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2.3 내용 일부를 수정·보완하였습니다.>

1. 전투비숍은 결코 좋은 직업이 아닙니다
2. 빠른 사냥&레벨업을 기대하시면 대단힌 곤란합니다
3. 여유와 인내심이 필요하며 캐릭터를 향한 가없는 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4. 무자본으로 시작하는 분들도 충분히 할 수 있지만 자본이 있으면 편한 것이 사실입니다.
5. 비전승 장판까지만 비교적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며 전승 후부터 비숍까지는 짧게 다룹니다.

 

안녕하십니까, 바포메트 서버에서 전투비숍을 육성 중인 전투비숍입니다...(__)

지난편에서 노비스부터 프리스트까지의 과정을 다루었으며 이번 편에서는 프리스트부터 99레벨, 즉 장판까지의 과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전투비숍을 키워보자 - 프리스트

프리스트로 전직하면 HP와 SP가 부쩍 늘어나기 때문에 생존률이 높아지고 SP관리도 다소 편해집니다.
그렇지만 사냥터가 바뀌는 것은 아니기에 오크 필드의 오크들을 때려잡으며 레벨업을 해나갔습니다.

스테이터스는 여전히 덱스&어질 중심으로 투자하게 되며, 스킬트리는 무자본이신 경우 임포시티오 마누스3 이후 아스페르시오를 익히는 것을 추천합니다만 화속성 무기가 있으신 경우에는 메이스 수련 마스터를 하셔도 됩니다.

 

 

 

베이스 레벨 44에서 임포시티오 마누스 마스터 후 오크던전으로 진출하였습니다.

오크 던전은 몹의 리젠이 빠른 편이라 4마리 이상이 들러붙는 경우가 잦아 회피율의 효능을 보기가 다소 어렵기에 런닝&팬티 세트보다는 낙원단 제복&망토를 입어 생존률을 높이시는 게 좋습니다. 아스페르시오를 빨리 익히시는 경우 성수를 미리 챙겨가시는 것도 좋습니다. 던전으로 들어가기 전에 초보자용 포션(이하 초포)를 최대한 많이 들고 가시기 바랍니다.

 

<Tip>
붉은 박쥐처럼 생긴 드레인리어가 거는 암흑은 큐어로 치료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암흑은 회피율을 대폭 감소시키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큐어보다는 텔레포테이션이 나을 수 있습니다.

 

<Tip for the rich>
눈가리개, 검은 눈가리개가 있으면 드레인리어의 암흑에 걸리지 않습니다.
둔기 중 슬래쉬는 불사형 몬스터 사냥시 5%의 추가경험치를 주므로 있으면 좋습니다.
좀비 프리즈너C작 신발은 불사형 몬스터 사냥시 10%의 추가경험치를 주므로 있으면 좋습니다.
미니데몬C작 신발, 에인션트 웜C작 신발 등 추가경험치 획득이 가능한 신발이 준비되어 있으면 앞으로의 레벨업이 편해집니다.

 

 

 

베이스 레벨45에서 임포시티오 마누스를 마스터하고 아스페르시오를 익히기 시작했습니다.
아스페르시오는 일정시간 동안 무기에 성속성을 부여하기에 암속성, 사속성 몹에게 효과적입니다.
아스페르시오는 성수 1개를 소모하므로 사냥하는 틈틈이 잡템을 긁어모아 성수값을 충당하시기 바랍니다.
오크 던전에서는 레벨55까지 사냥하셔도 되고 더 오래 계셔도 됩니다.

 

 

 

