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한 커뮤니티(레딧)에 올라온 글일뿐입니다.

루머중 하나이니 흥미를 유발하는 가십(이야기거리)정도로만 봐주세요.


---------------------------------------------------------------------------------------


사이버펑크 2077 개발과정에 대한 폴란드인의 제보


안녕하세요 저는 폴란드인이며, 사펑2077이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게임개발과는 아무 상관이 없지만, 제 지인이 사펑 개발에 전적으로 참여했었습니다. 

제 지인은 곧 퇴사할 예정이지만, 아무 문제없기를 바라기 때문에 최대한 그의 신분을 숨기고 글을 쓰겠습니다. 

 

왜 이 글을 쓰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시디프로젝트와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 회사는 최근에 정부로부터 7백만 유로를 지원받았습니다. 별 이유도 없이요. 

이 회사의 소유주들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인데도 말입니다. 

 

소유주들은 정계와 비밀리에 결탁중이며, 

다른 회사라면 처벌받을 일이 일어나도 조용히 넘어가곤 합니다. 

그들을 건드리는 것은 금기시되어 있으며, 

그들의 주가는 5년에 한번 제품을 출시하는 회사치고 너무 고평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인공위성이나 로봇수술이나 빠른 운송수단 같이 우리를 발전시키는 회사들이 아니라 

순전히 엔터테인먼트일 뿐인 이 회사가 정부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는게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두번째 이유는 시디피 소유주들이 이번 환불사태에 대해 보이는 수동적 공격적인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재밌게 했다면, 당신과 논쟁할 마음은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유튜브에서 이 게임이 보여주는 많은 버그들과 문제점들을 보았고 

이건 참을 수 없는 수준이라고 느꼈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시디프로젝트에서 말하는 크런칭은 하루 16시간씩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근무하는 것을 말하며, 

크런칭 기간이 아닐때에도 평일에 10~12시간, 토요일에 6~8시간씩 근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때때로 회사는 편법적인 방법으로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이직률은 엄청나게 높았고, 제 지인의 근무 2년차 시점에서, 기존 직원보다 새 직원들이 더 많았습니다. 

이건 별로 놀랍지 않은데 왜냐하면 시디프로젝트의 임금은 

폴란드의 다른 게임회사들보다 40% 정도 작았기 때문입니다. 

게임 하나에 20~25 유로에 파는 작은 회사들과 비교해서도 말이죠

 

그리고 승진기회도 별로 없습니다. 

당신이 주니어 개발자에서 시니어 개발자로 승진을 하기는 하지만, 

그게 끝이고 임금이 별로 올라가지도 않습니다

아주 가끔 운이 좋으면 리더 개발자나 하위 경영진으로 승진을 하기는 합니다. 

제 지인 얘기로 다른 혜택은 좋았다고 합니다(공짜 체육관, 공짜 영화, 공짜 과일, 공짜 맥주들요).

 

// 

 

[개발과정]


2011년


- 위쳐2가 큰 성공을 거둠. 

  소유주들은 조금 더 사업을 다각화해야겠다고 생각함. 

  위쳐3 개발을 하는 동시에 다른 타이틀도 하나 개발해야겠다고 계획. 


  (위쳐3 개발 계획은 2008년에 잡혀져 있었고 2011년부터 시작됨)




2011년 말 ~ 2012년 초

- 사이버펑크 창작자에게 연락을 취함



2012년 초

- 소수의 사람들이 사펑 게임에 대한 아이디어를 냈음



2012년 중반

 

- 사펑 프로젝트 감독을 뽑고 약 40명 정도가 작업을 시작

  위쳐3와 같은 REDengine3 로 작업을 시작했고, 당시 기준 차세대 기기인 플4와 엑박원을 목표로 함




2013년 초

 

-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사펑에서 빠져서 위쳐3 크런치에 투입

  이사회에서는 사펑에 멀티플레이어를 넣으라고 함



2015년

- 제 지인은 이 때 위쳐3에서 사펑으로 투입됨



2015년 초

- 20~30명 정도의 인원이 사펑에서 일했지만 대부분 위쳐3에서 일함



2015년 중반

 

- 위쳐3 출시 이후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펑으로 투입됨. 

  이제 위쳐3에는 소수의 인원만 남음. 

  이제 사펑에는 100명 정도가 일함. 

 

  위쳐3 출시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이직하거나 해고




2015년 말


- 위쳐3 프로젝트는 종료됨. 이제 사펑에는 약 150명 정도가 일함


  그리고 2012년부터 일해왔던 사펑 기존 크루들과, 2015년에 새로 들어온 신규 크루들간의 갈등이 커짐

 

  신규 크루들 입장에서는 갑작스레 복잡한 프로젝트에 던져진 셈이고, 

  기존 크루들 입장에서는 기존의 많은 아이디어들이 버려지게 됨. 

