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혼렙 어라이즈의 인스턴스 던전은 장신구 아티팩트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위치의 던전이다. 후반부에 개방되는 상위 인스턴스 던전 이그리트는 10단계 달성까지 끝없이 클리어해야 하는 중요한 보스다.

전투력이 증가하면 차차 난이도가 쉬워지긴 하지만, 10단계 요구 전투력만 26만인 강력한 보스기에 패턴을 잘 익히고 공격 기회를 잡아야 대미지 부족 없이 클리어가 가능하다. 55레벨 전설 등급 아티팩트부터가 본격적인 졸업 장비를 얻는 구간이기에 5단계 이상의 던전을 빠르게 입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토리 미션에서도 수문장 중 하나로 꼽히는 인스턴스 던전의 보스 '이그리트'가 이번 순서다.



브레이크를 챙겨라! 성진우 스킬 구성 및 추천 세팅
인스턴스 던전의 이그리트는 스토리 던전과 다르게 암 속성 약점을 가지고 있다. 암 속성 무기인 '그림자의 낫', '요도 매화', '월영'이 있다면 공략에 크게 도움이 된다. 보스의 움직임이 빠른 편이기에 빙결 효과가 있는 국민 무기 '테티스의 마도서'도 유용하다. 암 속성 무기가 1개라면 마도서를 착용하고 가면 된다.

이그리트는 브레이크도 가지고 있는 보스라 성진우의 스킬을 고를 때도 '브레이크' 유무를 보는 것이 좋다. 추천 스킬은 높은 계수와 브레이크 강 피해를 기본으로 가진 '죽음의 연무', 마나 소모는 크지만, 브레이크 격파 능력이 탁월한 '연격타', 보호막, 슈퍼 아머 룬이 있어 공략에 도움이 되는 '파쇄격' 등이다.

기본적으로 어둠 속성 부여 룬이 있다면 해당 스킬을 채용하고, 남은 자리가 있다면 브레이크 스킬을 챙기자. 헌터 서포터도 어둠 속성 헌터가 최선이나 전투력이 떨어지지 않는 선에서 브레이크 효과가 있는 헌터(서지우, 엠마 등의 탱커 클래스)를 편성하면 도움이 된다. '임태규'는 어둠 속성 헌터이며 브레이크가 있어 이그리트 보스전에 유용하다.

이그리트는 성진우를 다운시키는 패턴이 많고 공격 피해도 강력하다. 실수로 죽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복의 돌 '일일 퀘스트 완료'는 보험 삼아 끼고 있는 것을 추천한다. 그 외의 축복의 돌은 대미지 관련이나 브레이크에 도움 되는 종류가 유용하다.

▲ 암속 무기가 유용한 보스전

▲ 성진우는 브레이크가 높은 스킬 위주로 무장하는 것이 유용


극한 회피로 공격 타이밍을 잡자! 이그리트 보스전 공략 흐름
이그리트 보스전은 기본기 싸움이다. 보스는 움직임이 빠르고 띄우고 넘어뜨리는 스킬이 많다. 각 패턴에 극한 회피로 대응하고 공격 기회를 잡으면 쉽게 공략할 수 있지만, 패턴에 피격될 경우 회피기가 연속으로 빠지며 큰 피해를 입는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기본 패턴부터 차근차근 익히면 금방 쉬워지는 보스기도 하다.

기본 패턴 중 주의해야 하는 것들은 점프 후 안/밖/안 공격, 돌진 후 벽력일섬, 시간 차 찌르기가 있다. 초반부터 후반까지 꾸준히 등장하니 패턴 대응을 확실히 해둬야 한다. 특히, 점프 후 장판이 터지는 안/밖/안 패턴은 고단계부터 장판 전조가 안 보이니 바닥을 보고 피하기보다는 보스의 모션을 보고 피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돌진 패턴은 정면에서 엇박자로 돌진하기에 모션을 보고 피하면 피격된다. 미리 회피기를 누르는 식으로 피해야 하는데, 극한 회피를 노리기보다는 좌우로 빠지고 잔상에 회피기를 써서 극한 회피를 노리면 더 좋다.

시간 차 찌르기는 처음에는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좋은 공격 기회다. 보스의 몸이 움찔할 때만 잘 회피하면 편하게 넘길 수 있다.

주기적으로 나오는 밀어내기(포효) 공격도 주의해야 한다. 전조가 빨라 대응이 어렵고 넘어질 경우 점프 공격이나 지배자의 손길 같은 원거리 패턴을 연계기로 쓰기 때문. 보스 남은 체력을 잘 보고 대응하거나 슈퍼 아머 스킬 등을 미리 써두면 좋다.

