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허의 유산이 공개되면서 멀티플레이의 흐름을 뒤바꿀 신규 유닛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 시각 11월 8일 새벽 3시를 기준으로 공허의 유산이 전격 공개됐다. 스타크래프트2 3부작 시리즈의 완결을 짓게 될 공허의 유산은 프로토스를 중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이번 블리즈컨2014에서 관련 트레일러가 첫 공개되었다.

또한 멀티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종족별 신규유닛 5종이 추가되었다. 이 신규유닛들은 전장의 판도를 크게 뒤집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향후 종족간 밸런스 및 e스포츠 리그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 저그 : 궤멸충과 가시지옥 추가 - 부족했던 대공 능력과 대 테란전 능력 강화



저그는 공허의 유산에서 신규 유닛 궤멸충과 가시지옥이 추가된다. 궤멸충은 지상 전용 원거리 유닛으로 바퀴를 변이시키면 얻을 수 있는 유닛이다. 바퀴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강력한 공격력을 얻게 되며 'Corrosive Bile'이란 기술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지정 위치에 투사체를 쏘아 올려 일정 시간 후에 광역 피해를 선사한다. 범위는 좁지만 맞은 유닛들은 모두 피해를 입으므로 제한적으로나마 공중 유닛들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프로토스의 역장도 파괴할 수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 브루드 워에서 저그 유저들에게 사랑받았던 가시 지옥(러커)이 돌아온다. 군단의 심장에서 싱글플레이 미션에 등장하기도 했던 가시지옥이 멀티플레이에 추가되면서 공식 경기에 활용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

이로 인해 저그는 대 테란전에서 바이오닉 병력과의 힘싸움에서 큰 힘을 얻게 될 전망이다. 가시 지옥의 등장으로 맹독충 대전과는 또 다른 밀고 밀리는 라인전이 가능해져 경기 양상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테란 : 헐크와 사이클론 추가 - 소규모 국지전에 힘이 실릴 것



테란에는 헐크와 사이클론이 추가된다. 헐크는 바이오닉 유닛이며 병영에 기술실을 부착하면 생산이 가능하다. 헐크는 근접 유닛이며, 'Grapple' 기술을 통해 지정한 유닛으로 돌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활용해 순식간에 진영 앞으로 나서 아군의 유닛을 보호할 수 있는 용도로 쓸 수 있다. 기술실에서 'ARC Gun'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화염 방사병처럼 광역 피해를 줄 수 있게 된다.

사이클론은 중반부에 주력 병력으로 쓸 수 있는 화력 유닛이다. 군수공장에 기술실을 부착하면 생산할 수 있고, 생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선으로 치료할 수 있다. 'Lock On' 기술로 적 유닛을 지정하면 15초 동안 2배의 공격 속도로 공격한다. Lock On을 사용 중에는 이동하면서 공격할 수 있어 기동타격전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사거리는 짧은 편이지만, 추가 연구를 통해 사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다.

전체적으로 테란의 신규 유닛은 대규모 한방 싸움 보다는 소규모 국지전에 더욱 강력한 특징들을 타고 났다. 헐크는 초중반 바이오닉 싸움에서 탱킹을 담당할 것이고, 사이클론은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화력으로 중반을 지배할 수 있는 유닛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프로토스 : 분열기 추가 - 적의 밀집 병력 한 번에 와해시킬 수 있어



프로토스의 경우에는 신규 유닛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적다. 이번에 추가되는 분열기는 로봇공학시설에서 생산할 수 있으며, 로봇 공학 지원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거신 급의 고테크 유닛이다. 'Purification Nova'란 기술을 통해 적들에게 광역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자체 공격 능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기술을 사용하면 분열기의 이동 속도가 급상승한다. 이 상태로 적진으로 파고들면 4초 뒤에 강력한 광역 피해를 입힌다. 거신이나 고위 기사의 사이오닉 폭풍이 지속 피해 형태로 되어있어 적이 병력을 물릴 경우 큰 피해를 주기 어려웠으나, 분열기에 당하면 즉각적인 화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전장에서 큰 변수가 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많은 가스를 소모하는 고급유닛인데 비해 체력이 대단히 낮아 컨트롤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 신규 유닛의 이름은 현재 가칭이며, 유닛의 주요 제원은 확인되는 대로 반영됩니다. 본 정보는 블리즈컨2014 시연 버전에 기초한 것으로 실제 정식버전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