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uskonomi님께서 올려주신 계산법으로는 아무래도 오차가 큰듯하여 개인적으로 계산해본 계산방식입니다.

다음의 2세트를 데이터셋으로 사용했습니다.







일단 그림으로는 정리해서 보기 힘드므로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1(Nation Blue)
nation blue 실제 총어필 212632
미리아 란코 코우메 치에 아라키
어필치 42026 46255 47739 36502 40110
스코어 478454 557486 480419 501760 605321
포인트 135 157 146 128 151

이때 각각의 어필치는 이번 이벤트에 사용되고 있는 공식대로 계산하였으며 총합이 스샷의 총 어필치와 일치하는지 확인이 끝난 값입니다.

최종 포인트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따르는것으로 보입니다.

A: 개인의 어필치/평균어필치(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B: 개인의 획득 스코어/평균스코어(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
C: A + B
D: C / (끝에 남은 사람 수 *2)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버림)
E: D * 전체가 얻은 총 포인트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F: 10*(A+B-2)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올림/반올림)
G: E+F

폭사한 사람이 있을 경우 전체가 얻은 총 포인트를 해당 사람이 폭사 안했다고 가정한 상황의 값으로 변환. G까지 계산 후 해당 사람만 G/2를 실제 획득하는 포인트로 생각.

최종적으로는 G가 각자가 얻는 포인트 인것으로 보입니다.

이걸 데이터 1에 대해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리아 란코 코우메 치에 아라키
A 0.99 1.09 1.12 0.86 0.94
B 0.91 1.06 0.92 0.96 1.15
C 1.9 2.15 2.04 1.82 2.09
D 0.19 0.215 0.204 0.182 0.209
E 136 154 146 130 150
F -1 2 0 -2 1
G 135 156 146 128 151
실제 값 135 157 146 128 151

오차가 약간씩 나는데 이건 반올림의 자리수나 반올림인지,올림인지,버림인지에서 오는 오차로 보입니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2(아타폰)
아타폰 실제 총어필 214693
안즈 아이리 시키 치카 카나데
어필치 46255 41862 47835 37063 41678
스코어 571748 531996 557106 494125 506932
포인트 158 142 159 127 138

이때 치카의 경우 사용된 어필치가 최대 어필치가 아닙니다(최대치는 37317). 각 아이돌의 최대어필치를 더해보면 최대 어필치보다 큰 값이 나옵니다. 해당 유저의 레벨이 63레벨이여서 가구레벨이 최대가 아닌것을 고려해보니 가구레벨 8일때의 치카의 어필치를 사용하면 실제 스샷의 총 어필치가 나왔기에 해당 값을 사용했습니다.

데이터 2에 대해서 계산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안즈 아이리 시키 치카 카나데
A 1.08 0.97 1.11 0.86 0.97
B 1.07 1 1.05 0.93 0.95
C 2.15 1.97 2.16 1.79 1.92
D 0.215 0.197 0.216 0.179 0.192
E 156 143 156 130 139
F 2 -1 2 -3 -1
G 158 142 158 127 138
실제값 158 142 159 127 138

이때 안즈와 시키의 계산값을 보면 계산값은 동일한 값이 나왔습니다만 반올림에 의한 효과로 보입니다.
반올림하기 전에 E값만 보면 안즈쪽이 155.66 시키쪽이 156.38으로 시키쪽의 기여도가 약간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몇정도의 오차는 보일 수 있을꺼 같습니다. 역시 반올림같은게 어디서 일어나는지가 문제겠네요

일단 이 방식이 의미하는게 무엇인가? 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스코어와 어필치는 같은 영향력을 지닌다.
  - 계산식 자체에서 두개에 차이를 주는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2. 절대치가 중요한것이 아니라 평균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가 중요하다.
  -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졌는가를 나타내는게 F값입니다. E값은 실제값과 차이가 나지만 F값의 보정이 들어가서 전체적으로 실제값과 비슷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번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어필치가 스코어보다 영향력이 크다 라는 사실과 반합니다.
제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필치와 스코어의 영향력은 같습니다'만', 어필치를 올리는것과 스코어를 올리는 것에 있어서 어느게 더 쉬운가의 차이가 있는거 같습니다.
스코어의 경우 사실상 실력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면 다들 평균치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 스코어를 얻습니다.
그에 비하여 지금 반남이 짜놓은 어필치 계산식에 따르면 해당 위치에 맞는 SSR과 아닌 다른 아이돌 사이의 어필치 차이가 극심합니다.
결국 스코어는 평균치 근방의 값을 얻기 쉬운구조이지만 어필치는 평균치보다 아주 높거나 아주 낮거나의 둘중의 하나입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어필치의 영향이 커 보이는거죠
어필치가 스코어보다 영향력이 크다 라는 문장을 정확하게 바꾸면 

"" 어필치와 스코어의 영향력은 같으나 해당 위치에 맞는 SSR을 두었는가의 영향력이 스코어 영향력보다 크다""

가 될꺼 같습니다.

