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대에서 LCK 팀끼리 붙은 경우 빼고, 해외팀하고 붙은 경우만 정리해옴.....
나무위키 참고했고, 약간 잘못된 부분 있길래 하나하나 검토하면서 찾아봄.
반박 환영받음.



<2013년> 
아시다시피 젠지 이전에 삼성, 그 이전에 MVP 였고 
이 이름으로 MVP오존이 2013년도 스프링 우승,  서머 3등 했다가 
해체 후 재창단 하는 방식으로 삼성 오존이 되어서 그대로 롤드컵 갔는데
2013 조별리그에서 B조에 배정된 5팀 중 한팀으로 배정됨.
(참고로 이 당시 A조에서 5팀 중 2팀, B조에서 5팀 중 2팀이 올라가고, 이렇게 올라간 4팀이 8강에서 기다리는 4개 팀하고 붙어서 8강전을 치르는 방식 이였음. A조에는 SKT T1 #2가 있었고 다들 알다시피 이 팀이 우승함)

SSO(Samsung Galaxy Ozone) 으로 참가했고, 같은 조에는 
FNC(프나틱),
GMB(Gambit Gaming, 현재 해체), 
VUL(Vulcun, 2014년도에 이름 바꾸고 1년 더 하다가 해체)
MSK(Mineski) 가 있었고,
첫주차에는 미네스키 상대로 1승하고 나머지 전부 패배. 1승3패
2주차에는 프나틱 상대로 1패하고 나머지 전부 승리. 3승1패, 총합 4승4패
같은 조에서 프나틱이 7승1패로 1위 차지하고, 겜빗 게이밍과 4승4패 동률이여서 순위결정전 치름. 
결과는 패배. 조3위로 탈락.

결국 프나틱 상대로 2패, 미네스키 상대로 2승, 겜빗 게이밍 상대로 1승2패, 벌컨 상대로 1승1패
도합 4승5패

참고로 이 당시 삼성블루는 국제전은 잇으나 CJ 상대여서 패스



<2014년>
다들 아시는 삼성 왕조 시절.
스프링 삼성블루 우승, 삼성화이트 3위
서머 삼성블루 준우승, 삼성화이트 3위
둘다 롤드컵 진출
삼성화이트는 A조에서 EDG, AHQ, DP(Dark Passage) 상대로 6전 전승.
삼성블루는 C조에서 OMG, LMQ(후에 Team Impulse, Pheonix1 이였다가 해체), FNC 이랑 한조
프나틱에게 1승1패 거두고 나머지 전승해서 5승1패, 둘다 8강 진출
8강에서 삼성화이트는 TSM 상대로 3:1 승리, 삼성블루는 C9 상대로 3:1 승리
4강에서 내전으로 삼성화이트가 올라가고
결승에서 삼성화이트가 로얄 상대로 3:1 승리 및 우승.
도합 20승 4패,
조별리그 11승 1패, 다전제는 3승 (전부 3:1승리)


<2015년>
 다들 잘 아는 엑소더스 후, 우리가 아는 리그제로 전환.
멤버가 전원 빠져나가서 새 멤버로 꾸림.
스프링 8팀 중 8등, 승강전 생존 후 서머 10팀 중 7등. 국제전 없음.


<2016년>
삼성이 각성하여 롤드컵 준우승 차지했던 해.
스프링/서머/선발전 생략하고, 롤드컵에서 D조에 배정, 같은 조에 TSM, RNG, SPY(지금의 MAD Lions)
TSM 상대로 1승1패, 나머지 전승하여 5승1패
8강에서 C9 상대로 3:0 승리 후 진출
4강에서 H2K 상대로 3:0 승리 후 진출
결승에서 SKT 상대로 아쉽게 준우승
도합 11승 1패,
조별리그 5승 1패, 다전제는 2승 (3:0 승리, 3:0 승리)



<2017년>
Rift Rivals 에서 죽 쑤었지만 롤드컵 우승한 시즌
스프링, 서머는 생략함. 다만, 서머 1라운드 끝나고 리프트 라이벌즈 했다는 것만 적어둠.
리라에서 SKT, KT, MVP와 함께 출전
첫날에 J Team(=2012 롤드컵 우승팀인 TPA가 이름이 바뀜), EDG 상대로 승리
헌데, 결승에서 EDG에게 첫 경기에서 패배해버림.
결국 LCK는 3:1로 LPL에게 패배하게됨.

리프트 라이벌즈 J Team에게 1승, EDG 상대로 1승1패

그리고 2017 롤드컵 진출, C조에 배정.
같은 조에는 G2, RNG, 터키의 페네르바체
RNG 상대로 2패, 나머진 전승. 4승2패로 2위로 8강 진출 (참고로 이 때 RNG는 5승1패로 1위 진출)
헌데, 8강에서 킹존 상대로 승리 진출, 4강에서 WE 상대로 3:1 승리로 진출, 결승에서 SKT 상대로 우승.

