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진' 이호진이 1, 2세트에서 정글 자크로 독특한 변수를 만들어냈다.

이번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자크가 처음으로 등장해 맹활약을 보여줬다. 이호진의 자크는 프나틱과의 1, 2세트에서 등장해 의외의 변수를 많이 만들어냈다. 특히, 교전에서 완벽한 CC기를 활용해 프나틱 딜러의 활약을 저지하고, 패시브로 큰 변수를 만들어냈다.

이호진의 자크는 시작이 좋지 않았다. 뚜렷한 갱킹에 성공하지 못하고 상대의 일점사에 끊기며 궁극기도 활용해보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어진 교전에서 광역 CC로 팀원과 함께 상대를 제압했다. '고릴라' 강범현의 알리스타와 '스멥' 송경호의 리븐과 함께 완벽한 에어본-스턴기를 연계해 교전 승리에 기여했다. 게다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패시브인 '세포 분열'로 상대의 '어그로'를 제대로 끌어내기도 했다. '후니' 허승훈의 헤카림이 궁극기로 한 번에 네 조각으로 갈라진 자크를 제압했지만, KOO 타이거즈의 일점사에 역공을 맞아 힘을 잃었다.

2세트 마지막 교전에서는 상대의 핵심 딜러인 '페비벤'의 아지르에게 달라붙었다. 위기 상황 속에서도 강력한 딜을 자랑했던 아지르지만, '끈적하게' 달라붙는 자크의 CC연계에 쉽게 제압당하고 말았다. 이호진의 자크는 역전이 나올 수 있는 힘든 상황에서 '점멸'까지 활용한 과감한 이니시에이팅으로 2세트 승리를 이끌었다.



그동안 KOO 타이거즈가 조별리그에서 FW에게 패배할 때, 정글러에게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말들이 있었다. 그런데 '호진' 이호진은 새로운 카드 자크로 지금까지 있었던 우려를 불식시켰다. 비록, 기존 정글러에게 필요한 덕목인 날렵한 갱킹과 시야 장악이 아니었지만, 자신만의 색깔로 롤드컵 경기 승리의 주역이 됐다.

남은 결승전 상대는 지금까지 어떤 팀도 승리해보지 못한 SKT T1이다. 평범한 챔피언과 운영으로 절대 이길 수 없는 상대인 만큼, 결승전에서는 이호진의 자크처럼 독특한 변수를 만들어내는 챔피언의 등장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지막 롤드컵 경기에서 '이호진이라면?' 어떤 새로운 카드로 흥미진진한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