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열기를 한껏 머금고 숨 가쁘게 달려온 2015 LoL 챔피언스 리그(이하 롤챔스) 섬머 정규 시즌도 어느새 그 막을 내렸다. 10팀 체제로 바뀌며 빠른 템포의 경기 일정을 소화해 내야 했기에 기존 선수들 입장에선 힘든 시즌이었다. 하지만 경기가 많았기에 뉴 페이스들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넓은 기회의 장이었다. 또한, 꿈의 무대인 LoL 월드 챔피언십과도 큰 연관이 있는 시즌이었기에, 선수들은 그야말로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치열하다'는 말 한 마디로는 부족한 시즌이었다. 단 1승을 하기위해 미칠 듯이 노력하고 땀흘리는 팀이 있는가 하면,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최강의 자리에 군림하고있는 팀도 있었다. 또 그 최강자를 끌어내리기 위해 날을 갈고있는 팀들의 뜨거운 경쟁이 펼쳐지기도 한 이번 롤챔스 섬머. 여름에 걸맞는 뜨거운 팬들의 응원과 화끈한 명경기들이 있었기에 이번 시즌은 더욱 빛날 수 있었다.

인벤팀에서는 이렇듯 뜨거운 열기의 2015 롤챔스 섬머 시즌을 팀별로 결산하여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 네 번째 주인공은 삼성 갤럭시이다.


▲ 과거의 영광을 되찾아라, 삼성갤럭시!



■ 승강전의 위기를 뚫다, 삼성갤럭시!

2015 롤챔스 스프링 시즌. 삼성이라는 팀을 왕좌에 올려놓은 스타 플레이어들 대부분이 각자의 꿈을 쫓기 위해 팀을 떠났고 삼성은 그 공백을 채워야했다. 다양한 팀이 변화를 겪었지만 삼성의 경우 모든 포지션의 선수들이 빠져나갔기 때문에 연습을 위해 그 어느 팀보다 빠르게 각지의 고수들을 섭외한 삼성이었다. 팬들이 응원하던 선수들 대부분이 해외로 나간 시점. 팬심을 잡기 위해서라도 좋은 성적을 내야만 했고, 이를 위해 짧은 기간 엄청난 연습량을 보여주며 희망찬 2015년을 다짐한 삼성이었다.

하지만 스타 플레이어들의 빈자리가 너무나도 컸던 것일까. 삼성은 리그 8위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한 시즌 만에 왕좌에서 추락했고, 설상가상으로 승강전의 위기까지 봉착했다. 한 순간 몰락해버린 왕조를 보며 팬들은 안타까워했고, 최소한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섬머 시즌 승강전이라는 산을 넘어야 했다.


▲ 승강전 무대까지 내려온 삼성


제닉스, 프라임과 같은 조에 속해 롤챔스 본선 무대 티켓을 위한 싸움을 벌이게 된 삼성. 지난날을 생각하면 이런 자리까지 온 것만으로 자존심 상할 일이었지만, 이미 삼성은 그런 것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정도로 큰 풍파를 겪었다. 스프링 때의 뼈아픈 경험이 삼성을 강해지게 만든 것일까. 승강전 같은조에 배치된 제닉스와 프라임을 엄청난 경기력으로 압도하며 섬머 시즌 본선 진출 티켓을 가장 먼저 따내는 데 성공한 삼성이었다. 팀 창단 이후 최고의 위기를 잘 넘긴 삼성은 오랜만에 웃을 수 있었다.

섬머 시즌 좋은 시작을 알린 삼성이 웃을 수 있는 이유는 비단 본선에 진출했다는 것뿐만이 아니다. 삼성과 그들의 팬들이 더욱 기쁘게 웃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퓨리' 이진용의 기량 회복 때문. 승강전에서 이긴 모든 경기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라인전 능력과 후반 캐리력은 과거 삼성 왕조를 세웠던 선수들에 근접할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승강전을 통해 경기력 회복과 '퓨리' 이진용의 부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삼성. 이제는 정말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일만 남아 보였다.


▲ '퓨리' 이진용의 부활!



■ 웃을 수 없는 성적, 하지만 희망을 보았다

승강전에서 만끽한 승리의 맛은 삼성을 더욱 고무시킨 듯했다. 5월 20일 열린 롤챔스 섬머 개막전에서부터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스베누 소닉붐을 누르며 승리했다. 특히, 섬머 시즌부터 투입된 삼성의 새 얼굴 '크라운' 이민호의 맹활약은 단연 빛났다. 그동안 삼성 약체의 원인 1순위로 꼽히던 것이 바로 미드 라인이었기 때문에 더더욱 그랬으며, 미드가 살아나자 다른 라인들 또한 힘을 받아 개막전부터 엄청난 경기력을 뿜어냈다.

