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용도에 따라 선택하자…SSD라고 다 똑같은 SSD는 아니다
S-ATA SSD와 NVMe SSD 뭐가 좋은 선택일까?

 

저장장치는 PC에서 큰 역할을 담당한다. 운영체제부터 세세한 데이터까지 저장장치에 보관되기 때문에 PC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저장장치는 HDD가 전부였다. 더 빠른 제품을 사용하고 싶어도 대안이 없었다.

 

그러나 2007년 얇은 넷북이 등장하면서 eMMC 방식의 SSD를 사용했고, 이를 시작으로  시작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했다. 사실 SSD의 폭발적인 성장은 수요와 공급이 적절한 부분도 분명히 있었다(태국 홍수로 인해 HDD 1, 2위 공장이 물에 잠기면서 가격이 상승했고, 당시 SSD가 크게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SSD는 현재 PC에서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이제는 PC에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기본적으로 SSD가 HDD보다 빠르다는 사실을 알고있다. 하지만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인터넷을 찾다보면 생각보다 복잡하다. 사전 지식이 없다면 외형에서부터 폼펙터 등 뭐가 다른지 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보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SSD를 구매해 난감할 수도 있다.

 

그래서 오늘은 사용방법에 따라 어떤 제품을 구매하는게 조금더 효율적인지 확인해보려한다.

 

 

 


■ 어려운 용어..방식, 폼팩터 등


 

▲ SATA 방식의 'WD BLUE SSD'와 NVMe 방식의 'WD BLACK SSD'
▲ SATA 방식의 ‘WD BLUE SSD’와 NVMe 방식의 ‘WD BLACK SSD’

 


 

 


외형 / 폼팩터 / 규격에 따른 차이


 

외형을 비교해보면 기본적으로 두가지는 모양이 완전 달라서 구분하기 쉽다. 2.5인치 SSD는 기존의 하드디스크와 비슷하게 생겼고 더 가볍다. M.2 SSD는 직사각형의 메모리칩 같은 모양이다. 사전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M.2 SSD 제품을 보면 이상하게 만들다만 제품 같은 느낌을 들게 한다.

 

M.2 방식의 가장 큰 문제는 발열문제인데 따라서 최근에는 발열 해소를 위해 히트 스프레더가 붙어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외형이 다른 두 제품은 헬갈릴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하지만 문제는 바로 M.2 방식의 SSD들이다.

 

같은 M.2 방식의 제품이라도 전송 규격과 폼팩터가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체크해야한다. M.2 방식은 모양이 거의 똑같지만 전송규격에 따라 제품이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혼동하기 쉽다.

 

▲ 왼쪽은 S-ATA방식의 핀 구조와 오른쪽 NVMe SSD의 핀 구조
▲ 왼쪽은 S-ATA방식의 핀 구조와 오른쪽 NVMe SSD의 핀 구조

먼저, 폼펙터를 살펴보면 M.2 SSD는 폼팩터 길이에 따라 2230 / 2242 / 2260 / 2280 / 22110로 나누어 진다. 일반적인 M.2는 2280이 사용되며 이보다 작은 2242/2260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중요한 전송규격을 살펴보면 S-ATA 3(최대 6Gbps) 방식과 PCIe 3.0×4(최대 32Gbps) 방식이 있으며 규격에 따라 최대 6배에 가까운 속도 차이가 난다.

 

같은 형태 인데 완전히 다른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규격에 따라 핀의 구조가 다른데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WD BLUE SSD는 S-ATA 방식의 2.5인치 SSD 제품이며, WD BLACK NVMe SSD는 출시 규격 중 가장 빠른 PCIe3.0x4 (32GT/s)을 가진 제품이다.

