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창출을 하지 않는 영상입니다. 부담없이 봐주세요. 감사합니다.) 


시작에 앞서... 

다가오는 PC판 역전 이빌죠, 극강의 대항마가 존재하니 그 이름 "랜스"

높은 머리를 타격하기 매우 적합하며 넓은 범위공격은 가드와 카운터 기술로 대응하며 

꾸준히 이쑤시개로 오이피클 녀석을 찌르다보면 역빌죠라도 가볍게 요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랜스의 카운터 기술로 빈틈없는 공격과 방어 모두를 챙길수있는 팁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이후에 언급하는 버튼은 모두 Xbox패드 기준이며 Y는 좌클릭, B는 우클릭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행동 위주로 서술하겠습니다. 




0. 준비물: 가드성능 1 혹은 가드성능 3의 검사 세팅 (제 추천 세팅은 영상에서 가성1: 7분34초, 가성3: 8분20초) 
(멀티에서의 랜스는 움찔감소 1이 필수입니다.)

렌스는 타격수가 비교적 많아 예리도 관리하기가 어려운 무기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예리도 관리하기 편하고 성능 또한 좋은 가론다라 + 카이저 3세트를 애용합니다.

물론 장식주가 많이 필요합니다. 장식주에 따라 세팅이 천차 만별로 달라질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가드성능1 이상과 회심율을 90% 이상을 우선적으로 챙기시는게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초심주가 부족 할 때는 리오 소울 모자와 도베르 상의를 입고 어떻게든 비벼보았습니다.) 

커강은 회심 회복 입니다. 렌스는 파워가드를 자주 사용하면 체력이 꾸준히 빠져나갑니다. 

따라서 빠져나간 체력을 보충하기 위해 회복커강을 하여야합니다.

가론다라의 기본 회심 30% + 커강 10% + 약특 50%+ 공격4:5%= 95%가 됩니다.


1. 기본 공격 - 3연속 찌르기 후 짧은 카운터 (가드+B를 짧게 누르기) 

기본적으로 랜스는 상단 찌르기 혹은 중단찌르기를 섞어가며 3번까지 연속해서 찌릅니다.  
(마지막 3번째 찌르기의 데미지가 높습니다. )

이후에는 다른기술을 사용한뒤 (ex.카운터 기술 or 스탭밟기) 새롭게 3연속 찌르기를 다시 시작합니다. 

보통 한부위를 집중적으로 찌르고 싶을때는 찌르기를 3연속으로 사용하고 가드와 B버튼 짧게 눌러 카운터 찌르기를 

짧게 찌른뒤 다시 찔러나아갑니다. 주의할점은 찌르는동안 앞으로 조금씩 나아가므로 X 버튼을 방향과 함께 누르며 

찌르기 좋은 위치로 자리를 다시 잡은뒤 공격을 이어갑니다.  




2. 일반 카운터 - 가드 + B 길게 혹은 짧게

랜스는 몬스터를 잘 관찰하며 지금의 패턴이 끝나고 다음의 공격 패턴이 올것을 늘 인식하고 있는게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금의 동작이 끝났을 경우 딜욕심을 버리고 카운터를 사용할 준비를 해야합니다.

보통 몬스터의 느린 공격은 최대한 맞기 직전까지 찌르다가 카운터 버튼을 길게 눌러서 

공격이 오기를 기다리며 타격을 입었을시 맑고 청량한 소리와 함께 공격을 받아치고 찌르기를 이어나가시면 됩니다.

카운터 공격의 주의할점은 몬스터의 공격이 연타로 들어올때 첫번째 타격을 받아치고 바로 찌르기가 나가버리기 때문에 

흑디아의 잠복돌진 같은경우 카운터를 사용하시면 후속타에 맞을수 있습니다. 따라서 몬스터의 공격이 단일 히트일 때만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맑고 청량한 소리와함께 공격을 받아치면 이후에 카운터 찌르기를 하고 후속타로 바로 카운터 찌르기를 사용할수 있지만

만약 카운터 찌르기를 피격을 당하지 않고 사용했다면 카운터 찌르기를 사용하여도 그냥 찌르기가 나갑니다. 

따라서 몬스터의 공격을 너무 이르게 카운터 버튼을 눌러버려서 받아치지 못하고 찌르기를 사용했다면 

매우 위험한 상황에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타이밍이 어렵다 싶으면 초심자에게는 

공격을 중지하고 미리 가드를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파워가드 - 카운터 모션중 도약 버튼 (X버튼) 

카운터 운용 랜스의 꽃인 파워가드는 카운터 모션 도중에 도약버튼을 눌러 웅크린 자세로 

스테미너를 꾸준히 소모하며 전방향에서 오는 공격을 횟수에 상관없이 모두 견뎌냅니다.

이후에 방향을 잡은뒤 카운터 찌르기 공격을 이어나갈수도있고 도약 찌르기 공격을 하여 거리를 좁힐수도 있습니다. 

