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를 가리는 롤드컵에서 한국은 3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명실상부 최강임을 증명했다. 하지만 매년 최고가 되기 위한 과정은 절대 쉽지 않았다. 시즌 중반에 열리는 IEM 월드 챔피언십과 MSI에서 해외팀들이 놀라운 기량으로 한국팀을 위협했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는 경기에서 큰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 각팀의 정글러들이 있었다. 2015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 '스피릿' 이다윤은 리 신으로 2015 롤챔스 스프링 시즌 전승 가도를 달리던 락스 타이거즈를 제압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2016년 프나틱에서도 팀을 극적으로 IEM 월드 챔피언십 결승까지 올려놓으며 파란을 일으켰다. MSI에서는 중국 정글러들의 활약이 단연 돋보였다. 2015년에는 EDG의 '클리어러브'는 당시 뛰어난 운영 능력을 자랑했던 '벵기' 배성웅을 상대로 오히려 '3버프 컨트롤'을 선보일 정도였다.

2016 MSI 역시 '중체정'으로 불리는 RNG의 'mlxg' 리우 시 우가 제대로 칼을 갈고 나왔다. 2016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몇 달 사이에 확연히 다른 기량으로 한국을 비롯한 세계팀들을 위협하고 있다. 뛰어난 개인 기량뿐만 아니라 라이너들과 최고의 시너지를 보여줬다. 특히, SKT T1과 대결에서 매 경기 예상 밖의 슈퍼 플레이로 수많은 변수를 만들어냈기에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MSI의 화제는 단연 미드-정글이다. 세계 강호들 속에서 엄청난 미드-정글 격차를 벌리며 RNG의 MSI 예선 조 1위 달성에 크게 기여한 'mlxg'의 인상적인 플레이를 살펴보자.




■ 섣부른 판단은 독 '침착한' 맹수 'mlxg'


이번 MSI에서 RNG의 경기에서 상대 팀이 선제공격으로 기회를 잡는 것처럼 보였다. 최근 메타에서 빠른 교전 합류와 속도전이 중요한 만큼 많은 팀들의 공격적인 플레이는 어찌 보면 당연했다.

하지만 'mlxg'는 달랐다. 1초가 급한 합류전에서 침착하게 기회를 엿보다가 뒤늦게 등장했다. 상대팀이 확실히 유리해 보이는 상황에 'mlxg'가 갑자기 등장해 전세를 뒤집어버린 것이다. 성급하게 교전을 열지 않고 오히려 침착하게 킬 각을 재며 최고의 성과를 거뒀다. 과감한 교전을 좋아하던 예전 중국의 스타일을 넘어 한 층 더 정교해진 판단을 보여준 것이다.

'mlxg'의 침착함은 정신없는 교전 상황에서 더욱 빛났다. SKT T1과 RNG의 예선 두 번째 경기. 봇 라인에서 SKT T1이 3:2 교전을 펼치고 있었다. 상대의 시비르가 빈사 상태로 도망치는 상황에서 'mlxg'의 리 신은 쉽사리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방호'마저 아끼며 기회를 엿본 리 신은 '블랭크' 강선구가 앞으로 점멸을 활용하자마자 나타나 SKT T1을 차례로 제압하기 시작했다.


'페이커' 이상혁이 합류해 추가 피해를 막아보려고 합류할 때, 'mlxg'는 아군의 합류 타이밍과 룰루의 동선을 생각해 차분히 킬을 노렸다. 룰루를 보자마자 파고들어 교전을 열 수 있었지만, 룰루의 생존기와 아군의 합류 타이밍을 고려해 한 수 앞선 판단을 내렸다. 상황을 지켜보던 리 신은 우회해 6레벨을 달성하고 룰루를 아군이 호응할 수 있는 곳으로 차버리며 '페이커'가 궁극기를 쓸 새조차 없이 단숨에 제압해버렸다.

팀플레이 역시 날카로웠다. 미드 '샤오후', 탑 '루퍼' 장형석과 뛰어난 호흡으로 2:2 교전 상황에서 확실히 이득을 챙겼다. 특히, '마타' 조세형이 알리스타나 바드와 같은 챔피언으로 상대에게 CC를 걸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호응해 킬을 만들었다. '마타'가 미드 로밍이나 상대 정글 장악할 때, 함께 움직여 유리한 고지를 점령했다.



■ MSI 최고의 미드-정글 호흡? 챔피언 컨셉 확실히 살린 'mlxg'

▲ 꾸준히 성장해 화끈한 화력을 선보이는 'mlxg' 니달리

이번 시즌 모든 세계 팀에서 주목받는 정글 챔피언은 킨드레드-그레이브즈-니달리다. 세 영웅은 초반부터 중, 후반까지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며 정글 캐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성장하는 과정은 챔피언마다 다르다.

