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랙 시나리오의 가장 큰 특징은 30전 이상의 레이스 출주다. 레이스 출주 시 기존에 얻는 스탯과 스킬 Pt뿐 아니라, 특정 레이스에 출주 시 얻을 수 있는 칭호에 따라 추가 스탯 혹은 스킬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소 30전 이상의 레이스를 권장하는 편이다.

로테이션만 따라가도 추가 스탯만 200~300 이상 획득할 수 있고 스킬 포인트는 2,400~2,800pt 정도 획득할 수 있어 URA, 아오하루 시나리오와는 비교가 안 되는 고점을 달성할 수 있다.

정해진 로테이션 말고도 좀 더 디테일한 육성을 하고 싶다면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칭호 획득 조건을 확인해보자.

▲ 니이가타 주니어 스테이크스는 선행 또는 선입 각질로 출주해야 시계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기자 추천 뉴트랙 로테이션 4선
▣ 추가 스탯 +260, 마일+중거리+장거리 로테이션
뉴트랙 기간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정석급 로테이션이다. 보통은 중~장거리 우마무스메에 마일 인자를 보충하거나 마일~중거리 우마무스메에게 장거리 인자를 보충하는 형태가 가장 많이 보이기 때문에 뉴트랙 시나리오에서 부쩍 마일/장거리 인자의 수요가 높아진다.

보통은 시니어급 1월 후반~2월 후반은 바이탈과 메가폰을 활용해 3 턴 동안 훈련에 집중하는 게 정석이다.

단, 훈련이 별로 맛이 없을 경우엔 1월 후반 아메리카 JCC에 출주하면, 동색 칭호인 월드 우마무스메(랜덤한 스탯 2종 +5)를 추가할 수 있으니 적절하게 판단하면 된다.

▣ 획득 칭호

추가 스탯 합계 +260, 총 33전

- 레전드 우마무스메 (뒷심 Lv+1)
- 고속 마일러 (랜덤한 스탯 2종+15)
- 베스트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5)
- 원더풀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5)
- 카리스마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0)
- 표창패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봄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가을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20/10)
- 비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13/10)
- 주니어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베테랑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 토호쿠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칸토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19/3)
- 서일본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10/3)


▲ 클릭 시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다.


▣ 추가 스탯 +360, 오구리/엘 콘도르 파사 전용 로테이션
챔미의 그 녀석 부동의 0티어 오구리 캡이 주로 쓰는 로테이션으로, 기존 마일/중거리/장거리 로테이션에서 더트 일정을 섞은 형태다.

엘 콘도르 파사도 사용할 수 있으나, 팀 레이스나 인자작 외에는 오구리의 육성 횟수가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사실상 오구리의 전용 로테이션이라 봐도 무방하다.

클래식급 7월 전반의 재팬 더트 더비가 조금 거슬리지만, 이 레이스 우승 시 더트 G1 제왕+더트 능숙 +월드 우마무스메까지 총 50에 달하는 스탯을 추가로 얻을 수 있기에 3 무지개 훈련이 아닌 이상 출주하는 편이 대체로 이득이다.

▣ 획득 칭호

추가 스탯 합계+360, 총 34전

- 레전드 우마무스메 (뒷심 Lv+1)
- 고속 마일러 (랜덤한 스탯 2종+15)
- 베스트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5)
- 원더풀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5)
- 카리스마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 G1 제왕 (랜덤한 스탯 2종+15) (레이스 수 5/5)
- 더트 G1 괴물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5/4)
- 더트 G1 강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5/3)
- 표창패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봄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가을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 능숙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5/5)
- 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21/10)
- 비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13/10)
- 귀여운 말딸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월드 우마무스메(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주니어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베테랑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 토호쿠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칸토 마스터(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20/3)
- 서일본 마스터(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10/3)


▲ 클릭 시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다.