레벨51이 되었을 때 오크 던전에 사람이 너무 많아진 관계로 페이욘 던전에 들렀습니다.
게펜 북동쪽으로 가서 세비지를 잡을 수도 있습니다만 메이스 수련 마스터보다 아스페르시오를 먼저 마스터했기에
무낙과 본건을 잡는 편이 빨라서 페이욘 던전에서 레벨55까지 사냥하기로 했습니다. 사냥 중 구미호가 보이면 싸우지 마시고 텔레포테이션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레벨 55가 되었을 때 갈기털, 물갈퀴 등의 낙원단퀘스트를 통해 레벨을 좀 올려서 60렙제 낙원단 장비퀘스트를 했습니다.
낙원단의 정말 훌륭하신 보야 옆에 있는 우르에게서 퀘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만 레벨60때 받는 퀘스트는 코모도에서 실시하고 잡템을 모아 와야하는 관계로 퀘스트 해결에 시간이 좀 걸립니다. P.메이스Ⅲ를 빨리 지급받고 싶으시다면 하셔도 됩니다만 그렇지 않다면 레벨70때 글레스트 헤임에서 실시하는 퀘스트를 하시는 게 나을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레벨55~71까지 물갈퀴나 갈기털 같은 낙원단 퀘스트를 통해 레벨업하는 것을 권합니다.
물갈퀴나 갈기털을 살 돈이 없는 분들은 세비지 30마리를 잡으라는 낙원단 퀘스트를 하면서 세비지밭에서 레벨71까지 사냥하시면 되겠습니다. 상당히 빠른 레벨업이 가능합니다. 세비지가 주는 갈기털은 팔아서 전승비에 보태면 되겠습니다.

 

<2011.2.3 수정>
스테이터스는 덱스를 50~60까지 투자하시고 나머지는 어질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비전승 프리스트 시절에는 SP압박이 꽤 크기 때문에 인트를 적당히 투자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스테이터스는 왼쪽이 순수 스테이터스고 오른쪽은 블레싱이나 장비, 잡레벨 등으로 증가한 가중치입니다.
순수 인트와 가중치 인트를 합해 6, 12, 24…, 즉 6의 배수가 될 때와 SP최대치가 100의 배수가 될 때마다 SP회복량이 증가합니다. 라그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잘 계산하셔서 적당히 인트를 투자하시기 바라며, 어질을 99까지 올리는 것이 최우선이기에 이 시기에 적당히 투자하셔야 합니다.


스킬은 임포시티오 마누스, 아스페르시오, 메이스 수련 마스터 후 워프포탈을 익히시거나 글로리아를 마스터하시고 기리에 엘레이손을 마스터하시면 됩니다. SP회복을 익히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세비지밭에서 레벨71까지 사냥한 후 알데바란 북서쪽으로 가서 그랜드 페코와 고우트를 잡았습니다.
글레스트 헤임으로 가서 레이쓰와 이블 드루이드를 잡을 수도 있습니다만 제 경우 회피가 잘 안 되서 레벨75까지는 알데바란 북서쪽의 그랜드 페코와 고우트를 잡았습니다.

 

<Tip>
그랜드 페코의 소닉 블로우가 상당히 아프므로 낙원단 제복&망토를 입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랜드 페코 이후로도 소닉 블로우를 사용하는 몬스터를 만나게 되므로 바이탈을 올리시는 것도 좋습니다.
일단은 어질을 99까지 올리는 것이 최우선인 관계로 많이 투자하시면 좀 곤란합니다.

 

 

 

레벨75부터 글레스트 헤임에서 레이쓰와 이블 드루이드를 잡기 시작했습니다.
아스페르시오가 빛을 발하는 곳으로, 낙원단에 이블 드루이드&레이쓰를 각각 10마리씩 잡는 퀘스트가 있는데, 글레스트 헤임까지는 가는 것이 좀 귀찮습니다만 일단 도착만 하면 아스페르시오 1~2번 쓸 시간 안에 때려잡는 것이 가능하기에 86레벨까지 빠른 레벨업이 가능했습니다.

 

<Tip>
이블 드루이드와 레이쓰는 암흑을 겁니다.
이블 드루이드와 레이쓰가 거는 저주는 블레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80레벨 때 60레벨 낙원단 무기에 인챈을 할 수 있는 퀘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종족 증뎀 혹은 힐량 증가 인챈을 할 수 있는데, 동물형 증뎀이 무난한 것 같습니다.

 

 

 

