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G가 중국 내에서만 최강이라는 표현은 지난 2018 MSI 이후 쏙 들어갔다. 원거리 딜러 '우지'의 엄청난 활약을 필두로 완성도 있는 경기력을 과시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기 때문이다. 3연속 공식대회 우승으로 '트레블'을 달성한 RNG가 또 한 번의 우승을 위해 출격한다.

2018 LPL 스프링 스플릿에서 RNG가 우승컵을 들어올리기 전까지만 해도 그들이 이렇게 오래도록 승승장구할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다. 결승에서 항상 무릎을 꿇었던 '우지'가 LPL 우승컵을 들고 기뻐하는 모습이 아직 어색할 무렵, 2018 MSI가 진행됐고 RNG는 '우지'와 함께 2018년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준우승이라는 타이틀이 저주처럼 따라다녔던 '우지'와 RNG에게는 최고로 기쁜 순간이었을 것이다.

그 후로 얼마 지나지 않아 RNG는 다시 한 번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에는 데마시아 컵에서의 우승이었다. 자국 리그와 국제대회, 컵 대회까지 우승하면서 '트레블'의 영광을 안았다. 이제 RNG가 우승하지 않는 장면이 오히려 어색할 정도로 익숙해졌다.

2018 LPL 섬머 스플릿에서도 RNG는 5승 1패로 동부 1위를 기록 중이다. 여전히 '우지'를 필두로 똘똘 뭉친 결과다. 재미있는 건 RNG는 EU 메타가 흔들리는 와중에도 봇 라인에 원거리 딜러 챔피언을 고수하면서 승수를 많이 쌓았다는 점이다. EU 메타의 진정한 계승자라고 불릴 만 하다.

'우지'는 섬머 스플릿 들어 전통 원거리 딜러 챔피언이 아닌 픽을 딱 한 번 했다. 그는 케넨으로 한 경기 플레이를 했고 승리했다. 그외에는 카이사와 자야, 베인, 애쉬, 루시안, 이즈리얼을 플레이했다. 최근 각광받는 야스오나 스웨인, 블라디미르는 손에 대지도 않았다.

워낙 LPL에서는 원거리 딜러 챔피언에 대한 애정이 식지 않아 크게 이상한 선택은 아니었다. 하지만 '우지'는 비원거리 딜러 챔피언들을 꽤 자주 상대했고 모조리 승리했다. 야스오와 블라디미르, 하이머딩거 등 봇 라인에 자주 출몰하는 비원거리 딜러 챔피언들도 '우지'의 원거리 딜러 챔피언들 앞에서 무너졌다. 그만큼 현재 RNG는 상대가 어떤 챔피언을 꺼내도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지니고 있다.

2018년 들어 '트레블'을 달성한 RNG가 중국 3개팀과 함께 뭉쳐 리프트 라이벌즈 2회 연속 우승에 도전한다. iG와 로그 워리어스, EDG 모두 강력하지만, LPL 대표팀을 상대하는 LCK 대표팀과 LMS 대표팀은 '끝판왕' RNG의 존재를 항상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2018 리프트 라이벌즈 그룹 스테이지 RNG 경기 일정

RNG vs 플래쉬 울브즈 - 5일 1경기
RNG vs 킹존 드래곤X - 6일 6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