 

  운영진이 이제 사펑에 깊이 개입하면서 사소한 사항까지 관리를 시작했고, 

  기존크루와 신규크루들의 갈등은 운영진들에 의해 증폭



2016년 초


- 소유주들은 게임에 트렌스젠더 옵션과 여러 다른 목소리 옵션을 넣으라고 함

  음악 작곡을 위한 작곡가를 물색함

  소유주들은2018년과 2021년 사이에 2개의 다른 타이틀을 출시하고 싶어함 (하나는 사펑)

 

 

2016년 중반

- 150~200명 정도가 사펑 프로젝트에서 일함



2016년 말

 

- 2015년 전에 사펑에서 일해왔던 30명 정도의 인원들 대부분이 갑작스럽게 해고됨. 


  프로젝트에 새 방향이 제시됨

 

  REDengine4 로 엔진이 바뀜

  회사는 정부로부터 '거대한 가상세계를 창조'하기 위해 지원금을 받음



2017년 초

- 소유주들은 게임 볼륨이 최소한 50시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함



2017년 중반

 

- 어떤 사람이 회사에 협박메일을 보내서 게임에 관한 문서들을 공개하겠다고 협박함.

  회사는 맘대로 하라고 함. 어짜피 2017년 이후에 프로젝트가 많이 바뀌어서 다를거라고 함.

 

  몇몇 시니어 스페셜리스트들이 회사를 떠남. 하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신규 채용됨.

 

  이제 위쳐3때부터 일해왔던 사람들은 60명이 안되고, 대학을 갓 졸업했거나 경력이 적은 사람들이 150명 이상이 됨. 

  이 두 그룹간의 갈등이 커짐. 

  이 갈등은 운영진들 때문에 더 증폭됨.


  사람들은 누구를 믿어야할지 몰랐고, 어떤 아이디어가 있더라도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됨. 

  운영진들은 똑똑해보이는 사람을 향후 자기 자리를 가져갈 잠재적 위협으로 보았음.


  이제 소유주들은 이 게임이 80~100시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함.



2017년 후반

- 250명이 사펑 프로젝트에서 일함. 그 중 40명 정도는 E3 Expo 2018에 선보일 트레일러와 게임플레이 영상을 위해 따로 작업함



2018년 초

- 시디피는 폴란드의 20명 규모짜리 작은 게임 회사를 인수했고, 그들도 사펑 프로젝트에 투입됨

 

 

2018년 중반

 

- E3 Expo 2018에서 공식 트레일러가 발표됨

  이제 사펑 프로젝트에는 300명 이상이 투입됨. 위쳐3때 있었던 사람은 50명 미만.

  소유주들은 1년 반 사이에 출시하길 원했고, 출시 첫 분기에 최소 2000만 장을 팔기 원함



2018년 말

- 350명 정도가 투입됨. 

  시디피는 외부 인원을 더 충원하기 위해 다른 회사나 다른 나라에서도 사람을 고용



2019년 초

- 일부 인원들이 이직하지만 더 많은 인원들이 충원되면서 400명 정도가 일함

  50명 정도는 E3 Expo 2019에 선보일 것들을 위해 따로 작업함

  또 다른 50명 정도는 사펑 출시 1년 후에 선보일 다른 게임 프로젝트에 투입됨


  소유주들은 성별 관련한 고집을 버리고, 게임 볼륨도 80~100시간까지는 필요없다고 말함. 

  60시간이면 충분하다고 함. 

  그리고 세계는 위쳐3보다 클 필요 없다고 말함.



2019년 중반

 

- 다른 게임 프로젝트에 투입되었던 사람들이 다시 사펑으로 투입됨

  사펑의 비공식적인 크런치의 시작

  일주일에 6~7일씩, 하루에 15~16시간씩 일함.

  하지만 그것을 크런치라고 부르는 것은 금지됨.

  만약 외부에서 손님이 올 경우 다들 웃고 활기찬 것처럼 보여야 했음(그렇지 않으면 인사과에서 질책)


  이제 위쳐3때부터 있었던 사람은 40명 미만 (위쳐1때부터 있었던 고위직 제외)


  E3 Expo 2019에서 출시일이 20년 4월 16일로 발표되지만 제작진들 아무도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하지 않음

  이 시점에서 게임은 아무리 좋게 말해도 프리알파였음.

 

  E3 Expo 2019가 끝나고 관리자들은 큰 보너스를 받음.


  40명 정도가 멀티플레이 작업을 함


  관리자들은 데모버전 작업할 시간은 없겠다고 결정함.


