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해봤을 때 충분히 하스유저들이면 재밌게 할만한 게임이고 요즘에 하스 대신에 이거에 푹빠졌습니다.

 

영어긴 한데 제말 믿고 한 1~2시간만 해보세요. 하스 유저들이면 하스와 비슷한 스탯들이 몇개 있어서

 

아~~주 금방 적응할 수 있습니다.  장문이고, 꼭 다수가 많이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기에 올려봅니다.

 

게임의 이름은 Chronicle RuneScape Legends 입니다. 스팀 플랫폼이고, "부분 유료화" 입니다.

 

영어이지만, 영어의 수준은 쉬워서 하스스톤 영어판을 이해할 정도면 충분히 플레이 가능합니다.

 

runescape라는 원작 게임에서 (북미에서 우리나라 리니지 같은 느낌의 rpg게임이라네요. 해보진 않아서 잘..)

 

모티브를 따온 카드게임입니다. 아직 어플로는 없고, PC버전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하스보다는 사양을 탑니다.

 

3d 필드가 책으로 펼쳐지기 때문인데요, 그래도 피시방 보다 조금 안좋은 사양이라도 충분히 돌릴 수 있을 겁니다.

 

스팀에서는 '매우 긍정적'을 찍고있으며, 5월 26일 오픈한 아주 따끈따끈한 게임입니다.

 

일단 첫 인상은 하스유로서 기분이 나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스와 비슷한 부분이 한 두개가 아닙니다.

 

거대한 책을 펼치는거나, 카드팩의 가격, 일일퀘스트, 던저닝(던전탐험인데, 하스스톤의 투기장입니다.)

 

여러개의 직업, 카드 뒷면, 얼핏 봤을때 하수인 카드들의 스탯 등.. 하스유저로서 '이거 고소각아니야?'싶을 정도로

 

닮았는데 게임안에서의 플레이는 하스스톤과 확연히 다릅니다! 카드게임이 당연히 운빨이 있긴 하지만,

 

이 게임은 하스스톤에 비해 운빨이 훨씬 덜합니다.

 

직업은 5개 밖에 되지 못하지만, 현재 수많은 카드들이 추가된 하스스톤과 견줄만한 다양한 전략지(덱)가 있습니다!

 

(핵심은 두꺼운 글씨체로 해놓았습니다.)

 

 

1. 기본적인 플레이 방식

 

여기서부터 하스스톤과 확연히 다릅니다. 이 게임은 카드가 크게는 2종류로 나뉩니다.

 영어로 Fight(파이트)카드와, Adventure(어드벤쳐)카드 2종류가 있는데, 하스스톤으로 치면

 파이트는 하수인, 어드벤쳐는 마법카드에 해당이 됩니다.

 

하스처럼 영웅이 직접 카드를 플레이하게 되는데, 영웅의 종류는 총 5개입니다.

 

이름은 굳이 여기서 언급할 필요가 없으니, 대충 이미지로 말씀 드리면

 

마법사, 전사, 뱀파이어, 헌터, 대장장이    이렇게 있습니다.

 

마법사는 하스스톤의 마법사와 같이 슈팅류 주문들이나, 여러 특수 카드들로 다시 마법카드로 핸드 수급을 하여

 

얻은 유용한 마법들을 바탕으로 하여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 플레이 방식을 합니다.

 

전사는 하스스톤의 방밀전사와 거의 비슷합니다. 하지만, '거의'비슷하다고 표현한 이유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기

 

때문인데, 이는 나중에 언급해드리겠습니다.

 

뱀파이어는 하스스톤의 흑마법사 처럼 영웅의 체력을 소비하여, 강력한 효과를 얻거나 '흡혈'효과(상대 체력을뺏어서

 

내 체력을 회복함, 흑마 카드의 '생명력흡수'메커니즘이라 보시면 됩니다.)를 이용해 소비된 체력을 복구하는

 

플레이 방식입니다.

 

헌터는 하스스톤의 드루이드 마냥 이 게임에서의 코스트 및 자원인 '골드'를 뻥튀기하여 뻥튀기한 골드로

 

유리한 고점을 점하는 직업입니다. 하지만 몇일간 해본 저의 경험으로는 코스트 사기치는 영웅 치고는

 

OP가 아니었습니다. 하하.. 물론 쓸만하고, 재밌습니다.

 

대장장이는 이 게임에는 하스스톤에 비해 아주 많고 다양한 무기들이 있는데, 그 무기의 공격력/내구력을

 

계속 버프하여 마치 rpg 하듯이 무기를 키워 그걸로 상대 영웅을 작살내는 뽕맛이 있는 직업입니다.

 

 

(직업 설명은 대표 예시이기 때문에, 제가 예시한거와 다른 차원이 다른 덱을 짜서 독특한 플레이도 가능합니다.)

 

 

모든 영웅의 기본 체력은 하스와 똑같이 30이며, 기본 공격력은 2입니다. 엥? 기본 공격력?

 

이 게임은 총 5챕터로 진행이 됩니다. 챕터마다 내가 플레이할 수 있는 카드는 4장입니다.

