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의견과 추측 그리고 경험적인 결과들로 적는 내용이고 이해가 안되신다면 뒤로가기 하시는게 좋습니다.

결론만 말씀드리면 CPU RAM 인터넷빨의 게임이라는 점과 함께 적당한 수준의 그래픽카드만 있어도  됩니다
CPU : 라이젠 데스크탑 기준으로 5천번대부터는 최상의 조건입니다. 방송인의 경우 굳이 인텔 최신형을 쓰시겠다하면 말리진 않겠습니다만 라이젠 5800x 이상부터 써주세요. 요즘은 7800x3D 가 가성비 대장이라고 알고있긴 합니다.
RAM : 다다익선 입니다만 16g 이상은 꽂아주세요. 방송인 분들은 최소 32gb 이상을 써주세요.
인터넷은 핑만 좋아도 해피해피합니다. 방송인 분들은 업로드 속도가 보장된 광랜을 써주시면 시청자분들이 보시기에 정말 좋은 화질을 즐길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gtx1060도 게임을 즐기기에는 충분합니다. (수직동기화 ON 기준) / 방송인분들은 3060ti 이상은 써주세요.
모니터 구성은 제발!! 모든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일하게 맞춰주세요.

조?금 더 자세한 내용으로 들어가면,,,,,

일반인 기준에서 메이플스토리(이하 멮)는 적당히 끊기지 않고 사냥과 보스 둘 다 무리없이 되면 됩니다.
먼저 인터넷 / 비(非)인터넷 에 의한 렉의 조건이 있습니다.
자주 있는 상황들만 생각해서 말씀드려보면,

무언가를 불러오는 상황 -> 캐릭터 선택 창에서 선택 후 입장하는 상황에서는 맵, UI 등의 기본적인 데이터들을 wz파일에서 불러옴과 동시에 서버와 주고받는 데이터를 불러왔던 데이터 위에 얹는 과정이 있을 때 wz파일로부터 불러오는 과정은 데이터의 이동이 ssd(hdd) -> ram 으로 불러오는 과정이며 ssd(hdd) 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는 사라진 렉 혹은 튕김 현상으로 64비트 패치 전, 클라이언트가 프로그램 하나에 온전히 약 4GB 이상을 할당하지 못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4기가 이상의 데이터가 불러와지는 경우 오버플로우? 현상으로 인해 클라이언트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램에 불러와져있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클리어하는 방법으로 캐시샵, 몬라 등을 들어갔다 나오면서 클라이언트를 쾌적하게 했던 적이 있습니다. 현재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현재는 맵입출력 버튼을 눌러 램에 온갖 데이터들을 다 때려박아두는 기능까지 있기에 램만 넉넉하면 위 현상으로 꺼지는 일은 없습니다) 
*하나의 예시로 예전 지인분 중에,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을 구매하시고 메이플을 하시는데 렉이 너무 심하시다. 라는 얘기를 듣고 팀뷰어를 통해 프레임레이트 체크를 하며 확인했을 때 멮 설치 경로를 HDD에 해두셨기에 SSD로 다시 설치하고 실행해보라 했고 체감하던 렉이 사라졌다는 경험이 있습니다.

타수가 동시다발적으로 많이 터지는 상황 -> 유니온 전투입장 or 파티격 극딜 시작 시 를 예로 들면, 유니온 전투입장은 타수가 터지기도 하지만, 불러오는 유니온 직업들의 공격스킬들이 일단 로딩이 되기때문에 처음 입장할 때 렉이 좀 있고 그 이후로는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으로 바뀝니다. 초기에 불러온 데이터덕에 (보조저장장치 -> 주기억장치) 의 속도차이로 인한 렉은 없지만 타수로 인한 렉은 남아있습니다. 이와 동일한 상황은 많은 분들이 겪는 검마1페 첫 극딜타이밍입니다. 6명의 각기다른 스킬과 함께 폭팔하는 타수가 있습니다.
타수는 CPU의 연산능력에 절대적으로 의존됩니다. CPU가 가진 연산능력을 순간적으로 초과하는 경우 프로그램이 잠시 뻗습니다. -> CPU를 좋은거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에 대한 질문으로 메이플은 현재 많은 개선을 통해 2쓰레드(코어가 아닙니다)를 완전히 쓸 수 있고 3쓰레드는 완벽하게 쓸 순 없습니다. -> 이에 대한 검증은 작업관리자 - 세부정보에서 멮 클라이언트의 CPU 스레드 할당을 1~4개 해보면서 테스트해보면 됩니다.

