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터널 리턴은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재료 아이템을 빨리 모아 높은 등급의 장비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 보니 만들고픈 장비의 아이템이 여럿 드랍되는 곳을 추려내 들를 지역과 순서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4개의 지역을 돌며 파밍하는 것이 일반적인 데, 파밍해야 할 아이템이 수십 개가 되다 보니 외우기 쉽지 않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루트 시스템이 있다. 루트 시스템은 이터널 리턴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시스템이다. 어느 지역에서 어떤 재료를 파밍해야 하는지, 위치와 순서를 미리 표기해 둘 수 있는 것은 물론,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기존과 큰 틀은 바뀌지 않았으나 소소하게 바뀐 부분이 있어 루트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를 정리했다.


루트 제작
최종적으로 제작하려는 아이템과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특성과 전술 기술도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완성한 루트는 저장하거나 서버 등록, 다시 편집할 수 있다. 게임 시작 전부터 장벽이 크게 느껴질 요소므로 당장 하기는 추천하지는 않으며 어느 정도 아이템에 대한 지식이 쌓였을 때 시작하는 것이 좋다.

▲ 메인 화면-전략에 들어가면 볼 수 있는 루트 화면.

▲ 루트 화면 하단의 '루트 제작'을 누를 시 볼 수 있는 루트 제작 화면.

▲ 우선 초반에 만들 아이템 목록과 경로 등 기본적인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 어떤 전술 스킬을 사용할 것인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 물론 특성도 동일하게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스킬 트리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 모두 설정 후 저장하면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서버에 등록해 공유할 수 있다.

▲ 게임 내에서 설정한 루트가 표시된다.


루트 가져오기
다른 사람이 서버에 등록한 루트를 저장해 게임을 시작할 때마다 선택할 수 있다. 직접 루트를 짜기 번거롭다거나 다른 사람이 짠 루트를 해보고 싶을 때 사용하기 좋은 기능이다.

서버에 등록된 루트를 가져오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등록된 루트 목록 중 원하는 것을 찾아 저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루트 이름을 검색하는 것이다. 루트 이름은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선 반드시 생성해야 하며, 이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루트를 저장할 수 있다. 가져온 루트를 자기 입맛대로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루트는 캐릭터별 최대 5개까지 저장할 수 있으며 게임 내 재화 A-Coin이나 유료 재화 NP로 추가 확장할 수 있다.

▲ 루트 화면에서 추천 루트를 바로 볼 수 있으며, 마음에 드는 건 저장할 수 있다.

▲ 루트 검색 화면에서 특정 루트 이름을 검색하면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무슨 루트를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여러 루트 중에서 어떤 게 좋은지, 메타에 유용한지 알기 어려울 것이다. 이럴 땐 추천 루트를 하는 것도 방법이다. 다른 유저가 제작해 서버에 업로드한 루트 중, 몇 가지를 자동으로 가져와 추천 루트로 보여준다. 그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좋다.

다만 해당 루트의 빌드 버전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패치를 진행하면 아이템의 효과가 변경되는데, 그럼 해당 빌드 기준으론 훌륭한 루트도 지금에 와선 애매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니 루트와 함께 표시되는 버전을 확인한 후 현재 빌드와 동일한 빌드 버전인 루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 게임 시작 전 캐릭터 선택 후, 자동으로 불러온 추천 루트를 선택할 수 있다.

▲ 루트 선택 시 무슨 버전 빌드 기준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기초적인 루트 선택 팁
이터널 리턴은 사냥을 통한 숙련도, 레벨 업도 중요하지만 재료 파밍으로 높은 등급의 아이템을 제작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서 다른 플레이어가 많이 몰리는 구역을 피하는 루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 원하는 아이템을 제작해야 하는데, 사람이 많이 몰린 곳일수록 재료 수급이 어렵다. 그러니 특정 지역에 유저가 많이 몰려 있다면 다른 루트를 선택해 원활한 파밍을 노리는 것이 좋다.

▲ 자신의 루트는 물론, 아군의 루트도 볼 수 있다. 다른 생존자가 어디서 시작하는지 숫자로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