▣ 추가 스탯 +180, 단거리&마일 주자 로테이션
주로 단거리~마일만 출주할 수 있는 단거리 우마무스메를 위한 로테이션이다. 달릴 수 있는 레이스가 극히 제한적이다 보니 로테이션 중 가장 추가 스탯이 적은 편이다.

다행히도 단거리 주자의 경우 스태미나 의존도가 낮기 때문에 생각보다 큰 손해는 보지 않는 편이다. 다만, 출주 할 수 있는 레이스가 적은 만큼 비근간거리의 패자, 귀여운 우마무스메, 주니어 우마무스메 등의 칭호 조건은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획득 칭호

추가 스탯 합계+180, 총 34전

- 신속 마일러 (마일 직선 Lv+1)
- 고속 마일러 (랜덤한 스탯 2종+15)
- 수완 스프린터 (랜덤한 스탯 2종+10)
- 광속 스프린터 (랜덤한 스탯 2종+15)
- 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21/10)
- 비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12/10)
- 귀여운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4/3)
- 주니어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베테랑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 홋카이도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칸토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14/3)
- 서일본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14/3)


▲ 클릭 시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다.


▣ 추가 스탯 +230, 중+장거리 주자 로테이션
마일 적성이 낮은 우마무스메 육성 시 자주 사용하는 로테이션이지만, 다행히도 추가 스탯 합계 차이는 적은 편이다.

12월 후반 레이스에는 패널티가 없다는 점을 이용해 클래식/시니어 급 12월 전반 스테이어스 스테이크스까지 5연전을 뛰어 추가 스킬 Pt를 노릴 수 있다.

하지만, 4연전 부터 피부 트러블을 동반한 페널티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배드 컨디션과 체력을 케어할 수 있는 아이템이 있는 상태에서만 도전하길 추천한다.

엘리자베스 여왕배를 빠지고 안전하게 3연전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나머지 다른 비근간거리 레이스에 모두 출주해야 비근간거리의 패자 칭호를 획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 획득 칭호

추가 스탯 합계+230, 총 29전

- 레전드 우마무스메 (뒷심 Lv+1)
- 베스트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5)
- 원더풀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5)
- 카리스마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10)
- 표창패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봄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가을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 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21/10)
- 비근간거리의 패자 (랜덤한 스탯 2종+10) (레이스 수 12/10)
- 월드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베테랑 우마무스메 (랜덤한 스탯 2종+5)
- 홋카이도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3/3)
- 칸토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14/3)
- 서일본 마스터 (랜덤한 스탯 2종+5 )(레이스 수 0/3)


▲ 클릭 시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다.


유연한 로테이션을 위한 뉴트랙 칭호 총정리

지금까지 육성에선 대부분 클래식 3관 혹은 트리플 티아라, 봄 시니어 3관이나 가을 시니어 3관 정도만 챙겨서 육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뉴트랙에선 마일 레이스에도 출주해 추가로 스탯을 확보해야 한다.

위에 로테이션에도 확인할 수 있듯이 마일 레이스에 추가로 스탯을 얻는 칭호가 많이 몰려있어 소위 말하는 마일 수저가 없는 마일 적성이 낮은 우마무스메는 뉴트랙 기간 동안엔 티어픽으로 올라오기 어려운 편이다.

수루젠, 초코봉, 클구리의 수초클 트리오가 뉴트랙에서 한층 더 강력한 모습을보여준 건 본인들의 성능도 뛰어나지만, 별다른 개조 없이 마일~장거리 레이스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멀티 능력도 한몫한다.