 

 

2019년 후반

 

- 멀티플레이는 독립된 유료 dlc이며 사펑 출시 2년 후에 나오기로 결정됨

  더 많은 외부 회사들이 사펑 프로젝트의 외주를 받음

  회사 분위기는 매우 안좋았고, 모든 사람들이 이사회와 운영진에서 너무 큰 기대를 하고 있다고 생각함.

  그들은 개발진들의 얘기를 듣고 싶어하지 않았고, 이 시점에서 문제를 너무 많이 지적하면 바로 해고됨.


  첫 베타 테스트가 시작됨. 콘솔버전은 겨우 작동되는 수준이었음.


  멀티플레이 작업하던 사람들 대부분이 다시 본편 작업에 투입됨.


  관리자들은 지하철, 벽 달리기, 날아다니는 자동차, 다른 목소리 옵션 같은 많은 것들을 포기함.


  지인 얘기로는 이 때 게임이 처음 계획한 것에서 1/4 ~ 1/3 작아졌다고 함.




2020년 1월


- 출시일이 4월에서 9월로 변경됨

  지인 얘기로는 게임에서 잘린 버전이 피씨에서는 80% 정도, 콘솔에서는 70% 정도 만들어졌다고 함.


  이제 사펑 프로젝트에는 500명이 일함 (외주 인원 포함)


  사펑 외 다른 게임이나 멀티플레이는 22년 말까지 없을걸로 확정




2020년 3월

- 폴란드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들어옴



2020년 5월

- 코로나가 폴란드에 급격하게 퍼짐. 코로나 때문에 9월 출시는 불가능할거라고 다들 생각함



2020년 6월


- 많은 사람들이 플5, 엑시엑 버전이 22년 전에 완성된다는데 의문을 품음

  출시일이 11월로 다시 연기됨

 

 

2020년 10월

 

- 출시일이 12월로 다시 연기됨

  개발진들도 이 소식을 뉴스를 보고 알았음

  왜냐하면 "그래야 개발진들이 남은 2개월동안 더 빡세게 일할테니까"



2020년 12월

- 출시


//

 

[댓글]

 

일부 댓글들도 번역해보았습니다.


댓글1

인터넷에 있는걸 다 믿을 순 없지만 어느정도 맞는 말 같네요.

근데 키아누 리브스가 등장하는 대목이 없는건 좀 이상한데요



답변


저는 이걸 조사하는데 이틀, 쓰는데 3시간이 걸렸어요. 제가 만약 모든 세세한 사항을 다 쓰려고 했다면 아마 일주일이 걸렸을겁니다. 제 지인은 19년초까지 거의 매 달 계획들이 변경되었다고 말해주었어요.


 /

 

댓글2

잘린 컨텐츠들이 다시 들어올지도 알 수 있을까요?


답변


네 몇몇 잘린 컨텐츠들은 잘 저장되어 있고, 나중에 DLC로 들어올 수도 있겠죠. 하지만 100% 확신은 못한다네요. 왜냐하면 아무것도 준비된게 없고, 많은 것들이 그냥 버려졌고, 시간이 너무 촉박했거든요. 제 지인은 이 프로젝트에 애정이 있었지만 올해들어서는 그 잘린 컨텐츠는 더이상 생각조차 하지 않았어요. 관리자들의 요구 때문에 악몽까지 꿀 지경이었으니까요.


/


댓글3

키아누 리브스가 들어온 것은 게임을 완전히 바꿔버린건데 그냥 '계획들이 변경된' 수준이 아닐텐데요


답변

 

저도 이 게임에서 키아누의 역할은 잘 알고 있지만, 솔직히 저는 키아누가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그가 비난받는걸 원치 않는 마음이 있어서 언급안한 것도 있어요.


/

 

댓글4

저도 개인적으로 조사해본게 있는데 얼추 비슷하네요

이 게임이 2016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말하는 사람은 뭘 모르고 하는 소리죠. 최소한 13년~14년에는 시작된거에요.


답변


사펑은 2012년에 시작된게 맞는데, 13년~14년에는 진짜 조금 개발됐어요. 그때는 거의 모든 인력이 위쳐3에 투입되었기 때문이죠. 15년에 제대로 인력이 투입되었고, 16년부터 큰 변화가 생긴게 맞습니다.


원문 출처 : https://www.reddit.com/r/cyberpunkgame/comments/kgl28l/how_cyberpunk_2077_was_developed_timeline_and/

번역 출처 :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0148128?view_best=1&page=6


전문 출처 : http://tcafe2a.com/bbs/board.php?bo_table=gametalk&wr_id=1309953

(원문보다 가독성이 좋아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