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프릭스와 SKT T1이 자력으로 3위와 5위를 차지하며 정규 시즌을 마무리했다.

8일 전북 전주 체육관에서 열린 2016 롯데 꼬깔콘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2라운드 22일 차 경기에서 아프리카 프릭스와 SKT T1은 CJ 엔투스와 스베누 소닉붐을 각각 2:0으로 완파했다.

1경기는 아프리카 프릭스의 와일드 카드 진출을 결정짓는 중요한 경기였다. 아프리카 프릭스는 '익수' 전익수가 마오카이를 선택했고, '미키' 손영민이 라이즈로 후반 캐리를 도모하는 조합을 선택했다. 아프리카는 전체적인 운영에서 CJ 엔투스보다 앞섰다.

초반부터 드래곤 관리를 철저히 했고, 한 차례도 드래곤을 내주지 않았다. 결국, 아프리카는 주도권을 계속 쥐어나가며 5드래곤에 성공하고 CJ 엔투스를 상대로 선취점을 가져갔다.

이어진 2세트, 이번에는 '익수' 전익수의 에코가 협곡을 자유자재로 뛰어다녔다. CJ 엔투스는 '크래이머' 하종훈이 트위치라는 변수를 꺼냈지만, 아프리카에게 통하지 않았다. 탑 라인에서 익수와 리라가 2킬을 따냈고, 미드에서도 익수가 환상적인 로밍을 성공시키며 '비디디' 곽보성을 잡아냈다.

경기 시간 24분 만에 1만 골드 이상 차이가 벌어졌고, 아프리카 프릭스는 무난히 승리를 거두며 자력으로 와일드카드 진출을 확정 지었다.



2경기에서는 SKT T1이 스베누 소닉붐을 2:0으로 잡아내며 3위를 확정 지었다.

1세트, 스베누 소닉붐은 미드 에코와, 탑 뽀비로 탱커 비중을 높히는 독특한 전략을 구사했다. 초반, 이런 스베누의 전략이 먹혀드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레이브즈, 루시안, 코르키의 3원딜 체제를 가져간 SKT T1의 딜이 더 강력했다.

SKT T1은 바론 버프를 챙겨 스노우볼을 굴렸다. 봇을 마오카이가 흔들고, 나머지 4명이 탑으로 진격해 억제기 포탑을 파괴했다. 스베누는 승부수를 던져 탑 라인에서 교전을 걸었지만 대패했다. 모든 딜러가 생존한 SKT가 그대로 넥서스를 파괴해 승리했다.

2세트에서는 '페이커' 이상혁의 트위스티드 페이트가 초반부터 경기를 터뜨렸다. 양 팀은 초반 미드 지역에서 펼쳐진 미드-정글 간의 2:2싸움에서 SKT T1이 2킬을 먹었고, '페이커'는 로밍을 통해 추가 득점까지 계속 이어갔다.

또한, '블랭크' 강선구의 니달리도 경기 시간 11분에 5킬 0데스 3어시라는 놀라운 KDA를 기록하고 있었다. 변수는 없었다. 스베누 전원이 미드 1차 타워를 밀기 위해 모였고, 이 교전에서 시비르가 3킬을 가져가며 SKT T1은 핵심 딜러 라인은 니달리, 트위스티드 페이트, 시비르 모두 압도적인 성장을 보였다.

게다가 바론까지 SKT T1이 가져갔고, SKT T1은 24분에 글로벌 골드 1만 5천이라는 역전하기 힘든 차이까지 만들었다. 그리고 위험한 순간마다 '울프' 이재완의 탐켄치가 슈퍼 세이브를 보여주며 스베누의 희망마저 차단했다.

결국, SKT T1이 스베누 소닉붐을 2:0으로 잡으며 최종 순위 3위로 준PO에 올랐다.

■ 2016 롯데 꼬깔콘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2라운드 22일 차 경기 결과

1경기 아프리카 프릭스 2 vs 0 CJ 엔투스
1세트 아프리카 프릭스 승 vs 패 CJ 엔투스
2세트 CJ 엔투스 패 vs 승 아프리카 프릭스

2경기 SKT T1 2 vs 0 스베누 소닉붐
1세트 SKT T1 승 VS 패 스베누 소닉붐
2세트 스베누 소닉붐 패 VS 승 SKT T1

■ 2016 롯데 꼬깔콘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2라운드 순위 현황

1위. ROX 타이거즈 - 16승 2패 득실 +27
2위. kt 롤스터 - 12승 5패 득실 +14
3위. SKT T1 - 12승 6패 득실 +11
4위. 진에어 그린윙스 - 10승 7패 득실 +5

5위. 아프리카 프릭스 - 10승 8패 득실 +2
6위. 삼성 - 10승 8패 득실 0
7위. CJ 엔투스 - 8승 10패 득실 -8
8위. 롱주 게이밍 - 7승 10패 득실 -2
9위. 스베누 소닉붐 - 2승 16패 득실 -23
10위. 콩두 몬스터 - 1승 16패 득실 -26


※ 선수에 대한 과도한 비방 욕설은 통보없이 삭제되며 이용 제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