결과적으로 롤드컵에서 해외 팀 상대로는 조별리그 4승2패, 4강 3:1 승리

2017년 총합해보면
도합 9승 4패,
리프트 라이벌즈 조별리그 2승, 결승 1패 (3:1패배. 애매하지만 다전제 패배는 맞으니 포함해둠)
롤드컵 조별리그 4승 2패, 다전제는 1승 (3:1승리)


<2018년>
팀명이 스프링에 KSV, 였다가 서머에 드디어 우리가 아는 젠지로 바뀜.
국제전은 2018롤드컵 하나뿐인데, 여기서 우리가 이미 잘 아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옴.
B조에서 RNG, C9, VIT(=Team Vitality) 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팀 바이탈리티의 미드라이너 지주케한테 에코로 백도어 당하는 등 처참한 결과로
C9에게 1승1패, 나머지 전패하면서 1승5패를 하게됨.....
도합 1승 5패. 다전제 없음


<2019년>
스프링 7위 서머 6위.. 이하생략. 국제전 없음

<2020년>
스프링에서 준우승을 했으나, 코로나 때문에 당해에 MSI 대신에 Mid-Season Cup 이라는 대회가 열리게 됨.
LCK에서 4팀, LPL에서 4팀이 참가했고, 
LCK에서는 T1, 젠지, DRX, 담원이 참가, LPL에서는 TES, IG, FPX, JD가 참전함.
젠지는 B팀에 JD, DRX, IG와 함께 배정되었고, 여기서 젠지는 DRX에게 패배, JD와 IG에게 승리했음.
타이브레이크에서 DRX에게 승리해서 총합 3승1패, 해외팀 상대로 2승0패
허나 4강에서 TES한테 3:0으로 패배..

그리고 2020 롤드컵, C조에 배치되었고 같은 조에는 TSM, FNC, LGD
프나틱 상대로 1승1패, 나머지 전승해서 5승1패
조 1위로 진출하긴 했는데...
8강에서 G2 상대로 3:0 패배...
도합 7승 7패. 
조별리그 7승 1패
다전제 2패, 두 번 다 3:0 패배


<2021년>
스프링 준우승, 서머 3위로 롤드컵 진출. 
D조에 배정되었고, 같은 조에는 MAD, TL(=Team Liquid), LNG
웃긴건 여기에서 최초로 4자동률이 나와버림. 승자승도 없는 진정한 타이브레이커.
타이브레이크 2판에서 MAD, TL 상대로 전부 이기면서 5승3패로 1위 8강 진출.
8강에서 C9 상대로 3:0 압승.
허나 4강에서 EDG 상대로 패승승패패로 탈락...
도합 10승 6패 
조별리그 5승 3패
다전제 1승1패, 3:0 승리와 2:3 패배


<2022년>
스프링 준우승 서머 우승, 롤드컵 진출
D조에 배정받음. 같은조에는 RNG, 100도둑, CFO(CTBC Flying Oyster라는 팀으로 태평양, 즉 PCS 팀임)
RNG 상대로 첫판 졌으나 나머지 전승, 5승1패 상태에서 RNG랑 다시 치룬 타이브레이크 승리. 5승 2패.
8강 담원 상대로 승리했으나 4강 DRX라는 자연재해를 만나 패배.
도합 5승 2패 
조별리그 5승 2패
다전제 없음.


<2023년 (아직 MSI까지만)>
스프링 우승으로 MSI진출. 과거와 달리 더블 엘리미네이션 이라서 브래킷 스테이지 상위권 1라운드 진출.
1일차 C9 상대로 3:1 승리, 상위권 2라운드 진출
허나 2일차에 T1에게 패배하여 하위권 2라운드 진출.
하위권 2라운드에서 다시 C9 만나서 3:0승리, 하위권 3라운드 진출.
허나, 3라운드에서 BLG 상대로 3:0 패배....  대회 탈락
MSI까지 도합 6승 4패 
다전제 2승 1패 ( 3:1 승리 -> 3:0 승리 -> 3:0 패배)

======================================================================



종합하자면 젠지의 역대 해외팀 상대 기록
(다전제에 빨간색 해둠)


2013년 - 삼성화이트 도합 4승5패, 조별리그 4승5패 / 다전제 없음.
             삼성블루    X
2014년 - 삼성화이트 도합 12승5패, 조별리그 6승0패 / 다전제 2승 (3:1승리, 3:1승리)
             삼성블루    도합 8승2패, 조별리그 5승1패 다전제 1승 (3:1 승리)
2015년 X
2016년 - SSG 도합 11승1패, 조별리그 5승1패 다전제 2승 (3:0승리, 3:0승리)
2017년 - SSG 도합 9승4패, 조별리그 6승2패 (리라 2승, 롤드컵 4승2패),
             
다전제 1승1패 (리라 결승 첫 주자 패배 0:1, 롤드컵 3:1승리)
2018년 - GenG 도합 1승5패, 조별리그 1승5패 / 다전제 없음.
2019년 X
2020년 - GenG 도합 7승7패, 조별리그 7승1패 (MSC 2승, 롤드컵 5승1패)
             / 다전제 2패 (MSC 4강 0:3패배, 롤드컵 8강 0:3패배)
2021년 - GenG 도합 10승6패, 조별리그 5승3패 / 다전제 1승1패 (3:0승리, 2:3패배)
2022년 - GenG 도합 5승2패, 조별리그 5승2패 / 다전제 없음.
2023년(~MSI) - GenG 도합 6승4패 / 다전제 2승1패 (3:1승리,  3:0승리,  3:0패배)



해외팀 상대로 다전제에서 막 크게 약하거나 그러진 않는 것 같은데,
우째 내 기억에는 패배가 많이 각인되어있냐 ㅠㅠ
(물론 한 해가 통째로 흑역사인 경우들도 있긴 함)

그리고 팀이 GenG로 바뀐 뒤에는 이상하게 해외팀 상대로 다전제에서 많이 약해버리네...
물론 국내에서 잘 해야 국제전 나가는게 맞지만, 국제전에서 조금만 더 잘 해줬으면 좋겠다 ㅠㅠ
암튼 고생했어요 젠지 선수들이랑 감독들 ㅠㅠ 오늘 경기는 아쉬웠지만 다음에 더 좋은 모습 보여주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