그러면 SR유저의 경우는? 
이 계산법은 비율이 핵심이 되는 계산입니다.
일반적인 자리를 맞춘 SSR유저의 어필(46000~47000)에 비해서 자리를 맞춘 SR(38000~40000) 대충 1.2배쯤 어필치의 비율차이를 보입니다. 
그러므로 스코어상에서 1.2배정도의 차이를 내면 높은 포인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평균 스코어가 50만이면 60만점 정도겠군요
10만점이나 더 어떻게 내냐!!!
라고 화내시는 분들은 잠시 생각을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5명중에서 본인을 제외한 4명이 모두 해당 자리에 맞는 SSR을 가지고 올 확률은 생각보다 낮습니다.
중간에 본인을 제외한 SR유저가 섞여있기도 하고 SSR이긴 하나 해당 자리에 안맞는 경우도 많기때문이죠
모든 자리에 해당 자리에 맞는 SSR을 넣을수 있는건 핵과금러 뿐입니다....
그런거 다 고려하면 그냥 평균보다 잘하면 SR이라도 포인트 양이 잘 올라갑니다.
실력 좋은사람이라면 그냥 모든곡을 풀콤낸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획득 포인트가 쑥쑥 증가하죠
특히 어려운 곡의 경우 잘하는사람과 못하는사람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큽니다.
어려운 곡에서 풀콤치면 혼자 평균보다 뻥튀기 되는 구조이므로 이때가 풀콤치시면 포인트는 높게 잡힙니다.
첫 스샷의 SR 아라키가 좋은 예로 보이네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계산 중간에 곱연산으로 들어간 '전체가 얻은 총 포인트' 입니다.
해당값은 공식적으로도 스코어가 높으면 올라간다 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전체가 잘하면 모두에게 좋다 이번 협력 라이브의 모토인것으로 생각됩니다.
다같이 잘해서 다같이 높은 포인트 얻자는거죠

여튼 여기까지가 제가 추측해본 계산식입니다.
반남 직원이 아닌한 정확한 계산식을 구하는건 불가능해 보이네요
제가 생각한 저 식도 오차는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협력라이브 하시는 모두들 Sr득하시길!!
-----------------------------------------------------------------------------
폭사시 검증을 위해서 자폭해서 데이터 얻어봤습니다.


별똥별기적 실제 총어필 224512
안즈 아스카 카렌 후미카 유즈
어필치 46255 47000 48081 46387 36789
스코어 553520 589627 588345 605279 628667
포인트 142 149 151 75 134
노폭포인트 142 149 151 150 134
안즈 아스카 카렌 후미카 유즈
A 1.03 1.05 1.07 1.03 0.82
B 0.93 0.99 0.99 1.02 1.06
C 1.96 2.04 2.06 2.05 1.88
D 0.196 0.204 0.206 0.205 0.188
E 142 148 150 149 136
F -1 1 1 1 -2
G 141 149 151 150 134
폭사처리 141 149 151 75 134
노폭실제값 142 149 151 150 134
실제값 142 149 151 75 134

폭사안했을때 값으로 계산 한 뒤에 폭사한 사람만 /2하는게 맞는듯 합니다.
--------------------------------------------------------------------------------------
일본 위키쪽 정보로는 점수 계산시에 난이도 별로 특정 획득 점수를 넘어가는 순간 점수를 고정시켜버린다는 가설이 나왔습니다.
개인의 점수가
마스터 74만점
프로 46만점
레귤러 26만점
데뷰 18만점
을 넘어가면 실제 얻은 수치가 아닌 위의 수치들로 연산이 이루어지는거 같다고 하네요

해당 사실이 맞다면 제 식이 프로 이하에서 오차를 보이는건 컷오프가 고려 안되서일듯 합니다.
일단 검증은 이번 주말에 해보도록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