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태평양 3서버, 바이킹 상회, 네덜란드 초식 유저 SOlivE 입니다.

통합 시트를 조금씩 참고하다가 특정 교역품의 특정 항구 시세도 궁금해서 직접 만들어봤습니다

원래 혼자 정리만 하려다 네덜란드 유저분들에게 공유하고자 판을 키우게 되어 여기까지 왔네요 ㅋㅋ






네덜란드 유저이기 때문에 북해 시점으로 작성됩니다.

유럽에서 타 해역권에 판매하는 유럽 교역품들은 
코콜라(발트해) ~ 말라가(이베리아 초입)까지의 모든 항구
구입 원가(시세 100% 기준, 할증 제외) 600두캇 이상의 모든 교역품입니다. 
(특정 물품 예외 : 품목 선정 기준은 추가로 작성자 주관 포함)


판매 해역권은 북미, 지중해, 서아프리카, 남미를 제외하고 
카리브, 서남아프리카, 동아프리카, 홍해, 페르시아, 인도,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까지 입니다.
동아시아, 호주는 조건 달성 시 업데이트

동아시아 업데이트 : 상단 링크 참고
호주 업데이트 : 미정

해당 해역의 모든 항구에서의 판매 수익(판매 원가(100% 기준)-구매 원가(100% 기준)할증할인(스킬, 언어, 직업, 관세 등) 제외)을 수집하였습니다. 

사실상 내파 100을 찍지 못한 중급 유저들을 위한 교역 시세표라 보셔도 좋을 듯 싶네요.
2022. 12. 21 내파 완화 패치 적용!


* 모든 이미지는 클릭하면 커져욧!




1. 카리브
[선단레벨 : 20, 내파 : 15]
산후안~베라크루스, 16개 항구

1-1. 카리브에 가져간 유럽의 교역품



항구 상위 분류는 문화권, 문화권 상위 분류는 해역(선단렙, 내파, 돌파 등에 따른 진입 해역)이라 판단합니다.

카리브는 왼편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가장 먼 항구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셀 색상은 해당 교역품 분류군의 우대 사항입니다.(각 시세표 하단 표 참고. (통합 시트를 참고하였음.))


1-2. 유럽으로 가져간 카리브 교역품



북해는 오른쪽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가장 먼 항구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2. 서남아프리카
[선단레벨 : 25~30, 내파 : 10~20, (돌파 : 10)]
루안다~이카파, 4개 항구

2-1. 서남아프리카에 가져간 유럽 교역품



서남아프리카는 오른쪽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가장 먼 항구 이카파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2-2. 유럽으로 가져간 서남아프리카 교역품






3. 동아프리카, 홍해
[선단레벨 : 35, 내파 : 35, (돌파 : 20)]
나탈~앗수웨이스, 15개 항구

3-1. 동아프리카, 홍해로 가져간 유럽 교역품



동아프리카, 홍해는 오른쪽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홍해 마사와(가장 멀면서 동시에 주류를 취급하는 항구)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표의 하이픈'-'은 판매가가 0두캇이거나 판매중인 품목으로 적자 항목)


3-2. 유럽으로 가져간 동아프리카, 홍해 교역품






4. 페르시아 만, 인도
[선단레벨 : 35~40, 내파 : 45~55, (돌파 : 20)]
바그다드~콜카타, 14개 항구

4-1. 페르시아, 인도로 가져간 유럽 교역품



페르시아, 인도는 오른쪽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가장 먼 콜카타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표의 하이픈'-'은 판매가가 0두캇이거나 판매중인 품목으로 적자 항목)


4-2. 유럽으로 가져간 페르시아, 인도 교역품






5. 서남아시아
[선단레벨 : 40, 내파 : 65]
페구~롭부리, 6개 항구

5-1. 서남아시아로 가져간 유럽 교역품



서남아시아는 오른쪽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가장 먼 롭부리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표의 하이픈'-'은 판매가가 0두캇이거나 판매중인 품목으로 적자 항목)


5-2. 유럽으로 가져간 서남아시아 교역품

동남아시아의 무역품과 대부분 비슷하기 때문에 6-2에서 다같이 정리


6. 동남아시아
[선단레벨 : 45, 내파 : 75]
자야카르타~반다, 마카오, 17개 항구

6-1. 동남아시아로 가져간 유럽 교역품



동남아시아는 오른쪽일 수록 거리상 먼 항구(절대적이지 않음)로 배치하였고 
주류를 취급하는 가장 먼 항구인 마카오의 기준 시세 차익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습니다.
(표의 하이픈'-'은 판매가가 0두캇이거나 판매중인 품목으로 적자 항목)
(마카오는 명나라의 영지로 관세가 항상 존재함을 참고하세요!)


6-2. 유럽으로 가져간 동남아시아(서남아 물품과 겹침) 교역품






동남아시아는 카리브↔동남아 무역 효율이 좋다고 하지요.
동남아 주요 교역품 중 일부가 서남아시아에도 존재하니 카리브 물품을 서남아시아에 가져간 것도 보겠습니다.

7. 카리브↔서,동남아 무역

7-1. 동남아시아로 가져간 카리브 교역품




7-2. 서남아시아로 가져간 카리브 교역품




7-3. 카리브로 가져간 서, 동남아시아 교역품




7-4. 북해로 가져간 서, 동남아시아 교역품 (위와 비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