보스는 브레이크가 있어 확정적인 공격 기회를 만들 수 있다. 어둠 속성 브레이크 스킬이 있다면 공략이 크게 편해진다. 해당 룬이 없더라도 브레이크 스킬을 들고 가면 원하는 타이밍에 브레이크를 유도해 그림자 군단과 함께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 넘어뜨리는 패턴이 많은 보스인 '이그리트'


이그리트 기본 패턴 극한 회피 타이밍 정리
첫 조우부터 남은 체력 50%까지 자주 보는 패턴이다. 딜량에 따라 거의 정해진 순서대로 나오기 때문에(EX 점프 공격>시간 차 찌르기>순간 이동 후 검기) 이에 맞춰 스킬 사용 타이밍 등을 정하면 좋다. 그림자 군단은 순간 이동을 빼고 쓰는 것이 보통 좋다.


- 점프 공격

거리가 멀어지면 사용한다. 조우 시 거의 100%확률로 사용해 극한 회피 타이밍을 익혀두면 좋다. SSR '그림자의 낫'을 착용하고 있다면 이 첫 패턴에 피격되어 체력 70% 조건을 맞추는 것도 좋다.



- 순간 이동 후 검기

보스가 사라지고 성진우의 반대 방향에서 나타나 검기를 날린다. 첫 검기 후 바로 달라붙는다면 패턴이 여기서 끝나며, 달라붙지 못한다면 3타로 이루어진 검기 패턴을 추가로 사용한다. 이그리트가 날리는 첫 검기에 극한 회피를 띄우고 그림자 밟기를 쓰는게 가장 좋으며, 실패 시 마지막 2회 공격이 좀 더 빠르니 주의하자.



- 휘두르고 점프 공격

보스가 정면으로 칼을 휘두르고 점프해 찍는다. 휘두르기를 극한 회피했다면, 바로 그림자 밟기를 쓰지 말고 점프를 보고 쓰면 편하다. 바로 그림자 밟기를 쓴 경우, 보스가 180도 몸을 돌려 점프 공격을 하기에 피격될 수 있다.



- 시간 차 찌르기

보스가 붉은 기운을 뿜으며 가만히 서 있는다. 이후 시간차로 어그로 대상자를 찌르고 날려 버린다. 보스가 몸을 움찔할 때 회피기를 쓰면 된다.



이그리트 심화 패턴 극한 회피 타이밍 정리
후반 강화 패턴과 인스턴스 던전 고난이도 추가 패턴, 극한 회피가 어려운 일반 패턴이다. 이 패턴까지 모두 마스터하면 공략이 크게 쉬워 진다.


- 밀어내기(포효) 공격

가장 회피가 어려운 패턴이다. 조우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사용하며 이후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사용한다. 첫 밀어내기 공격 도중에는 무적 판정이다. 보스가 특정 체력에서 가만히 서 있다면 이 패턴을 예상해 슈퍼아머 스킬/서포터를 발동해 두면 편하다.



- 점프 후 안/밖/안

점프 후 이그리트가 장판을 3회 터뜨린다. 안쪽/바깥쪽/안쪽 3회 터진다. 안쪽을 피하고 공격하다가 마지막 장판을 극한 회피하면 깔끔하다. 인스턴스 6단계부터는 붉은 전조 장판이 안 보이니 조심해야 한다. 마지막 공격은 보스가 칼을 빼든 직후 잠시 쉬고 회피기를 누르면 된다.

▲ 한 템포 쉬고 회피기를 쓰면 된다(1초 아님)


- 돌진 후 벽력일섬

시간차 돌진으로 성진우를 띄우고 지나간 자리에 추가 잔상 공격을 남긴다. 공격에 시간 차가 있고 보스 동작보다 조금 먼저 회피해야 극한 회피 판정이다. 미리 회피기로 돌진을 피하고, 잔상 자리로 한 번 더 회피해 극한 회피를 띄우는 것이 더 쉽다.



- 회전 공격

보스가 검을 들고 2회 크게 돌진한다. 회피를 노리지 않고 멀리 피하는 것이 좋다. 회피로 피할 경우 회피기 3개를 다 써야 한다.



- 지배자의 손길

거리가 멀어지면 사용한다. 보스가 눈을 번쩍이며 한 손을 뒤로 뺀다. 이후 손이 번쩍하는 전조와 함께 성진우를 끌어당기는 장풍 공격을 날린다. 피격 시 공중에 뜨며 이어지는 베기도 맞는다. 보스에게 접근해 뒤를 잡거나 정확한 타이밍에 극한 회피하고 그림자 밟기를 쓰거나 회피를 1개 정도 더 써서 이동하는 것이 안전하다.



- 검기 강화 패턴

체력 50% 이하에서 사용한다. 보스가 검기를 1회 날리고 사라지며, 성진우가 있는 위치에 나타나 베기 공격을 날린다. 보스 등장 전 자리가 미리 보이는데, 이 이펙트를 보고 바로 회피하면 베기에 당하기 쉽다. 보스 공격의 추적 성능이 좋은 편이기 때문. 이그리트 모습이 보인 순간 회피를 누르면 된다.



인스턴스 던전 이그리트 10단계 클리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