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같이 보고 싶은 유머 글이나 이미지를 올려보세요!
URL 입력
-
유머
한 시골 동네에 캣맘이 없는 이유
[36]
-
지식
아파트 구입 최적의 타이밍
[45]
-
지식
이스라엘이 핵을 맞으면 일어날 일
[51]
-
유머
갑자기 알바를 시작한 유부녀.
[46]
-
연예
장원영이 악플을 대하는 자세.
[19]
-
감동
ㅇㅎ] 내가 보려고 올리는 움짤 30EA
[38]
-
연예
ㅇㅎ 권은비 인스타 한장
[45]
-
유머
싸움 신기술 배우는 강아지
[11]
-
연예
'강남' 유튜브 촬영이후 연락두절
[45]
-
유머
마잭도라는 서양 무술
[26]
이미지 업로드중입니다
(1/5)
URL 입력
ㅇㅇㄱ 지금 뜨는 글
![]() 2025-05-21 01:07
조회: 5,100
추천: 7
호텔경제론 하면 호텔 망한다?![]() 네이버 페이 : ㅈ까 준석아 ㅋㅋㅋㅋㅋ 네이버 페이가 바로 승수효과를 이용해서 카카오페이, 토스 페이 씹어먹고 1위 먹음. 승수효과는 망한다고? 네이버 페이 졸라 잘되는데? 이건 네이버의 파격적인 적립금 포인트:2.5~5% 그리고 포인트를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시스템 그리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가 오프라인, 온라인 걸쳐서 확보 되었기 때문. (스팀에서, 게임도 살 수 있을 정도고 넷플릭스 구독도 당연 됨) 대기업도 이렇게 해서 업계에서 잘 되는데 정부에서 작정하고 하면 어떨까? 그냥 돈을 뿌리는 게 아니라, 작정하고 전국민이 거의 다 쓰는 삼성페이,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랑 제휴 맻고 정부가 제정지원 해주는 조건으로 삼성페이에 적립금을 지금의 랜덤하게 적립이 아니라 네이버 페이의 적립금 포인트를 2.5%~5%가 아니라 사용한 소비 금액의 최대 10%~최소 2.5%로 늘려버리면 어떨까? 그리고 지역관광산업, 혹은 지역 산업 지역과 분야 산업에는 10%의 적립금을 비교적 내수시장에 상관 없는 소비에는 2.5%로 차등 지급하면 어떨까? 정부 입장에서는 굳이 지역마다 화폐 만들 일 없으니까 같은 돈 들어가도 효율적으로 들어가고 기반 산업, 경제 순환, 협력 생태계는 이미 삼성페이랑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가 해놔서 그냥 숟가락만 얹으면 되네? 기업 입장에서는 자기들 금융권에 도는 돈이 증가하니까 기업 가치 상승, 매출 이익 증가로 이익봐서 좋고 사용자들은 어차피 저축 되지 않는 공짜 돈으로 물건 하나 더 사니 좋고. 어차피 국내에서 주로 쓰는 페이 시스템이라 누수효과 막으니 좋고. 현금깡도 못 하고 소상공인도 매출 늘려서 좋고. 되네? 이게? 이래도 호텔이 망할 거 같냐? 역시 준천지 수듄 ㅋ
EXP
46,753
(58%)
/ 48,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