 

 

 


■ 사용 방법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자… 용량 / 가격에 따라 고민하자


 

2월 출시 예정인 문명6 DLC
2월 출시 예정인 문명6 DLC
한번하면 멈출 수 없는 게임 '문명' 턴이 넘어갈 수록 많은 데이터로 무거워진다!
한번하면 멈출 수 없는 게임 ‘문명’ 턴이 넘어갈 수록 많은 데이터로 무거워진다!

최근 출시되는 브랜드(완성형) PC의 경우에도 최소 S-ATA3 방식의 SSD를 기본탑재한다. SSD가 보급화된 상황에서 HDD와 SSD를 비교하는 것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 상태이다. 다만, 이제는 SSD를 구매하기 전에 어떤도로 사용하는지 고민하는게 좋다. 제품에 따라 장점/단점이 없을 수 없기 때문.

 

예컨대 매일 영상 작업을 하는 크리에이터의 경우 방대한 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활용해야 하는데 30GB에 달하는 데이터를 수시로 불러오고 렌더링 작업을 거쳐야 하는 특성상 속도도 중요하지만 안정성과 내구성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M.2 SSD를 1T 이상 구매하면 당연히 좋겠지만(약 30만원 이상) 이런 경우에는 저용량의 M.2 SSD 보다는 안정적이라고 알려진 500GB 또는 1TB의 WD BLUE SSD가 효율적인 것이다(WD BLUE SSD 500GB의 경우 8만 원대, 1TB 제품의 경우 18만 원대)

 

속도가 최우선시되는 게임을 즐기는 유저라면 당연히 게임에 최적화된 WD BLACK NVMe SSD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250GB 기준으로 WD BLUE SSD(S-ATA3 방식)와 WD BLACK NVMe SSD 제품의 가격차이는 3만원 안팎이기 때문.

 

다만, 게임에 따라서도 다르다. NVMe SSD를 구매하고 웹서핑을 하거나 오버워치나 롤과 같은 게임을 즐긴다면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속도는 커도 5초 안팎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 좋다. 하지만 오픈 필드를 사용하거나 로딩 용량이 높은 게임 또는 영상 렌더링 등 대용량의 전송이 필요한 작업을 한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테스트 결과를 잠시 살펴보자!

 

 

4K 렌더링 속도 비교 (HDD & WD BLUE SSD & WD Black SSD)
4K 렌더링 속도 비교 (HDD & WD BLUE SSD & WD Black SSD)
배틀그라운드 부팅시간
배틀그라운드 부팅시간

고해상도 4K 영상(20분) 기준에서는 WD BLACK NVMe SSD의 속도가 일반 S-ATA3 방식의 SSD와 비교해 무려 6배에 가까운 차이가 났다. 하지만 크리에이터의 경우 매일 고용량의 영상을 편집하기 때문에 용량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안정성이나 내구성도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속도 차이는 분명 존재 하지만 가격 대비 성능비를 고려해 용량이 높고 안정적인 WD BLUE SSD도 좋은 선택이다. 다만 충분한 자금이 있다면 1TB의 WD BLACK NVMe SSD를 선택해도 나쁜 선택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가격대비 용량을 우선시 한다면 S-ATA3 방식의 SSD, 속도를 우선시 한다면 NVMe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다만, 최고의 성능과 속도감을 체험하고 싶다면 S-ATA 3 SSD의 6배에 가까운 속도를 내는 NVMe SSD가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 최근에는 가격이 크게 하락한 상태이기 때문에 1TB 제품의 WD NVMe SSD 제품도 나쁜 선택은 아니다(1TB의 경우 30만 원대 초반).

 

윈도우 부팅시간 비교
윈도우 부팅시간 비교
압축 시간비교
압축 시간비교

 

▲ S-ATA3 방식의 WD BLUE SSD
▲ S-ATA3 방식의 WD BLUE SSD

 

내년 1월 출시 예정인 Black SSD는 발열이 더욱 좋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1월 출시 예정인 Black SSD는 발열이 더욱 좋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갓잇코리아 - https://gotit.co.kr/archives/12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