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조국을 치유하기 위한 마지막 시도에 나선다'는 제목 아래 향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전망을 담고 있다.

해당 기사는 문 대통령 당선 이후 한반도 긴장 상황을 거쳐 2018년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이 열렸으나, 이후 2019년 '하노이 노딜'로 북미협상이 교착되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되는 등 그동안 부침의 과정이 상세히 소개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취임 후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갖는 등 평화 프로세스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힘쓰고 있지만, 당장 내년 3월 한국에서 대선이 열리기 때문에 시간이 촉박하다고 타임은 진단했다.

문 대통령 역시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저도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안다"며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평화는 매우 깨지기 쉬운 평화다.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타임은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정직하고 열정적", "세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잘 알고 있다" 등의 평가를 했다고 인용했다.

또 "자녀들이 핵을 짊어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김 위원장의 발언을 문 대통령이 재차 언급한 것을 소개하는 등 문 대통령의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부각했다.

다만 타임은 국제 사회에서 북한 인권에 대한 비판이 여전하다는 점, 한국의 정치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점, 문 대통령이 남북 간 백신 협력을 꺼내 들기는 했으나 상황을 타개할 독창적 아이디어는 마땅치 않다는 관측 등도 함께 소개했다.

한편 타임은 한국에서 대선이 열린 지난 2017년 5월에도 '협상가(the negotiator)'라는 제목이 달린 문 대통령의 사진을 아시아판 표지에 게재한 바 있다.

대한민국 기더기들도 이런 객관적인 기사나 비판도 제대로 할줄 아는 기사를 작성했으면

맨날 찌라시나 일베.같이 왜곡 이상한 사진 붙이거나 복불복하는 기사 이런거 작성하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