 

그리고 다음챕터로 넘어갈시, 기본적으로 3장의 카드를 드로우합니다.

 

(게임에서 칸으로 표시되며, 이 게임도 하스처럼 순서가 중요하여 카드 플레이 순서를 정해서 배열할 수 있습니다.)

 

즉, 최후의 결전 전까지 최대 20장의 카드를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최후의 결전은, 5챕터가 모두 끝난 뒤, 남자의 향기가 물씬나는 서로 주고패는 일기토끝에

 

상대 영웅의 체력을 0으로 만들어 최종 승자가 결정됩니다.

 

만약 5챕터가 모두 끝나기 전에 이미 상대 영웅의 체력이 0이되면 역시 게임이 종료가 됩니다.

 

자, 그럼 챕터 동안 무얼 하느냐? 제가 처음에 파이트 카드와 어드벤쳐 카드가 나뉜다고 했죠?

 

파이트 카드는 하수인입니다. 하수인을 챕터에 배치를 하면, 영웅은 그 하수인을 사냥을 합니다.

 

그 하수인을 사냥해 얻은 자원, 체력, 방어도 및 다양한 효과들을 이용해 어드밴쳐 카드를 사용하고,

 

어드밴쳐 카드로 영웅을 서포트하여(어드벤쳐카드 = 서포트 카드라고도 합니다.)

 

챕터를 진행하면서 상대 영웅의 체력을 0으로 만들면 이깁니다. 하수인 카드를 만나게 되면

 

영웅이 먼저 타격을 하며, 하수인 카드가 만약 한번에 죽지 않았을 때, 하수인도 맞받아 칩니다.

 

당연히 하수인(파이트)카드도 공격력과 체력이 있습니다.  하수인에게 내 영웅이 죽어도

 

게임이 종료됩니다.  그럼 영웅끼리 주고받는건? 선공이 무조건 먼저 타격합니다.

 

그리고 카드의 발동도 선공이 먼저 발동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게임은 선공,후공이 매우 중요합니다.

 

(모든 경우가 그런건 아니지만, 보통은 선공이 유리하긴 합니다.)

 

덱 메이킹은 최소 30장~최대35장으로 커스텀이 가능하며, 위에 설명했듯이 최대 플레이 가능한 카드수는

 

20장이라는 것을 감안 하시고 드로우 카드를 적절히 섞어 메이킹 하시길 바랍니다.

 

카드는 크게

 

공용 어드벤쳐 카드, 직업 전용 어드벤쳐 카드, 공용 파이트 카드, 직업 전용 파이트 카드 이렇게 4종

 

이며, 무기는 어드벤쳐 카드에 속합니다. 각 직업 카드는 하스스톤과 같이 색깔로 구분이 가능하며,

 

초록색=마법사  노랑색=전사  보라색=뱀파이어  주황색=헌터  빨강색=대장장이 가 되겠습니다.

 

(눈치 채셨을수도 있지만, 하스와 다르게 공용 무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직업이 무기 사용이 가능합니다.)

 

선공은 6장으로 게임을 시작하며, 후공은 7장으로 게임을 시작합니다. 하스와 마찬가지로 1번 멀리건이 가능합니다.

 

다음 사진들을 보시면서 제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공용탭 : 직업 전용이 아닌, 공용 카드를 보고싶을 때 클릭

2. 직업 전용 탭: 직업 전용카드를 보고싶으면 클릭. 위 이미지의 직업은 마법사입니다.

3. 텍스트 검색: 누르시면 텍스트 검색창이 나옵니다.

4. 파이트 카드 탭(빨간 끈): 파이트(하수인)카드를 표시합니다. 직업/공용 탭 필터링 가능

5. 어드벤쳐 카드 탭(파랑 끈): 어드벤쳐(마법)카드를 표시합니다.  직업/공용 탭 필터링 가능

6. 비용 탭: 어드벤쳐 카드들의 경우, 골드값(소모비용) 별로 표시, 파이트 카드들의 경우 체력값 별로 표시.

7. 덱의 전반적 스탯(요약) : 말그대로 덱에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있는지 단적으로 표시해주는 창.

제일 왼쪽 부터  무기의 갯수, 영웅 공격력 총 증가량, 총 골드 수급량, 총 체력 회복량, 총 방어도 증가량 순서.

8. 덱 구성요소 : 덱의 구성요소. 하스스톤과 마찬가지로 같은 카드는 2장씩 까지, 총 30~35장으로 세팅합니다.

다이아 등급(하스로치면 전설)카드는 1장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덱 구성요소 부분에 마우스를 올려두고

마우스 스크롤을하면 밑에 가려져있는 목록들도 볼수 있습니다.

 

---------------------------------------

 

위의 사진은 첫 멀리건시 화면입니다. confirm을 누르면 멀리건이 끝난후 게임이 시작됩니다. 하스처럼

x표시가 된 카드가 덱으로 다시 들어갑니다. 지금 첫 패가 6장이므로, 저는 선공인것을 확인할 수가 있죠.

