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팀'과 '강자 멸시'로 통하는 SKT T1 S. 이들의 의외성은 봇 듀오의 활약과 연관이 깊다.

SKT T1 S는 다른 프로팀들과는 다른 별명을 가지고 있다. 팬들은 SKT T1 S에게 중요한 타이밍마다 평소와 다른 경기력을 통해 상대를 당황케 한다는 의미인 '도깨비 팀'과 강한 팀에게 강하고 약한 팀에게 약하다는 뜻의 '강자 멸시'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지난 스프링 시즌만 봐도 세 팀이 SKT T1 S에게 중요한 타이밍마다 일격을 맞은 경험이 있다. KT 애로우즈는 핫식스 롤챔스 스프링 2014시즌 16강에서, KT 불리츠와 삼성 오존은 SKT LTE-A 롤 마스터즈 2014 정규 시즌에서 SKT T1 S의 의외성에 당했다.

그렇다면 SKT T1 S의 이러한 의외성은 출처가 어디일까? 물론 각각의 경기 내용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이들의 경기력에 큰 영향을 끼치는 선수는 '뱅' 배준식과 '울프' 이재완이다. 즉 SKT T1 S의 봇 라인에서부터 의외성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원거리 딜러인 '뱅' 배준식은 평소 그리 눈에 띄지 않는 선수다. 무난한 라인전과, 큰 활약은 없지만 묵묵히 할 일을 하는 원거리 딜러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경기 초반 라인전에서 상대가 조금의 틈이라도 보이기 시작하면 배준식은 달라진다. 화려한 움직임과 스킬 활용, 그리고 한타에서의 완벽한 포지셔닝까지. 소위 S급으로 불리는 원거리 딜러가 보여줄 수 있는 모든 능력을 한 경기 내에서 멋지게 소화해내는 의외성의 소유자다.

배준식과 호흡을 맞추는 서포터 '울프' 이재완 역시 같은 맥락의 선수다. 과거부터 이재완은 항상 자신을 괴롭히는 단점을 보였다. 본인의 주력 챔피언을 뺏기면 너무나도 무력한 모습을 보이곤 했다. 이렇게 좁은 챔피언 폭으로 고생하던 이재완은 최근 이러한 단점을 많이 보완한 모습으로 돌아왔다. 챔피언 폭이 넓어지면서 이재완의 의외성 또한 수직으로 상승하고 있다. 지난 5일 열린 롤챔스 섬머 2014시즌 2차 예선에서 모르가나를 통해 보여준 이재완의 경기력은 팬들을 놀라게 하기 충분했다.

오는 8일 오후 5시부터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열리는 SKT LTE-A 롤 마스터즈 2014 대망의 결승전에서 SKT T1은 삼성 갤럭시를 상대로 우승에 도전한다. 최근 무서운 기세로 롤 씬 정복을 노리는 삼성 갤럭시를 상대로 SKT T1 S는 또 한 번 본인들의 의외성을 발휘할 기회를 맞은 셈이다.

롤 마스터즈 대회 특성상 형제팀 중 한 팀만 잘해서는 승리를 차지하기 어렵다. 결승 무대에서 경기를 펼칠 네 팀 중 상대적 약체로 손꼽히는 SKT T1 S가 봇 라인에서부터 시작되는 '의외성'이라는 팀 스타일을 발휘할 때, SKT T1의 롤 마스터즈 우승은 한 발자국 가까워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