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진 감독이 진정한 프로가 되기 위한 5가지 조언을 남겼다.

19일 서울 반포동에 위치한 반포원 하모니홀에서 진행되는 2016 LoL 프로 플레이어 서밋(이하 플레이어 서밋)의 마지막 강연자로 OK 저축은행 김세진 감독이 진정한 프로 자세에 대해 강연했다.

김세진 감독은 프로 배구 선수부터 감독님까지 선 경험자로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먼저 '시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설명했다. 김세진 감독이 처음 운동을 시작할 무렵 '운동하면 깡패 된다', '운동하는 애가 뭘 알아?'라는 등의 안 좋은 시각들이 많았지만, 남들의 시선에 흔들리면 안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변에 안 좋은 시선이 많아도 프로의 책임감을 갖고 임해야 한다고 했다.

다음으로 '유혹'에 대한 강연을 했다. 사람이 살면서 지켜야할 도리가 있다. 승부조작처럼 도리를 지키지 않는 행동으로 자신 뿐만 아니라 노력하는 e스포츠 전체가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연봉 협상과 평가도 유혹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나친 연봉 경쟁에 따른 유혹 역시 위험하며 절대 평가적으로 자신의 역할에만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 프로의 미래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키가 늦게 자랐던 김세진 감독은 반대에도 프로 배구 선수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태극마크를 달고 경기하는 '막연한 기대'를 품었지만, 끝까지 버티겠다는 신념으로 지금까지 왔다. 그리고 내가 이 판을 바꿔보겠다는 마음가짐을 갖으면 어느 순간 기회가 찾아온다고 말했다.


또한, 선수의 의무에 대한 주제로 프로게이머들과 소통했다. 지금의 의무는 최선을 다하고 시간을 아껴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뷰를 할 때에도 기자에게 질문의 의도가 무엇인지, 어떤 점을 어필하고 싶은지에 대해 언급할 만큼 매 순간 주도적으로 임해야 한다.

마지막 주제로 환경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리그의 문제점에 대해, 사회적 통념과 관련된 환경 탓이 아닌 스스로 중심을 갖고 있어야 한다. 해외로 나간 프로 선수들 중 목적을 갖고 나간 선수들은 성공한 반면, 현실의 환경을 탓하다가 해외로 도피한 프로는 어딜가서도 실패하고 만다고 말했다. 남들이 피시방가서 게임이나 한다고 무시하는 사회적 통념이 있지만, 실제로는 한국이 게임하기에 가장 좋은 시설과 환경이 조성돼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프로게이머의 은퇴 후 진로에 관해서도 '캡틴잭' 강형우의 질문에 답변을 남겼다. 김세진 감독은 이름 값이 뛰어나 쉽게 해설을 시작하게 됐지만, 초반에 적응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여러 아나운서와 해설 위원들을 만나서 나를 각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를 받아보고 그 분들에게 질문을 하고 준비하면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페이커' 이상혁이 김세진 감독의 선수 생활과 고충에 대한 질문을 남겼다. 김세진 감독도 불투명한 미래와 손목 부상을 말했다. 총 8회 수술을 받고 하고 싶은 일을 못하고 지냈던게 너무 힘들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나는 배구계를 대표하는 선수다'라는 마음가짐을 다른 사람의 롤모델과 나를 위해 많이 참았다고 한다. 슬럼프에 빠졌을 때, 김세진 감독은 복잡하고 부정적인 생각을 줄이기 위해 많은 것을 내려놓고 게임도 해봤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런 행동은 하지 말아야지'라는 생각으로 나를 바로 잡았다.

e스포츠의 판을 바꿀 사람으로서 이미지 메이킹을 잘하고 진정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e스포츠 분야가 더 발전하고 기회가 많을 것이라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은퇴시기가 빠르니 누구보다 집중해서 시간을 아껴쓰라는 조언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