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조이에서 만난 김상엽 게임에이드 실장

게임에이드는 아직 국내 유저들에게 그리 익숙한 이름의 회사는 아니다. 활동이 부족했던 것은 아니다. 삼국무신, 삼국데이, 던오브워 등 올해 벌써 3종의 게임을 출시했으며 이중 삼국무신은 글로벌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그외 ‘차이나브릿지'라는 행사를 열어 중국 퍼블리셔와 국내 개발사와 연결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굵직한 퍼블리셔와 비교하면 아직 인지도가 부족한 게 사실이다.

중국 상해 '차이나조이2015' B2B Hall에서 만난 김상엽 게임에이드 실장도 이런 점에 대해 공감했다. “게임에이드는 중국게임사와 계약을 맺고 국내에 게임을 서비스하는 회사에요. 그런데 단순히 로컬라이징만 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모델(BM)부터 각종 현지화 작업까지 모두 같이하고 있어요. 또 최근에는 유저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히어로즈오브더스톰 'Gameade TOP' e스포츠단을 창단하기도 했고요. 하지만 빅히트작이 없다보니 아직 국내에는 이름이 많이 알려지지 않은게 사실이죠."

게임에이드는 현재 중국에 있는 경쟁력 있는 게임을 가져오기 위해 올해 하반기에도 많은 라인업을 준비하고 있다. 김상혁 실장이 차이나조이에 온 이유도 그 일환이다. “중국 중소 회사는 한국 시장에 대해 전혀 모르는 곳이 많아요. 구글스토어나 앱스토어에 대한 기본 정보는 있는데 예를 들어 네이버, T스토어, 카카오 등 다른 플랫폼에 대해서는 정보가 부족한 편이죠. 게임에이드는 이런 부분에서 중국이나 한국 회사에 양국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어요."

이처럼 게임에이드는 퀄리티가 확보된 중국 개발사와 계약을 맺고 한국 현지에 맞게 게임을 로컬라이징해 서비스하거나 경쟁력있는 한국 개발사를 중국 퍼블리셔와 연결시켜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으로 중국 퍼블리셔와 1:1로 접촉하는 회사들도 있지만 계약 직전에 파기하거나 출시 후에도 소스코드 복제, 수익 정산 불이행 등 많은 리스크를 안고가야하는 것이 현실이다.

김상엽 실장은 이런 문제점을 사전에 막고 국내 게임사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고자 ‘차이나브릿지’라는 행사를 매년 주기적으로 주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이나브릿지는 중국 및 글로벌 업체 바이어를 초청해 국내 중소 모바일 게임 개발사 및 스타트업과의 비즈니스 매칭을 맺어주는 데모데이로, 국내 게임을 찾는 중국 바이어들을 위해 기획된 행사다. 중국 바이어는 투자 업체 성향별 맞춤 큐레이팅 된 개발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개발사의 게임 콘텐츠 시연 및 개별 미팅을 통해 게임을 다이렉트로 계약 및 투자할 수 있다. 검증된 레퍼런스를 확인할 수 있어 국내 개발사에게 인기가 높은 편이다.

“저희가 차이나브릿지 행사를 기회하면서 가장 신경쓴 부분 중 하나는 중국 바이어의 직급이었어요. 실무자가 아니라 프로젝트 계약을 바로 진행할 수 있는 실권자가 올 수 있도록 많은 유도를 했죠. 데모데이 행사에서 한국 개발사는 게임을 소개할 수 있는 10분의 기회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관심을 끌면 곧바로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생각을 했죠. 실제로 많은 회사들이 차이나브릿지를 통해 연결 됐어요"

게임에이드는 올해 퍼블리싱 게임을 3종 더 출시할 예정이다. 이미 ‘도와줘! 용사’에 대한 사전 모집을 진행하고 있으며 연내까지 2종의 게임을 더 선발해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김상엽 실장은 유저 밀착형 이벤트와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게임에이드에 대한 인지도를 계속 넓혀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현재 3종의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고 앞으로도 유저분들에게 좋은 게임을 출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고려 중인 라인업은 많은데 트렌드가 계속 변하고 있어서 어떤 것을 다음 후보로 선택할지 고민이에요. 사실 올해 상반기까지 게임 출시 때문에 많이 바빴어요. 하반기나 내년부터는 기자간담회나 유저간담회를 통해 회사의 비전을 많은 분들에게 공유하고 싶고요. 앞으로도 유저분들에게 좋은 모습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