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에서 한눈에 들어오는 것은 선수들의 뛰어난 피지컬과 화려한 스킬 연계로 이뤄지는 한타 싸움이다. 그러나 눈에 잘 띄진 않지만 잘하느냐 못하냐에 따라서 피지컬 차이와 글로벌 골드의 차이도 극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밴픽 전략과 운영 방법이다.

핑크와드 코너는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시즌5에서 치열함이 느껴지는 명승부 혹은 밴픽이 경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경기를 선정하여 보이진 않지만, 게임 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밴픽 전략, 전술과 운영에 대해서 다룬다.

오늘 선정한 경기는 롤드컵 조별 풀리그 4일 차 2경기다. 대놓고 한타 조합인 kt 롤스터를 상대로 유럽의 오리젠은 정면 한타를 하지 않고 경기를 끝냈다. 킬 스코어라는 것이 절대적인 유리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 좋은 예시가 되는 경기다.


■ 픽부터 대놓고 한타 vs 대놓고 운영


kt 롤스터의 조합은 엘리스, 알리스타, 코그모, 에코, 올라프다. 대놓고 "나 돌진해서 한타할 건데 너흰 뭐할 거야"라고 묻고 있다. 오리젠은 그런 kt 롤스터의 조합에게 쓰레쉬, 그라가스, 트위스티드 페이트, 시비르, 피오라를 선택해 "너희가 어떻게 나오든지 운영할 거다"라고 답했다.

오리젠의 스플릿 푸쉬에대한 의지는 마지막 피오라 픽으로 정점을 찍었다. 올라프를 상대로 불리한 픽임에도 운영을 위해서 꺼내 든 것이다. 그 대가로 '소아즈'는 경기 내내 솔로킬을 당하며 '썸데이' 김찬호의 하이라이트 영상의 희생양이 됐지만, 최후의 승자가 됐다.

kt 롤스터는 경기 내내 킬 스코어에서 앞섰다. 특히, 초반에는 6:2의 스코어로 코그모와 올라프가 압도적인 성장을 보였다. 미드에서 '나그네' 김상문의 에코가 cs에서 많이 밀리긴 했지만, 정면 한타에서는 계속 압승할 수 있는 전력을 갖췄다.

▲ '썸데이'의 올라프는 강했지만, 승리를 따낼 수는 없었다.


이를 잘 아는 오리젠은 절대로 싸워주지 않았다. 피오라를 내주고,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잘려서 타워를 내주더라도 한타를 피했다. 계속해서 kt 롤스터의 분위기가 좋은 상황. 오리젠은 자신이 있었다. 픽 구도에서 이미 자신들의 '아웃 복싱'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순간이동을 든 에코는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견제할 수 없는 상황, 올라프는 피오라를 이길 수 있지만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절대 혼자서 잡아낼 수는 없었다.

한타를 원하는 kt 롤스터의 에코와 코그모의 cs는 당연히 낮을 수밖에 없었다. 피오라가 탑 라인에서 cs를 손실시키고,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봇 라인에서 cs를 손실시켰다. 그 사이 시비르는 프리 파밍을 하고 있었다. 피오라가 죽던 말던 라인을 미는 트위스티드 페이트도 마찬가지였다. 3데스를 한 피오라 조차도 cs에서 30개 이상 밀리지 않았다.


■ kt 롤스터의 노림수를 노린 오리젠


뭐니뭐니해도 이번 경기의 핵심은 첫 번째 바론 사냥에서 갈렸다. 그냥 단편적으로 봤을 때 kt 롤스터의 인원 분배의 실수로 보였다. 그러나 kt 롤스터는 바보가 아니다. 전체적으로 운영이 뛰어난 한국 리그에서도 '스마트한 운영'을 선보인다고 평가받는 팀이다.

kt 롤스터의 노림수는 '소아즈'의 피오라를 잡고, 2차 타워를 파괴한 뒤 상대의 귀환을 강제하여 운영의 흐름을 끊을 생각이었다. 만약, 오리젠이 바론을 가져간다면 억제기까지도 손쉽게 밀어 상대의 한쪽 날개를 묶을 좋은 기회였다. 그런데 여기서 변수는 드래곤 앞에 깔려 있었던 '와드'다. 이 와드가 오리젠에게 프리 바론이라는 경기 승리의 핵심 티켓을 준 것이다.

바론을 먹은 오리젠의 골드는 38.1k, kt 롤스터의 골드는 36.6k로 1500골드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런데 엑스페케는 "바론을 먹은 뒤 승리를 예감했다"고 인터뷰에서 말했다. '엑스페케'가 오만한 것일까? 아니다. 그 근거 역시 대놓고 한타를 하는 kt 롤스터의 픽에 있었다.


운영에서 이점을 가진 오리젠에게 kt 롤스터가 한타를 거는 방법은 두 가지다. '드래곤'과 '바론' 그리고 드래곤은 5스택까지 한참 남은 시점에서 올라프와 코그모가 화력의 정점에 달했던 20분 대에서 한타를 강제할만한 수단 하나였다. 바론 시야 장악과 이어지는 알리스타와 에코의 기습 이니시에이팅. 그것으로 스노우 볼을 굴려 더욱 성장 격차를 벌린 후 4명으로는 도저히 막을 수 없는 전력을 보유해 정면 한타를 강요하는 것이 kt 롤스터의 시나리오였다.

그런데 여기서 바론을 그대로 내줬고, 7분간 kt 롤스터는 손해 보는 것을 알면서도 잡으러 가야 하는 피오라 사냥만 할 수밖에 없었다. 이 바론으로 kt 롤스터의 각본은 찢어져 버렸다. 이후는 오리젠의 화력이 kt 롤스터가 '사냥 개시'를 받은 트위스티드 페이트와 시비르의 포격을 몸으로 뚫고는 한타에서 승리할 수 없었다. 두 팀의 경기력은 정말 뛰어났다. 아쉬운 것은 와드의 존재를 간과한 kt 롤스터의 방심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