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IEM 공식 트위터

'순간이동' 활용 능력이 가른 승패

프나틱이 '레클리스'의 진 키우기 조합의 특색을 잘 살려 패자전에서 살아남았다. CLG는 '다르샨'의 블라디미르가 제 시간에 합류하지 못한 것 때문에 순식간에 승기를 내주고 무너졌다.


쉔의 아버지 이름이 킨코우인지 티모인지 헷갈리는 상황 속에서 양 팀의 3세트가 시작됐다. 선취점이 CLG에게 돌아갔다. 미리 진의 '점멸'을 빼놓은 이득을 톡톡히 챙겼다. 프나틱도 합류했지만, 이미 상황이 종료된 이후였다. CLG는 진의 약점을 집중 공략하며 격차를 조금씩 벌렸다. 그러자 프나틱은 드래곤을 때리고 있는 상대의 뒤를 노려 격차를 좁혔다. '레클리스'의 진이 더블 킬로 분을 풀었다.

CLG가 여전히 주도권을 잡고 있는 가운데, 드래곤 스택과 함께 상대 리 신까지 쓰러뜨리며 조금 더 앞으로 나아갔다. 프나틱이 블라디미르를 잡아내고 탑 1차 타워를 파괴하자, CLG 역시 상대 미드 1차와 2차 타워를 파괴하고 킬 포인트도 챙겼다.

그래도 확실히 다수가 맞붙는 한타 구도에서는 CLG의 조합이 강력했다. 상대가 블라디미르를 물자, 이를 제대로 받아치며 격차를 크게 벌렸다. 블라디미르가 적은 체력으로 살아나갔고, 나머지 팀원들이 블라디미르의 '혈사병' 디버프를 적극 활용했다. 하지만 프나틱은 상대의 탑 라인 압박을 뚫어내고 바론 버프를 손에 넣었다. 리 신을 먼저 잃긴 했지만, 진의 '커튼 콜'이 정확히 꽂히면서 한타 대승을 만들어냈다.

프나틱의 득점이 계속 됐다. 이번에는 '스피릿' 이다윤의 리 신이 상대 칼리스타를 제대로 아군 쪽으로 배달했다. CLG 입장에서는 블라디미르의 우직한 스플릿 푸쉬가 독으로 작용했다. 순식간에 프나틱이 상대 챔피언을 계속 쓰러뜨리며 승리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