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총장은 이날 오전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감정에 북받친 듯 목멘 목소리로 "참배를 하다 보니 (광주의) 한을 극복하자는 그런 말이 나오질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래전 광주에서 근무하던 시절 참배한 이후 정말 오랜만에 왔다"라며 "오늘 이곳에 오면서 이제 광주의 한을 자유민주주의와 경제번영으로 승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열들의 죽음을 아깝게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후대를 위해서라도 자유민주라는 보편적 가치 위에서 광주·전남 지역이 고도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기지가 됐으면 한다"라고 덧붙였다. 방명록에는 "자유민주주의 정신을 피로써 지킨 5·18 정신을 이어받아 국민과 함께 통합과 번영을 이뤄내겠습니다"라고 썼다. 윤 전 총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적 합의'를 전제로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넣자는 여권의 주장에 찬성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윤 전 총장은 5·18 민주묘지 추모탑 근처에서 '민중항쟁 구속자회' 관계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당초 윤 전 총장은 5·18 희생자 유족들과 만나기로 했으나, 유족회 측 사정으로 일정을 변경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구속자회 관계자들에게도 "희생자들이 (겪었을) 트라우마와 고통이 얼마나 힘들었을지 드릴 말씀이 없다"라며 위로의 말을 건넸다. 민족민주열사 묘역(5·18 구묘역)을 참배하던 중 광주 시민으로부터 정치개혁에 대한 기습질문을 받기도 했다. 윤 전 총장은 "당분이 있는 곳에 벌레가 몰려들듯 부패는 이권이 귀속되는 데 있게 마련"이라며 "국가의 중요한 의사결정이 국민에게 투명하게 이뤄지면 부패를 상당히 막을 수 있을 것이라 본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