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번의 승리만 남았다. 약 3개월 동안 진행됐던 2016 롯데 꼬깔콘 LoL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롤챔스) 스프링 시즌도 어느덧 대망의 결승만 남았다. 2015년부터 꾸준히 라이벌 구도를 이어온 ROX 타이거즈와 SKT T1이 1년 전에 이어 다시 한 번 롤챔스 결승에서 만나게 됐다.

관계자들은 물론 팬들까지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는 양 팀의 대결. 워낙 뛰어난 선수들 간의 경기인 만큼, 승부는 한 끗 차이로 갈릴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승부를 가를 핵심 전장은 탑과 정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이기는 사람은 '세체탑' 스멥과 듀크의 탑 라인전

ROX 타이거즈의 '스멥' 송경호와 SKT T1의 '듀크' 이호성 모두 개인 기량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선수들이다. 두 선수 모두 캐리를 밥먹듯이 하며 팀 내 기여도가 상당하다. 세계 최고의 리그라고 평가받는 롤챔스에서 결승에 오른 두 선수인 만큼, 여기서 이기는 선수가 '세체탑(세계 최고의 탑 라이너)'에 가장 근접한 선수로 불릴 것이다.


최근 라인 스왑이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남자의 싸움으로 불리던 탑 라이너 간의 라인전 구도는 잘 나오지 않고 있다. 경기 초반에는 아군 정글러와 함께 움직이며 눈물의 경험치 수급만 할 뿐. 하지만 탑 라이너가 고통받는 시기가 지나고 슬슬 벌어지는 소규모 교전에서 송경호와 이호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탑 라이너가 매우 약한 타이밍에 다수의 챔피언이 엉겨붙어 싸우게 되는 소규모 교전. 동떨어진 라인에서 서로 CS 수급 위주로 플레이하던 탑 라이너들에게는 일생일대의 위기나 다름없다. 제대로 된 아이템이 갖춰지기 전이므로 애매한 위치에 '순간이동'을 활용하면 눈 깜짝할 사이에 쓰러지기 일쑤다. 또한, 한 번 잘못 들어갔다가는 한여름에 눈 녹듯이 녹아내릴 것이 뻔하다.

따라서 송경호와 이호성 모두 1순위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 '순간이동' 활용 위치다. 조금이라도 애매한 위치에 사용하게 되면 곧바로 상대에게 포위될 수도 있고, '순간이동'을 취소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또한, 지나치게 과감한 돌파는 금물이다. 자신이 순식간에 녹아내릴 수 있는 이니시에이팅 보다는 아군 딜러 곁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좋다.


최근 경기 양상과는 다르게 맞라인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 에코와 마오카이, 뽀삐 등이 주력 탑 라인 챔피언으로 떠올랐고, 두 선수가 이러한 챔피언들을 잘 다루는 만큼 이 세 개의 챔피언 중에 두 개로 라인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송경호는 이번 시즌 들어 마오카이를 한 번도 플레이하지 않았다. 현재 '1티어 탑 라인 챔피언'으로 분류되는 마오카이를 송경호가 선택하지 않는다면, 한타에서 영향력이 강력한 조커 카드를 꺼낼 수도 있다. 멋진 2:1 승리 장면을 연출했던 에코나 송경호 하면 떠오르는 케넨이 가장 유력하다. 이호성이 먼저 탑 에코를 가져간다면, 카운터인 이렐리아 등을 깜짝 기용할 수도 있다.

SKT T1의 든든한 탑 라이너로 자리매김한 이호성 역시 마오카이와 뽀삐, 에코 등 주요 탑 라인 챔피언을 모두 잘 다룬다. 주력 카드 중 하나였던 피오라가 너프로 고통받고 있는 현재, 이호성은 주요 챔피언 세 개 외에는 딱히 다른 카드를 보여준 적이 없다.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이기로 유명한 송경호를 상대로 자신도 과감한 변신을 시도할 것인지, 아니면 우직하게 탱커 챔피언을 선택할 것인지 궁금하다.


■ 파고드느냐 막아내느냐... 피넛과 블랭크의 신경전

'정글 캐리 메타'가 유행하면서 정글러의 활약 여부가 매우 중요해졌다. 이제 정글러들 사이에서는 어느 시점부터 경기를 캐리할 것인가가 중요해졌다. 그리고 ROX 타이거즈의 '피넛' 윤왕호와 SKT T1의 '블랭크' 강선구는 이에 대한 생각에 차이를 보인다.


윤왕호를 대표하는 단어는 '공격성'이다. 과거 나진 e엠파이어 시절부터 공격적인 움직임과 날카로운 갱킹을 선보이며 '육식형 정글러'로 분류된 바 있다. ROX 타이거즈 소속이 된 이후에도 윤왕호의 공격성은 여전했다. 팀원들과의 시너지를 통해 한층 정교해진 것이 차이점이다.

팀원들이 라인전 주도권을 잡기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윤왕호의 '쇼타임'이 시작된다. 아군이 상대보다 먼저 합류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면 윤왕호는 적극적으로 상대 정글 지역에 난입한다. 이는 자신의 성장 속도를 빠르게 가져감과 동시에 상대 정글의 성장 속도를 늦추는 이점을 갖는다. 그렇게 상대 정글러와의 성장 격차를 벌린 윤왕호는 시간이 지날수록 캐리력을 뽐내게 된다.

강선구는 윤왕호와 스타일이 많이 다르다. 윤왕호가 상대 정글 지역에 난입하는 스타일이라면, 강선구는 조용히 때를 기다리며 성장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다. SKT T1의 팀원들 역시 큰 사고가 터져 강선구의 성장이 어려워지지 않도록 최대한 안정적으로 라인전에 임한다. 그렇게 되면 강선구는 팀원들의 보호 아래 성장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성장을 마친 강선구는 중반 이후 벌어지는 한타마다 팀원들에게 보답한다. 화끈한 대미지를 뽐내며 상대를 쓰러뜨리는데 큰 공로를 세운다. 그와 가장 잘 어울리는 챔피언은 그레이브즈다. 조용히 성장하며 기회를 엿보던 강선구의 그레이브즈는 대규모 한타에서 '뱅' 배준식에 밀리지 않는 대미지를 기록할 때가 많다.

서로 스타일이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두 선수의 신경전, 그리고 두 정글러의 성장을 위한 양 팀 선수들의 신경전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운왕호가 블랭크의 성장을 마음놓고 방해한다면 ROX 타이거즈가 원하는 그림이 완성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SKT T1이 흐름을 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