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지난달 말 이란에 계약보증금 지급 끝내
한국-이란간 계산 종료는 아냐..100억여원 차액 남아
구상권 청구 등 통해 횡령금 회수 계획
법조계 "가족에 자금 넘겼을 경우 쉽지 않아"
법원, 횡령직원 재산 가압류 신청 인용

[이데일리 김정현 기자] 우리은행이 비상금으로 이란 기업 ‘엔텍합’에 600억원의 계약보증금을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600억원은 최근 직원의 횡령으로 사라진 614억원 중 일부다. 은행측은 구속된 A씨를 상대로 구상권을 청구해 자금을 회수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달말 이란 다야니 가문이 소유한 가전업체 엔텍합에 계약보증금 약 600억원 지급을 완료했다.

우리은행 직원 A씨가 횡령한 자금은 옛 대우일렉트로닉스를 인수하려던 이란 가전업체 엔텍합으로부터 몰수한 계약금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2010∼2011년 당시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을 주관했지만 계약불발로 이를 관리해왔다.

다야니 가문은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수를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채권단에게 계약금을 지급했지만 계약불발로 채권단이 계약금을 몰수했다. 이후 다야니 가문은 한국정부를 상대로 한 투자자-국가 간 소송(ISD)에서 승소해 약 730억원을 돌려받게 됐다.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송금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올해 초 미국의 특별허가로 송금이 가능해졌다. 이 과정에서 횡령사실이 드러났다.

우리은행은 계약보증금이 이미 본 계좌에서 사라진 만큼 가지급금 계정에 있는 자금을 활용해 이란 측에 지급했다. 가지급금 계정이란 이번 횡령사고처럼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자금을 모아둔 일종의 비상금 계좌다.

우리은행은 직원 A씨에게 구상권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해 자금을 회수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A씨가 횡령금을 파생상품 투자 및 동생 사업자금으로 전부 날렸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복구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https://news.v.daum.net/v/20220504160508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