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엇이 새로운 국제대회 포맷을 내놓았습니다. 그런데, 찾아보기 힘드시고 정리가 깔끔하게 되어있지 않아 혼란스러운 분들이 많으실거라 예상됩니다. 이 글은 새로운 포맷을 깔끔하게 글과 그림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유익하게 읽으시면 좋겠네요! :)

2017년을 맞아 라이엇이 국제대회에 대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아직 먼 미래의 대회지만 미리미리 살펴보는 재미가 있겠죠? 그럼 알아봅시다.

-들어가기에 앞서....-

- 이번 MSI와 롤드컵은 모든 지역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또한, 더 이상 와일드카드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2015 MSI, 2015 Worlds, 2016 MSI 그리고 2016 Worlds의 결과에 따라 시드권을 제공합니다.

- 새로운 포맷 : Play In

-MSI와 롤드컵에 모든 지역을 참여시기키 위해 새로운 제도, Play In 이라는 제도를 사용합니다.
-Play In은 조별예선 전에 치뤄질 예정입니다.

-MSI 2017-

- 기간과 장소 : 4월 28일 ~ 5월 21일, 브라질

Play In Stage : 4월 28일 ~ 5월 1일 / 5월 3,4일 / 5월 6일 - 상파울로 CBLOL 스튜디오
조별 예선        : 5월 10~14일 - 리우 Jeunesse Arena
토너먼트 스테이지 : 5월 19~21일 - 리우 Jeunesse Arena

- 참여하는 지역 (메이저 지역은 볼드체로 표기했습니다):

BR
CN
CIS
EU
JP
KR
LAN
LAS
NA
OCE
SEA
LMS
TUR

총 13팀 참가

-시딩
라이엇의 시딩은 지난 2년 (15, 16년)의 성적을 기준으로 제공.



보시면 알겠지만, NA와 LMS는 EU, CN, KR보다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못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 두 지역은 Play In Stage에 참여해야 합니다.

- Play In 포맷



1라운드 : BR, CIS, JP, LAN, LAS, OCE, SEA, TUR 8개의 지역이 임의로 두 조로 나뉘어 단판제 -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쟁합니다.

2라운드 : 1라의 두 승자 (1조, 2조의 승자들)가 임의로 NA 혹은 LMS 지역의 팀과 붙게 됩니다. 5전제를 펼치게 되며 승자는 자동적으로 국제대회 조별예선에 안착하게 됩니다.

3 라운드 : 2라운드에서 패배한 두 팀이 맞붙습니다. 역시나 5전제를 펼치며 승자가 조별예선에 안착하게 됩니다.

정리 : Play In 제도에서 총 3팀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죠.

- MSI 결과로 인한 롤드컵 시딩은?
(예시입니다.)



결과가 이렇다고 가정할 경우 :

작년처럼 1~4등 지역에겐 롤드컵에서 1시드가 자동적으로 주어집니다.

5~6등에 속해있는 CIS같은 시드를 한 장 더 받게됩니다.즉, 1등팀이 롤드컵 조별예선 자동 진출, 그리고 CIS 2등팀은 Play In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왜냐면, 소위 말하던 와일드카드 지역에서 최고의 성적을 냈기 때문이죠.

-그래서, 본선은 몇 팀이 경쟁하는건데?

설명이 길었습니다. 본선 (조별예선부터)은 총 6팀, KR+CN+EU+ Play In 3 팀 = 6팀,이 참여하게 됩니다.

-World Championship 2017-

기간과 장소 : 9월 23일 ~ 10월 29일, 11월 4일 , 중국

Play In Stage : 9월 23~26일 / 9월 28~29일 , 우한 Wuhan Sports Center Gymnasium
조별 예선       : 10월 5~8일 / 10월 12~15일 , 우한 Wuhan Sports Center Gymnasium
8강               : 10월 19~22일 , 광저우 Guangzhou Gymnasium
4강               : 10월 28~29일 , 상하이 Shanghai Oriental Sports Center
결승              : 11월 4일 , 베이징 Beijing National Stadium (Bird's Nest)


- 참여하는 지역 (메이저 지역은 볼드체로 표기했습니다):

BR
CN
CIS
EU
JP
KR
LAN
LAS
NA
OCE
SEA
LMS
TUR

총 24팀 참가

여기서 주의할 점 :

-이제 LMS지역은 3장의 시드를 받습니다.

-한국은 Play In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잘하니까 ^^

-MSI 결과는 롤드컵에 영향을 줍니다.

-몇몇 지역들은 MSI 결과로 인해 두번째 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위 와일드카드라 불리던 지역은 MSI에서 그 지역들 중 최고의 성적을 낸 지역에게 한장을 더 줍니다. (MSI 참조)

-포맷

-Play In Stage




Play In Stage를 살펴보죠. 총, 12지역에서 한 팀씩 뽑아, 12팀이 참여합니다.

참여 지역은 : BR, CIS, JP, LAN, LAS, OCE, SEA, TUR 에서 한 팀씩 + CN, NA, EU, LMS의 3번째 시드 (즉 롤드컵 팀들 중 3위로 올라온팀들) 이 경쟁합니다.

1라운드 : 3팀씩 임의로 갈라져서 4개의 조를 이룹니다. 단판제 -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하여 한 조에서 2팀, 즉 총 8팀이 2라운드에 진출합니다.

2라운드 : 8개의 팀이 임의로 짝지어져 5전제를 펼칩니다. 이기면 조별예선에 진출합니다. 그렇게 4개의 팀을 조별예선에 진출시킵니다.

Q: 응? 저 공석 하나는 뭐니? 
A: 와일드카드라 불리던 지역에서 최고의 성적을 낸 팀에게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자리입니다. 와카 지역 (지금은 사라진 개념)에게 인센티브를 준 셈이죠.

그렇게 총 16팀이 뽑힐 예정이며, 그 후는 전과 같습니다.

그럼, 더욱 풍성해진 2017 라이엇 국제 대회, 재밌게 즐겨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