▣ 금색 칭호 목록

- 레전드 우마무스메 : 카리스마 우마무스메, 히로인 우마무스메 중 하나를 달성하고 봄의 패자 및 가을의 패자를 달성 (뒷심Lv+1)

- 신속 마일러 : NHK 마일컵, 벚꽃상, 야스다 기념, 빅토리아 마일, 마일 CS에서 우승하고 한신JF, 아사히배FS 중 하나 우승 (마일 직선Lv+1)

- 고속 마일러 : NHK 마일컵, 야스다 기념, 마일 CS에서 승리 (랜덤한 스탯 2종+15)

- 베스트 우마무스메 : 카리스마 우마무스메를 달성하고 텐노상(봄), 타카라즈카 기념, 재팬컵, 텐노상(가을), 오사카배, 아리마 기념 중에서 2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5)

- 원더풀 우마무스메 : 카리스마 우마무스메를 달성하고 재팬컵(클래식급), 아리마 기념(클래식급) 중 하나를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5)

- 퀸 우마무스메 : 히로인 우마무스메를 달성하고 빅토리아 마일, 한신JF를 우승하고 엘리자베스 여왕배를 2연패 (랜덤한 스탯 2종+15)

- 프린세스 우마무스메 : 히로인 우마무스메를 달성하고, 엘리자배스 여왕배(클래식급)에서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 G1 패자 : 더트 G1 레이스 9회 우승 (레커맨드 Lv+1)

- 더트 달인 : 더트 레이스에서 15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은색 칭호 목록

- 카리스마 우마우스메 : 사츠키상, 일본 더비, 국화상 우승 (클래식 3관) (랜덤한 스탯 2종+10)

- 수완 스프린터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스프린터즈 S 우승 (춘추 스프린트) (랜덤한 스탯 2종+15)

- 히로인 우마무스메 : 벚꽃상, 오크스, 추화상 우승 (트리플 티아라) (랜덤한 스탯 2종+10)

- 광속 스프린터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스프린터즈 S, 야스다 기념, 마일 CS 우승 (춘추 스프린트+춘추 마일) (랜덤한 스탯 2종+15)

- 표창패의 패자 : 텐노상(봄)과 텐노상(가을)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봄의 패자 : 오사카배, 텐노상(봄), 타카라즈카 기념 우승 (봄 시니어 3관) (랜덤한 스탯 2종+10)

- 가을의 패자 : 텐노상(가을), 재팬컵, 아리마 기념 우승 (가을 시니어 3관) (랜덤한 스탯 2종+10)

- 근간거리의 패자 : 근간거리(마장 거리가 4의 배수) 레이스 10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비근간거리의 패자 : 비근간거리(마장 거리가 4의 배수가 아닌 경우) 레이스 10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귀여운 우마무스메 : '우마무스메 스테이크스' 이름이 들어간 레이스를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월드 우마무스메 : 이름에 나라 이름이 들어간 레이스 3회 우승 (아메리카JCC, 재팬컵 등) (랜덤한 스탯 2종+5)

- 주니어 우마무스메 : '주니어 스테이크스' 이름이 붙은 레이스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명인 우마무스메 : 잔디의 단거리, 마일, 중거리, 장거리 레이스에서 각각 1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달인 우마무스메 : 더트의 단거리, 마일, 중거리 레이스에서 각각 1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더트 G1 제왕 : 더트 G1 레이스 5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5)

- 더트 G1 괴물 : 더트 G1 레이스 4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 G1 강자 : 더트 G1 레이스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 전문가 : 더트 레이스 10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 고수 : 더트 레이스 5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더트 스프린터 : JBC 스프린트를 2연패 (랜덤한 스탯 2종+10)

- 더트의 신성 : 유니콘 스테이크스, 레오파드 스테이크스, 재팬 더트 더비에서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동색 칭호 목록

- 베테랑 우마무스메 : 오픈 이상의 레이스에서 10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홋카이도 마스터 : 삿포로, 하코다테 개최 대상경주(=중상, G3 이상)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토호쿠 마스터 : 후쿠시마, 니이가타, 모리오카 개최 대상경주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칸토 마스터 : 도쿄, 나카야마, 오이, 카와사키, 후나바시 개최 대상경주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서일본 마스터 : 츄쿄, 한신, 교토 개최 대상경주 3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

- 코쿠라 마스터 : 코쿠라 개최 대상경주 2회 우승 (랜덤한 스탯 2종+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