------------------------------------------------------

 

1. 상대방의 스탯입니다. 왼쪽부터 영웅의 기본공격력 2, 시작골드 0, 시작(최대)체력 30임을 알수 있고

맨 왼쪽 빈칸은 무기의 스탯이 n/n 이런식으로 들어가고, 맨 오른쪽 빈칸은 방어도가 표시됩니다.

2. 한 챕터에서 플레이하는 나의 카드들입니다. 순서가 매우중요하며, 내가 원하는대로 순서 조정이 가능합니다.

한장도 안낼수있고, 4장을 다 내도 됩니다. 대충 2번 박스 내용을 설명드리면,

첫번째 카드로 골드 펌핑, 두번째로 몬스터 사냥, 세번째 무기장착, 네번째 장착후 강해진 공격력으로 몬스터사냥

이 순서가 되겠습니다.

3. 하스스톤의 턴종료 버튼과 똑같습니다. 시간이 없다는걸 의미하는 신호는 저 play버튼의 깃발이 매우 심하게

흔들립니다. 하스와 다르게 질질끌다 훅가버리니 조심하셔야하고, 하스보다 턴시간이 약간 짧습니다.

4. 남은 나의 패입니다. 최대 10장까지 킵이 가능합니다. 위에 짧게 언급했는데, 한 챕터 끝날시 기본적으로

3장을 드로우합니다. 만약 패가 10장이 되버린다면 10장이 될때까지만 드로우를 하고, 더 드로우를 하지 않습니다.

즉, 다음챕터에 3장이 자동으로 드로우된다는걸 명심하시고 패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5. 나의 스탯입니다. 1번과 내용동일

6. 몇챕터인지 표시해줍니다. 5챕터 까지 있으며, 5챕터가 끝나도 결판이 안나면 최후의 결전(일기토)를 합니다.

 

 

대략적인 플레이 설명은 여기서 마치고, 이제 카드 이미지를 보면서 카드가 무얼 의미하는지 봅시다.

 

2. 카드 구성요소 설명

 

일단 파이트 카드를 살펴보겠습니다.

1. 몬스터의 공격력입니다. 만약, 이 하수인이 영웅의 공격에 한번에 죽지 않을 경우, 반격을 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셔서 알겠지만 영웅 초기 공격력이 2이므로 이녀석은 한대 맞고 살아남고 5의 반격을

한후 다시 공격받아 죽게됩니다.

2. 지금 이카드는 비어있지만, 하스스톤의 종족값(야수,해적 등)같은 값이 표기됩니다. 상당히 다양한

종류의 종족값이 있으며, 이 종족값에 따라 카드효과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깊게 살펴보세요.

어드벤쳐카드들도 역시 또한 종류가 있으니 주의깊게 살펴보세요.

ex) 어드벤쳐카드- 다음 dragon(용족)의 공격력을 5 감소시킵니다.

      어드벤쳐카드- Potion(물약)종류의 어드벤쳐카드 2장을 내손으로 가져옵니다.

3. 몬스터의 생명력입니다. 내 영웅의 공격력이 3이상이라면 한번에 죽겠죠?

4. 카드 아래쪽에 있는 수치들은 어드벤쳐카드는 사용시, 파이트 카드는 몬스터 사냥 성공시 획득하는 자원입니다.

   이 카드의 경우에는 처치시 1골드를 얻고, 공격력2/내구도3의 무기를 얻습니다.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놓았습니다. 궁금한게 있으면 이글 말미에 제 스팀아디, 이 게임아이디 모두 적어놓을테니

언제든지 친구등록하셔서 물어보세요.

 

------------------------

어드벤쳐 카드를 살펴보겠습니다.

 

1. 이 어드벤쳐카드의 소모비용입니다. 6골드가 필요하네요.

2. 위에 설명했던 어드벤쳐카드의 종류값(?)입니다. 이 카드는 Potion(포션류)이군요.

3. 이 어드벤쳐카드 사용시 획득하는 것들입니다. 이 카드의 경우, 체력7과 영웅의 기본공격력1을 얻는군요.

  영웅의 기본공격력 획득은 게임이 끝날때 까지 영구지속됩니다. 가운데 보석은 카드의 등급을 뜻합니다.

보석없음=기본카드  에메랄드(초록색)=일반카드  사파이어(파랑색)=희귀카드  루비(붉은색)=영웅카드

다이아(하양 십자가모양)=전설카드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역시 카드 등급에 따라 제작비용도 다릅니다.

 

 

-------------------------------------------

 

이런글은 처음써보느라.. 별 내용도 없는데 오래걸리고 글도 허접하네요. 이해해주세요.

 

완전 생 기초 소개글이기 때문에, 기초지식만 적어두었습니다. 심화지식(?)알고싶으시면

 

제 스팀아이디 : tmdwn432  스팀 닉네임: Ousters  크로니클: 룬스케이프 레전드 닉네임: Ousters

 

이니까 언제든지 친추하셔서 물어보세요!! 그리고 같이 하실분 구합니다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