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처음 언급했다. 이 총재가 지금까지 금리조정 여부, 특히 시기에 대해선 극도로 조심스럽게 발언해온 점에 비춰보면 이날 공개적인 언급은 연내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신호를 시장에 전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연 인터넷 생중계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에 대해 시장에 신호를 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는 말에 "연내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의 전개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이어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전개 상황, 그에 따른 우리 경제 회복 흐름의 속도와 강도 등을 좀 더 지켜본다고 했는데 그런 것을 지켜보면서 저희들이 정말 적절히 통화정책을 전개해나가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야말로 적절한 시점에 서두르지도 않아야겠지만 늦지도 않아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게 사실이다. 시기를 단정해서 말씀드릴 수 없지만 거시나 금융안정 상황 변화에 맞춰서 통화정책을 어떻게 질서 있게 조정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가 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경기가 호전되고 있지만 거기에 깔려있는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인지 보고, 살아나는 경기 회복에 지장을 줘서는 곤란하지 않느냐는 생각"이라며 "정상화만을 위해서 서둘러서도 안되겠지만 지연됐을 때의 부작용도 크다는 점을 같이 고려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또 "시장에 시그널을 줘야 하느냐는 의견도 있고 오늘 금통위에서도 이와 관련해 많은 논의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사실상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은 국내 금융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당연히 중요한 요인"이라면서도 "연준의 통화정책은 고려하되, 거기에 일대일로 매칭해서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백신 접종 상황에 따른 우리 경제의 성장세 개선 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