그(UL/ERL5번시드)에 들어간것을 제외하곤
LCL지역은 LEC 포함된다는 발표만 되었을뿐 세부 내용은 나오지않음
전쟁이 끝나고 TCL처럼 ERL에 포함이 될지 아니면 그냥 전범국 아웃 될지는 지켜봐야할듯
(물론 실력이 뛰어난선수들은 LEC 에서 로컬자격으로 선수생활가능)



동남아(PCS)리그 개편
오세아니아지역(LCO)통합됨
좀더 옛날로가면 LMS(대만,홍콩,마카오), PCS(동남아), LCO(오세아니아)가 리그통합

LCO리그는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상위2개팀이 PCS 포스트시즌에 합류함
아직 자세한 PCS포스트시즌 방법에 대한이야기는 나오지않았으나
PCS팀과 LCO팀이 같이 경쟁해서 PCS타이틀을 달고 국제대회 참여하게될듯

총 리그수가12개에서 9개로 줄어듬



2-1.월드챔피언십 진출권 변화
- 한국(LCK/3+1팀) -> 4팀
- 중국(LPL/3+1팀) -> 4팀
- 유럽(LEC/3팀) -> 3+0.5팀
- 북미(LCS/3팀) -> 3+0.5팀
(LEC,LCS 4번시드는 선발전을 통해 1팀만 플레이인참가)

- 동남아시아(PCS/1+1팀) -> 0+2팀
- 베트남(VCS/1+1팀) -> 0+2팀

- 일본(LJL/1팀) : 0+1팀
- 브라질(CBLOL/1팀) : 0+1팀
- 라틴 아메리카(LLA/1팀) : 0+1팀

- 오세아니아(LCO/1팀) : PCS통합
- 튀르키예(TCL/1팀) : LEC통합
- 러시아(LCL/1팀) : LEC통합


14팀 스위스(그룹)스테이지직행
8팀 플레이인 -> 2팀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2-2. 월드챔피언십 진행방식 변화
기존 
플레이인스테이지 > 그룹스테이지(풀리그) > 토너먼트(싱글엘리미네이션)
변경후
플레이인스테이지(더블엘리미네이션) > 스위스 스테이지 > 토너먼트(싱글엘리미네이션)


플레이인 스테이지 :
4팀씩 2조로 나누어 더블엘리미네이션 진행(3전 2선승)
승자조 승자 vs (다른조)패자조 승자(2팀) 스위스스테이지진출(5전3선승)


스위스 스테이지 : 
3승or3패가 될때까지 경기를 진행
3승팀은 상위라운드 진출, 3패팀은 탈락하는방식

1R : 다른지역팀과 단판경기진행
2R : 1승팀(8팀)끼리, 1패팀(8팀)끼리 경기진행
3R : 2승팀(4팀), 1승1패(8팀), 2패(4팀) 경기진행
(3승 2팀 8강진출, 3패 2팀 탈락)
4R : 2승1패(6팀), 1승2패(6팀) 경기진행
(3승1패 3팀 8강진출, 1승3패 3팀 탈락)
5R : 2승2패(6팀) 경기진행
(3승2패 3팀 8강진출, 2승3패 3팀 탈락)

진출,탈락이 결정되는 경기는 3전2선승
(3R 2승팀, 2패팀 경기 / 4R 5R 전경기)
그외경기는 단판


토너먼트 : 기존과 동일(5전3선승)



3. MSI 변화
4대메이저는 2팀 참가, 그외 1팀진출 총 13(8+5)팀 참가
4대메이저 1위팀과 전년도 월즈 우승리그 2위팀 : 8강(브래킷스테이지)직행
(LCK 스프링 준우승팀은 8강직행)
그외 8팀 플레이인스테이지 통해 3팀 8강행


MSI 플레이인스테이지
4팀씩 2조로 나눠서 더블엘리미네이션 진행(3전2선승)
조1위팀 2팀, 최종전승리팀 1팀 8강행
 
MSI 브래킷스테이지
더블엘리미네이션 진행(5전3선승)



※ 월드챔피언십 스위스스테이지(일부)를 제외한 모든 경기가 다전제로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