서포터 신예 '루나' 장경호의 활약도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스프링 시즌 정규 리그 1위에 빛나는 쿠 타이거즈를 상대로 바드를 이용해 완벽한 플레이를 보여주며 팬들의 박수갈채를 받아냈다. 비록 이날 게임은 2:1로 지고 말았지만, 삼성은 상대적 강팀을 상대함에도 전혀 주눅 들지 않았다. 되려 바드라는 신신한 픽을 꺼내들어 반격한 삼성은 이전 시즌에 비해 확실히 성장해있었다.


▲ '루나'의 완벽한 바드 활용!


다른 팀들 역시 성장한 것은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삼성이 한 번에 치고 올라가는 것은 무리였다. 하지만 최고의 팀들과도 비등한 경기를 펼쳤으며, 일방적 2:0 스코어가 나오는 빈도수가 크게 줄었고 후반까지 가는 경기들은 하나같이 명경기였다.

이러한 기량 상승에도 삼성이 1라운드에 받은 성적은 2승 7패. 결코 웃을 수만은 없는 성적이고, 가야 할 길이 먼 삼성이었지만 2라운드를 멋지게 풀어나갈 원동력을 확실하게 얻은 삼성이었다.


▲ SKT의 세트 연승을 끊어내는 저력을 보이는 삼성



■ 비약적인 기량 상승을 이루다!

멋진 경기력을 선보였지만, 프로는 성적으로 말하는 법. 기세는 좋지만 2라운드 때도 이런 성적이 유지 된다면 승강전의 위기에 다시 봉착하기 될지도 모르는 삼성이었다. 다시금 굴욕적인 승강전을 치르지 않기 위해서는 '승리'가 필요했고 그 첫 번째 상대는 IM이었다.

IM도 승강전에 가지 않기 위해서 승 하나하나가 간절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력이 비슷한 삼성을 정조준하고 있었다. 하지만 '크라운' 이민호의 아지르는 이날 '황제' 그 자체였다. 1세트에서 중반까지 불리했던 삼성이었지만 크라운의 아지르가 분당 CS 10개를 훌쩍 넘기는 압도적인 성장력을 보이며 하드 캐리 했다. 2세트에서는 그림 같은 궁극기 활용으로 섬머 시즌 최고의 명장면 중 하나를 만들어내며 팀에게 소중한 1승을 안겨줬다.


▲ IM을 꿰뚫는 크라운의 창! (영상 출처: OGN)


멋진 승리에 힘입은 삼성은 1라운드 때 굴욕적 패배를 안겼던 레블즈 아나키에게도 시원하게 복수하는 데 성공했다. 2라운드 들어 급상승한 삼성의 경기력은 그동안 삼성을 향하던 비난의 화살을 한번에 부러뜨릴 만큼의 눈부신 성장이었다. 하위권을 넘어 중위권까지 겨냥해 볼 수 있게 된 삼성은 더이상 '약팀'이 아니었다.

이후 '한 끗'이 부족한 경기력을 보이며 중상위권 팀들에게 패배해 중위권 도약은 힘들어졌지만 2라운드 아홉 경기 중 네 경기를 승리로 이끈 삼성. 시즌 초에 다짐한 포스트시즌 진출은 사실상 힘들어졌지만, 승강전을 여유롭게 피했다는 것만으로 삼성의 성장이 증명된 섬머 시즌이었다.


▲ 1라운드의 굴욕을 푸는 삼성갤럭시



■ 다시 한 번 위를 노린다, 삼성 갤럭시!

승강전을 피했고 경기력이 월등하게 오르긴 했지만, 아직까지 '한 끗'이 부족한 것은 여전하며 삼성에게는 시간이 필요하다. 새로워진 로스터로 벌써 2번째 시즌을 마친 삼성이지만, 팀의 중추가 될 미드 라이너인 '크라운' 이민호가 아직 한 시즌밖에 호흡을 맞추지 않았다.

때문에 자신들이 받은 성적표에 아쉬워할 시간이 없다. 이번 시즌에 얻은 경기 경험을 바탕으로 남은 기간에 충분히 연습해 이제 성장하기 시작한 팀워크를 키워 나가야 한다. 이전처럼 세계 무대를 휩쓸 정도의 기량을 찾기 위해서는 아직 갈길이 멀지만 이번 시즌을 통해 삼성은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팀'이라는 것을 입증했다.

이제는 치고 올라갈 일만 남은 삼성. 역대급 스타 플레이어들이 지나간 자리를 채운 만큼 그 어깨에 진 부담감도 클 것이다. 하지만 위를 바라보기 위해선 극복해내는 수밖에 없다. 지금처럼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며 그 부담감을 털어낼 수만 있다면 언젠가는 세계 무대에 다시 한 번 팀을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 이제는 높은 곳을 바라볼 시간!



■ 삼성 갤럭시, 섬머 시즌 인포그래픽



롤챔스 섬머 팀 별 결산 기사 모아보기

팀 별 결산 ① : 스베누 소닉붐, 팬들의 시선을 바꿔라!
팀 별 결산 ② : 살아남아라, 롱주 IM!
팀 별 결산 ③ : 레블즈 아나키, 이제는 다음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