86레벨부터는 86~90레벨 낙원단 퀘스트를 병행하면서 글레스트 헤임의 다크 프리스트를 잡았습니다.
제 경우 지상쁘띠, 라플레시아, 알람, 혜군 퇴치를 했습니다. 86레벨이상 퀘스트부터 각각의 퀘스트마다 3시간의 대기시간이 존재하므로 가급적이면 많이 할수록 빠른 레벨업을 보장합니다만 해당하는 몹의 개체수가 극도로 적어 클리어하기 힘든 것도 있고 주변에 강력한 몹이 존재하는 이유로 클리어하기가 힘들 수도 있으므로 퀘스트를 하기 전에 사전 답사를 가보시거나 인벤 게시판 검색 등을 통해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2011.2.3 추가>
스테이터스는 어질99가 되었을 것이고 덱스는 50~60은 되셨을 것입니다.
덱스를 60까지 올리시고 글로리아와 기리에 엘레이손을 자주 쓰게 되므로 인트를 20이상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럭을 적어도 30까지는 올리시기 바랍니다. 명중률과 회피율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취향에 따라 럭을 더 투자하셔도 되고 남는 것은 바이탈과 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Tip>
90레벨 때 60레벨 낙원단 무기에 인챈한 것을 더 강화할 수 있는 퀘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강화한 것을 한층 더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동물형 증뎀을 한 무기라면 그 능력을 더 강화시켜주는 식입니다.

 

 

 

86레벨부터 99레벨, 즉 장판을 달 때까지 주로 잡게 될 몬스터는 아마도 글레스트 헤임의 다크 프리스트일 것입니다.
95레벨부터 데저트 울프나 마그마링을 잡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아스페르시오가 통하는 다크 프리스트를 잡는 게 편합니다. 다크 프리스트가 사용하는 홀리 크로스는 맞으면 상당히 아픈데 1000이상의 데미지가 2번 들어옵니다. 따라서 기리에 엘레이손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딱 한 번이지만 홀리 크로스의 데미지를 100~300정도 다는 정도로 대폭 감소시키기에 힐이나 텔레포테이션을 쓸 시간을 벌어줍니다.

 

<2011.2.3 추가>
86레벨부터 다크 프리스트를 잡는 것은 어느 정도 장비가 뒷받침이 되는 분들에 한해서 가능한 것이고 낙원단에서 지급한 장비와 런닝&팬티 정도가 전부인 분들은 좀 힘듭니다. 이런 분들은 낙원단 퀘스트를 병행하면서 글레스트 헤임의 이블 드루이드와 레이쓰를 잡으면서 레벨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다크 프리스트를 수월하게 잡을 수 있을 때 파티에 들면 대개 엔첸트 블레이드를 써주시는 룬나이트 분이 있기에 다크 프리스트를 잡는 편이 이블 드루이드나 레이쓰를 잡는 것보다 훨씬 낫겠습니다만 파티에 들지 못한 상황일 때에는 다크 프리스트를 잡을 때 필요한 평타횟수와 이블 드루이드, 레이쓰를 잡을 때 필요한 평타횟수를 계산하신 후 좀 더 이득인 쪽을 선택하여 사냥하시기 바랍니다.

 

<Tip>
다크 프리스트밭에는 보스 몬스터인 다크로드(다롱이)가 출몰하곤 합니다. 다크로드가 보이면 텔레포테이션을 하시기 바랍니다.

 

<Tip for the rich>
바소리C작 갑옷이 있으면 다크 프리스트의 홀리 크로스 데미지가 줄어듭니다.

 

<정리 - 2011.2.3 수정>

스테이터스는 덱스를 60까지, 어질은 99까지 올리는 것이 보통입니다. 럭을 30이상, 인트를 20이상 투자하시기 바라며 바이탈을 10~20까지 투자하는 것도 좋습니다. 남는 포인트는 힘에 투자하여 공격력을 높이시기 바랍니다.

 

스킬은 워프포탈 마스터, 기리에 엘레이손, 글로리아 마스터 후 SP회복이나 데몬베인에 투자하거나 렉스 디바나, 리저렉션을 익히는 등 자유롭게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91레벨이 되었을 때 91~99레벨 낙원단 퀘스트를 병행하면서 다크 프리스트를 잡았습니다.
제 경우 거북섬의 솔리더&프리저 퇴치, 글레스트 헤임의 인저스티스&리비오&다크프리스트 퇴치, 라헬/베인스의 로우윈&스태포 퇴치를 했습니다. 다크프리스트 퇴치시 보상 경험치가 상당히 좋았습니다.  인저스티스와 리비오의 소닉 블로우를 주의하셔야 하며 리비오는 프로보크까지 겁니다. 프로보크가 방어력을 감소시키는 대신 공격력을 상승시키기에 프로보크를 걸어주는 게 고마울 때도 있긴 합니다.

 

<Tip>
인저스티스와 리비오를 잡을 경우 낙원단 제복&망토가 생존률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드디어 레벨99가 되었습니다.
부족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전승 후에 대해서는 다음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