'mlxg'는 당일 RNG의 경기 컨셉에 맞춰 챔피언을 성장시켰다. 이번 MSI에서 니달리와 그레이브즈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두 챔피언의 운영 방향은 확실히 달랐다. 니달리로는 초반 갱킹보다 빠른 사냥 및 상대 정글 지역을 선점해 성장한 뒤 후반 화력을 발휘했다. 미드 라이너 '샤오후'도 니달리의 움직임에 맞춰 무리한 플레이를 시도하지 않았다. 대신 미드 라인전 주도권을 바탕으로 'mlxg'가 활발하게 상대 정글 지역을 장악하게 도와주며 이득을 챙겨갔다.

▲ 18분까지 1/0/0이었던 니달리가?

이러한 운영은 7일 열린 RNG와 플래쉬 울브즈(FW) 경기에서 잘 보여줬다. 아지르-니달리는 킬 관여율 79%에 KDA 11이라는 완벽한 기록을 자랑한다. 초반부터 빠르게 스노우볼을 굴려 완벽하게 상대를 제압한 것처럼 보이지만, RNG는 충분히 성장한 뒤 교전을 열기 시작했다. SKT T1는 RNG와 첫 경기에서 아지르-니달리를 선보였지만, 성급한 2:2 교전으로 초반부터 말린 경험이 있다. 반대로, RNG는 초반보다 중, 후반에 강해지는 아지르와 니달리의 장점을 FW전에서 살린 것이다.

이번 MSI에서 3전 전승, 0데스, KDA 12.6을 자랑하는 'mlxg' 그레이브즈의 스타일은 확연히 다르다. SKT T1과 1차전에 보여줬듯이 'mlxg'의 그레이브즈는 폭발적인 순간 화력을 바탕으로 거침없이 갱킹을 시도했다. 상대가 카운터 정글을 시도하든 말든, 레드 버프를 두르고 화끈하게 싸움에 불을 붙였다. 당시 '샤오후' 역시 강력한 딜로 호응할 수 있는 르블랑으로 2:2 교전에서 대승을 거두는 장면을 연출했다.

'mlxg'의 챔피언 선택이 더욱 무서운 이유는 '핵심 정글 3밴'이 나와도 든든한 리 신 카드를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리 신은 국내 롤챔스 무대에서도 등장했지만, '플로리스' 성연준의 리 신을 제외하고 안 좋다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후반에는 '용의 분노'로 다수의 상대를 제압하지 못하면, 화력과 CC기 모두 부족할 수밖에 없는 픽이었다.

하지만 'mlxg'는 자신의 플레이에 확실히 자신감이 넘쳤다. 일반적으로 프로 무대에서 리 신은 방어 아이템을 위주로 구매하지만, 자신 있는 'mlxg'는 상황에 따라 공격 아이템을 둘렀다.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맞붙는 MSI 무대지만, 두려움 없이 자신의 선택을 믿었고 스스로 증명해냈다.



■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승부 판도를 뒤집는 'mlxg'


'mlxg'의 리 신은 세계 각국에서 최강 프로게이머들을 당황하게 했다. 특유의 빠른 반응 속도로 점멸-용의 분노를 활용해 상대 핵심 챔피언을 제압했다. SKT T1 역시 의외의 타이밍에 과감하게 들어오는 리 신에 '세체원-세체미'로 불리는 '뱅' 배준식-'페이커' 이상혁이 아무런 저항도 해보지 못하고 끊기기도 했다.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두 선수의 루시안-룰루가 핵심 역할을 해냈지만, 유리한 상황마다 리 신의 슈퍼 플레이로 경기가 끝날 때까지 승리를 확신할 수 없었다.

앞서 보여준 FW와 7일 경기에서도 니달리가 등장해 게임의 판도를 바꿔놨다. 위기에 빠진 '옥스' 루시안을 구해내며 가까스로 구해내며 상대 마오카이가 점멸까지 활용해 루시안을 잡아야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마오카이 역시 죽음을 피할 수 없었고 추가 킬로 이어져 니달리가 트리플 킬을 기록했다. 위기의 순간마다 등장해 불리한 상황을 뒤집어 버린 것이다.


이번 RNG와 SKT T1의 4강 대결 역시 'mlxg'가 승부에 관건이 될 만한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예선 무대에서 SKT T1전을 주도했던 까다로운 상대인 'mlxg'가 다시 한 번 활약할지, SKT T1이 지난 경험을 바탕으로 'mlxg'를 봉쇄할 수 있을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양 팀 모두 서로가 어떤 상황에서도 경기를 뒤집을 만한 능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MSI 최강이 되기 위해 서로를 넘어야하는 두 팀은 끝까지 절대 방심할 수 없는 4강 대결이 펼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