파워가드는 스테미너의 소모가 매우 큽니다. 버섯세팅으로 강주약 효과를 띄우시는게 좋습니다.

스테미너를 관리하기위해 는 보통 강한 공격이 예측될 때 카운터를 미리 길게 눌러 몬스터의 모션을 지켜보며 

피격당하기 직전 혹은 직후에 파워가드 버튼을 눌러 받아친뒤 바로 카운터 찌르기 혹은 도약 찌르기를 사용하여 

스테미너 소모를 최소화합니다. 

또 일반적인 카운터를 사용하다보면 몬스터의 공격이 강력할 경우 뒤로 심하게 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후속타 또한 중단찌르기가 나가던가 밀리기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밀리는 도중에 파워가드를 사용하면 더이상 밀리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카운터 찌르기를 이어 나갈수 있습니다.




4. 가드대쉬 - 공격 후딜레이 혹은 가드도중 방향을 잡고 Y버튼

가드대쉬는 이동과 동시에 가드를 할 수있는 매우 유용한 스킬입니다.

사실 반드시 익혀야할 필수 스킬이기도 합니다.

카운터를 사용하다보면 공격을 받아치지 못하고 그냥 찌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워가드 후속 찌르기는 피격을 당하는 여부에 관계없이 이에 포함됩니다.)

이때 연달아서 카운터 공격을 사용 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찌르기가 나가게 됩니다. 
(혹은 가드를 다시 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이때 사용해야 하는 기술이 바로 가드대쉬입니다. 

가드대쉬는 공격의 후딜레이를 캔슬하여 바로 가드 판정을 받으며 이동까지 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카운터와 가드대쉬를 능숙하게 섞어가며 공격을 하면 

몬스터의 공격을 언제든지 막아가며 촘촘히 틈틈히 빽빽하게 찌르기를 우겨넣으실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가드대쉬는 몬스터와의 거리를 좁히고자 할때 사용하면

불필요한 납도를 하지않고 가드를 유지하며 매우 안전하게 공격을 이어 나갈수 있습니다.
(돌진 공격으로 거리를 좁힐수도 있지만 돌진 직후의 행동은 후딜레이가 너무 길어서 피격당하기 쉽습니다.)


4. 돌진기술 - 가드중 Y+B 

랜스는 몬스터가 대경직 혹은 스턴으로 누워있을시 

돌진기술의 막타를 이용하여 큰 데미지를 꼽아 넣습니다.

기본적으로 돌진을 사용하자마자 Y버튼을 눌러 크게 찌른뒤 찌르기 공격을 3연속으로 사용하여 

찌르기중 가장 큰 데미지를 입히는 3번째 찌르기로 큰데미지를 한번 더입히고 

다시 돌진을 연달아 사용하는 딜 사이클을 이용합니다.

만약에 돌진기술로 몬스터를 지나쳤다면 뒷방향을 잡고 Y를 누르면 뒤돌아 휘두르며 큰 데미지를 입힐수 있습니다.



5. 스테미너의 관리 - 가드유지하며 이동

미세팁이지만 가드를 유지한 상태로 방향을 잡으면 움직이면서 스테미너가 차오릅니다.

제자리에서 가드만 하면 차오르지 않습니다. 

스테미너가 부족하다면 안전하게 가드를 유지하고 천천히 앞으로 나아가시는게 좋습니다. 

+ 추가 정보 (아사카님 덧글)
가드중 조준을 하면 원하는 방향을 바라보고 이동을 할수가 있습니다.
 
안전하게 위치를 조절하고싶으시다면 몬스터를 바라보며 뒷방향으로 슬금슬금 걷다보면 

가드도 하고 스테미너도 회복할수 있을것 같네요 허허허 추가정보 감사합니다. 


6. 마치며 

"랜스는 꾸준딜"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큰 데미지를 입히기 어렵지만

몬스터의 패턴 사이사이에 공격당하기 직전까지 촘촘히 딜을 우겨넣으며 칼타이밍에 맞춰 카운터로 

모든 패턴을 받아치다보면 마치 몬스터가 내 손안에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쾌감을 느낄수 있습니다.

더해서 랜스를 사용하다보면 몬스터의 패턴과 탬포 그리고 공격의 강도 등 많은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디아브로스는 뿔의 부위 파괴 여부에 따라 머리를 이용한 공격의 가드반동이 달라집니다. 

받는 데미지 또한 줄어들며 부위 파괴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게 됩니다.

멀티에서 프로 맞딜러들이 나뒹굴며 물약을 마시는 동안 묵묵히 몬스터의 머리앞에서 

회심의 빛이 팍팍팍 터지고 카운터의 경쾌한 소리를 울리는 모습의 랜스 고수들을 보고있자면

그보다 듬직하고 멋진 순간이 또 없습니다. 

몬스터의 패턴을 모두 파악하고 싶다면 한번쯤은 랜스를 들고 칼타이밍 카운터의 쾌감을 느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덧글에 알려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긴 글과 부족한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마치 






(PC 이빌죠 풀영상 또한 링크해 드리겠습니다. 광고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