결론 : 멮 클라이언트는 오래된 다이렉트x 9 버젼 기반의 게임이기에 현재 나오는 멀티코어 프로그램처럼 CPU를 맘껏 사용하지 못합니다. 적은 코어라도 깡클럭이 높은 cpu가 메이플 돌리기에 깔끔합니다.(IPC가 높은 cpu일 수록 좋습니다) CPU 연산능력이 아무리 좋아도 3스레드 이상을 활용못하는 클라이언트이기에 무조건 최신제품이 좋진않다. 입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정말 큰 문제점은, 현재 CPU 제조사의 양대산맥인 인텔과 라이젠 중 인텔의 12,13세대 시리즈는 빅+리틀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그에 반에 라이젠은 기존의 구조를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빅리틀 구조는 말 그대로 대장과 n명의 따까리 / 기본구조는 평타치는 여러명 이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인텔의 빅리틀이 멮을 더불어 멀티코어가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 프로그램 사용 시에는 정말 좋지 않은 이유가 있습니다. 빅이 아닌 리틀코어만 사용하는 경우가 간간히 있는데 이때 성능저하 체감이 뒤집니다.
항상 전력과 방열성능이 좋은 상태에서도 같은 전력대비 성능차이가 엄청난 것으로 나오는데 하물며 일반적인 상황에선 그 차이는 심하면 심했지 덜하진 않을겁니다. (방열성능이 너무 나빠서 빅코어의 충분한 성능이 안나오는 경우 하향평준화 당하는 느낌으로 전체적인 코어의 성능이 하락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방송인과 일반인, 두 입장에게 모두 할 수 있는 말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성능을 꾸준히 내어주는 라이젠을 사서 쓰시는게 훨씬 안정적입니다. 자세한 얘기는 안하겠지만 라이젠 CPU의 현재 구조가 메이플에는 더할 나위 없습니다. 아무 코어라도 꾸준히 성능을 내주는 반면 인텔의 코어는 성능 차이가 있어 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생합니다.)
인텔 cpu를 굳이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메이플은 P코어로만 작동하게끔 지정하시는 방법이 있거나 E코어를 강제로 끄는 방법이 있습니다.

RAM : 사실 이 글을 여기까지 읽으셨으면 램 오버클럭이 뭔진 아실거라 믿고... 램 오버클럭 안해도 됩니다. 미미한 차이입니다. 진짜 맵입출력까지 끄고 게임하신다면 32gb 이상은 쓰세요.

인터넷은.. 핑 좋은거 쓰세요. 한국은 뭘 써도 앵간치 좋습니다. 미국에서 핫스팟으로도 차에서 노트북으로 하는 상황인데 한국은 뭘 해도 잘 됐었습니다.

그래픽카드 : 정말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하다 라고 말씀은 드릴 수 있으나 60hz 가 아닌 그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를 쓰시고 수직동기화 혹은 g-sync(freesync) 를 쓰신다면 최소 gtx1050~1060부터는 써주세요. 메이플은 그래픽카드가 그다지 중요하진 않습니다. 적당한 능력만 갖췄다면 실사용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 방송인 입장에서는 OBS 스튜디오(Xsplit?)와 캡쳐보드를 통해 녹화 및 실시간 송출하기에 그래픽카드의 자원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하시는 모니터의 개수와 송출, 녹화스펙 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rtx 3060ti 정도만 되어도 정말 충분합니다. (편집은 다른 얘기입니다)

모니터의 구성 : 이거 정말 중요합니다. 듀얼모니터를 쓰시는 경우 제발 두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일하게 맞춰주세요. 아니면 그래픽카드가 동시에 출력하는 과정에서 하나는 60 다른 하나는 144 이렇게 출력하면 144쪽에서 프레임레이트가 깎입니다. 뚜둑뚜둑 끊겨요.. 제가 세팅도와드린 분들 중에 대부분의 렉은 여기서 발생했었습니다.
-->>> 여기부분은 해결되었다고 합니다. 윈도우10 22H2 에서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합니다.

==============

노트북은 사실 브랜드의 라인업마다도 너무 다른 발열제어, 방열능력을 가졌으므로 멮을 돌리는 것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이 데스크탑보다 몇가지 더 추가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꾸준히 3~3.5ghz 이상을 유지해주는 발열제어능력 혹은 방열능력을 가진 노트북이 메이플하기 좋습니다.

저는 현재 서피스프로8 i7 으로 최대클럭을 4.3ghz에 제한걸고 씁니다.

* 제 노트북은 새로 샀는데도 너무 뜨겁고 팬소리는 제트기가 날라가는거 같은데 멮을 돌리다보면 렉이 너무 심해져요. -> CPU가 써멀 쓰로틀링(Thermal Throttling)에 걸린겁니다. CPU의 온도가 너무 뜨거운데 제대로 쿨링이 되질 않아 성능을 강제적으로 제한하고 발열량을 줄이는 보호모드입니다.

노트북 cpu의 경우 데스크탑 cpu보다 IPC도 떨어지기에 멮과 동시에 cpu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혹은 인터넷창을 열게되면 멮 클라이언트가 사용가능한 cpu 자원이 줄어들어 멮에 렉이 생기게 됩니다.

예전부터 써야지 써야지 하다가 요즘 서피스프로 다시 쓰기 시작하면서 서피스프로9 안사길 정말 잘했다는 느낌을 받고 있기에 적습니다.

이해 안되시는 부분이나 궁금하거나 위 상황과 관련없는 듯한 렉이 있는 경우 댓글주세요. 도와드릴 수 있는건 도와드릴게요.

즐-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