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장현재 대한개원의협의회 총무부회장은 "최근 정부의 이 같은 정책 발표에 대해서 환자들이 잘 모르고 있다"며 "실제로 병원을 운영하는데 월요일부터 환자들이 진료실에 꽉 찰 정도로 급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원한 환자 중 40%가 양성으로 확인됐다"며 "환자들이 진료비를 수납하면서 본인부담금에 대해 인지하지 못해서 재차 묻는 경우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
.
.
이어 "지금 코로나19 확진자가 많아지고 있는 상태인데 사실 본인부담금 비용이 비싼 비용은 아니지만 저소득층에선 가족이 다 감염됐을 때 상당히 부담될 수 있다"며 "정부가 본인부담금에 대한 중단 시기를 잘못 정했다고 여러 번 말했다"고 강조했다.

쉽게 말해 이 같은 정책에 부담감을 느낀다면 코로나19 증상이 경증이거나 가족이 감염돼도 쉬쉬하는 경우가 생길 터. 즉 코로나19 증상이 경증이거나 가족이 감염돼도 진단을 안 받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진료부담금을 현재 시점에서 부과하는 점은 코로나19 확산세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저소득층에게도 검사와 치료를 기피하게 만들 요인을 제공한다는 게 천 교수의 설명이다.

대한의사협회 신종감염병대응TFT 위원장을 맡은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교수도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서 날선 비판을 가했다.
 
이 교수는 "대학병원 같은 경우에는 수납처가 따로 있어서 거기에서 컴플레인이 들어오고 있다"며 "개인 의원들에선 직접적인 컴플레인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제도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한 환자들이 비용을 내도록 안내를 받았을 때 불편 사항을 제기한다는 것. 
 
그는 "정부에서 정책을 만들지만 의료 현장에선 돈과 관련된 부문은 민감하다"며 "정책 중단에 관련해서 국민들을 대상으로 제대로 된 설명과 홍보가 안 이뤄진 것 같다"고 일갈했다.
 
이 교수도 현재 코로나19 유행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가 이 같은 정책을 중단한 것에 대해서 의구심을 표했다. 이외에도 가족들 단위에선 1명이 걸리면 연쇄적으로 2~3명이 확진되는데  비용이 부담되는 사람들이라면 미국처럼 검사를 기피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
.
.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35138&inflow=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