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롤챔스 결승전은 SKT T1의 독무대였다. 정규 시즌에서 다른 팀에게 1위 자리를 내줘도 '어차피 우승은 SKT T1'이라는 말이 2016년 스프링까지 약 1년 넘게 이어질 정도였다. 그리고 SKT T1 우승의 중심에서 항상 '페이커' 이상혁이 빛났다. 결승전에서 최고의 플레이로 세계 LoL 팬들의 관심과 찬사를 한 몸에 받았기 때문이다.

'페이커'라는 이름이 점점 더 빛나는 만큼 그를 상대하는 다른 미드 라이너의 평가는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 우승 타이틀을 가져보지 못했고, 이상혁의 그림 같은 킬 장면의 제물이 된 적도 있었다. 2015 롤드컵을 대표할 만한 챔피언인 이상혁의 라이즈에 '쿠로' 이서행의 카사딘이 솔로킬을 당하는 장면이 당시 엄청난 화제가 됐다. 2016 롤챔스 스프링 결승전에서 이서행은 리산드라로 과감히 플레이했지만, 한 끝 차이로 킬을 내주며 아쉬운 상황이 이어졌다. '플라이' 송용준은 자신의 분신과 같았던 아우렐리온 솔을 선택했지만, 이상혁의 아지르에게 한 합 차이로 킬을 내주는 실수가 반복되자 질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결승전에 '페이커'는 없다. 존재만으로도 미드 라이너에게 부담을 주는 이상혁이 없기에 이제 자신의 기량을 큰 무대에서 마음 껏 펼칠 기회가 온 것이다. 이번 롤챔스 정규 시즌에서 이서행과 송용준 모두 패배했지만, 결승전 만큼은 확실히 다르다. 특히, 송용준은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이상혁을 상대로 지능적인 플레이로 대역전승을 거둔 만큼 미드 라이너 대결 구도에서 자신감이 생긴 상황일 것이다. 이상혁의 카시오페아 궁극기를 피하고 노련한 정글러 '스코어' 고동빈과 함께 멋진 킬을 만들어냈다.

'쿠로' 이서행은 결승에서 이상혁에게 패배하며 실력에 비해 평가가 안 좋았다. 그렇지만 SKT T1이 아닌 다른 팀과 대결할 때 항상 최고의 기량을 발휘해온 만큼 이번 결승전에 거는 기대가 크다. 안정적으로 라인전을 이끌어가고 교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냈다. 빅토르와 바루스로 폭발적인 화력을 자랑했고, 판테온과 말자하로 변수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카르마로 다른 팀원의 캐리력에 힘을 더 해주는 만큼 다양한 활약을 하고 있다. 현재 14세트 연속 승리를 거둘만큼 기세가 만만치 않은 상태다.

오랫동안 이상혁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던 두 선수에게 필요한 것은 우승 타이틀이다. 한 번이라도 우승을 차지해본다면, 자신의 플레이어 더욱 자신감이 생길 것이기 때문이다. 2016 롤챔스 섬머 시즌의 최강을 가리는 무대. 두 팀의 중심에 있는 이서행과 송용준 중 어떤 선수가 빛날지 지켜보도록 하자.


■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챔피언스 코리아 섬머 포스트 시즌 결승전 일정

락스 타이거즈 vs kt 롤스터 - 잠실 실내체육관 (20일 5시)
-5판 3선승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