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2일(화) 14시부터 시작되는 하이퍼유니버스의 오픈 베타 테스트와 함께 대규모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브루저 타입의 미겐하르트와 홍두깨부터 테크니션 타입의 올가까지 신규 하이퍼 3종이 추가되며, 하이퍼들의 스킨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하이퍼와 장비의 대규모 밸런스 변경도 진행된다. 리타와 카인, 커즈아이 등 타 하이퍼에 비해 성능이 다소 높았다고 여겨졌던 하이퍼들의 성능이 조금씩 하향되며, 브루저 타입의 경우 전체적으로 공격력 효율이 감소한다. 또한 초고압 충격기와 수급 수집가 등 고효율로 취급받던 6종의 장비 아이템의 성능이 하향된다.

이외에도 많은 부분에서 변경이 이루어진다. 당분간 드래곤의 둥지 전장이 비활성화되어 제 3 점령기지만 플레이할 수 있게 되며, 매칭 퀄리티와 조작 반응성도 개선된다. 또한 12월 1일까지 하이퍼 로테이션이 하루 단위로 변경되어 8종의 하이퍼와 전용 장비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OBT와 함께 하이퍼들의 스킨 구매가 가능해진다


신규 하이퍼 중 하나인 미겐하르트는 뱀파이어의 능력을 지닌 브루저 타입의 하이퍼다. 방어 능력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우수한 생명력 흡수 능력과 다양한 스킬을 필두로 높은 생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낮은 대미지는 빠른 스킬 사용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패시브 능력으로 마나 대신 전용 자원인 진혈을 사용하며, 스킬 5번을 사용할 때마다 다음에 사용하는 스킬을 강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강화된 스킬은 단순 대미지 증가뿐 아니라 범위가 늘어나거나 아예 성향이 바뀌기도 한다.

궁극 스킬을 사용하면 15초 동안 미겐하르트를 따라서 이동하는 피의 영역을 펼치며, 해당 영역 내의 적에게 지속 대미지를 입히게 된다. 또한 미겐하르트는 모든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하고,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대미지에 비례하여 생명력을 흡수하게 된다.

▲ 미겐하르트는 우수한 생명력 흡수 능력을 필두로 높은 생존 능력을 발휘한다


홍두깨 역시 미겐하르트와 마찬가지로 브루저 타입의 하이퍼다. 우수한 군중 제어 스킬을 지니고 있으며, 이동 성능도 상당히 뛰어난 편이다. 반면 자체적인 공격 성능은 낮다.

홍두깨는 적 하이퍼가 사망할 때 골드를 더 많이 습득하는 능력을 지닌다. 본인이 직접 처치했거나 도움을 기록했다면 효율이 두 배로 증가한다.

적을 넘어뜨리거나 뒤로 밀어내는 스킬을 보유하고 있어, 제압 능력이 상당히 우수한 편이다. 특히 궁극 스킬을 사용할 경우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호리병에 적 하이퍼를 4초 동안 봉인할 수 있다. 이후 다른 곳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원할 때 적 하이퍼를 호리병 밖으로 꺼내면서 1.5초 동안 넘어뜨린다. 호리병에 적을 봉인한 상태에서는 이동속도가 감소하긴 하지만 점프대나 투명발판을 이용해 아군 방어탑으로 유인하는 등의 플레이가 가능하다.

▲ 홍두깨는 강력한 제압 스킬과 이동 성능을 지녔다


올가는 테크니션 타입의 하이퍼로 바주카나 미사일 등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여 전투를 벌이게 된다. 사거리가 매우 길고 넓은 공격 범위를 지니고 있어, 적을 견제하거나 다수의 적과 전투를 벌일 때 그 진가가 드러난다.

패시브 스킬로 인해 2분에 한 번씩 전용 물자를 지원받을 수 있다. 전용 물자는 다른 소비 아이템과 마찬가지로 근처에 가서 획득할 수 있으며, 다른 아군이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용 물자에서는 공격력 10이나 이동속도 20 영구 증가 혹은 500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전용 장비를 사용할 경우 재사용 대기 시간을 1분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나, 전용 장비 외에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하지 않는다.

궁극 스킬은 전방의 방대한 범위에 지속적인 피해를 주는 전투 헬기를 소환하는 것이다. 전투 헬기를 소환하고 난 후에는 독자적인 행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섬광탄을 던져 적을 기절시키거나 다른 공격을 통해 적에게 대미지를 입히는 것이 가능하다.

▲ 장거리 견제와 범위 공격이 특기인 테크니션 하이퍼, 올가


기존 하이퍼들의 밸런스가 변경됐다. 리타와 손오공, 아르슬랑, 제니퍼, 제트, 카인, 커즈아이, 쿠레나이, 크레이그, 투스와 톱스는 다소 하향되었으며, 이외 모든 브루저 타입의 공격력 장비 효율이 감소했다. 반면 엘렌디스는 다소 상향된 모습을 보였다.

리타의 경우 기본공격 공격력 계수가 1.5에서 1.4로 줄어들었다. 이는 기본 공격으로 취급받는 엑스트라 파이어와 슬라이딩 부스터 샷 스킬도 모두 적용된다. 이외에도 슬라이딩의 재사용 시간이 9초로, 홀츠만 쉴드의 재사용 시간은 15초로 증가하였으며, 광학 미채의 재사용 시간도 60초로 증가했다.

손오공의 공격력, 방어력이 250 이상일 때 증가하던 고정 피해와 피해 감소 효과가 30에서 25로 하향됐다. 아르슬랑은 궁극 스킬, 서슬 퍼런 맹습의 대미지가 20% 하향됐다. 제니퍼의 하이퍼 스톰핑은 추가 고정 피해에서 추가 피해로 변경되었으며, 하이퍼 메가톤 펀치는 적을 밀어내는 동안 적을 기절시키는 효과가 사라지고 날아간 대상과 충돌한 적이 떠오르는 시간이 1.2초로 감소했다.

▲ 대부분의 스킬이 기본공격으로 취급되던 리타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카인의 기본공격 공격력 계수가 1에서 0.9로 줄어들고, 영혼석 지속 시간이 60초에서 15초로, 불사의 계약의 지속 시간이 4초에서 3초로 줄어들었다. 커즈아이는 기괴 광선과 석화 광선의 사거리가 200씩 줄어들었으며, 석화의 지속시간은 1,8초로, 공포의 지속시간은 1.2초로 변경됐다.

제트의 스파이럴 너클의 사거리가 1,000으로 감소했다. 쿠레나이의 점프공격은 피해량은 동일하지만 1회 타격으로 변경되었으며, 투스와 톱스의 점프공격은 패시브 효과를 받지 못하게 됐다. 크레이그의 기본공격 공격력 계수는 1.5에서 1.4로 감소했다.

반면 엘렌디스의 스위치 에너지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1초로 크게 감소했으며, 포켓 게이트를 적이 파괴할 시 100골드를 얻는 것에서 10골드를 얻는 것으로 페널티가 크게 완화됐다. 또한 궁극 스킬인 힐링 오퍼레이션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00초로 감소했고 효과가 발동되는 시간이 단축됐다.

▲ 많은 하이퍼가 하향을 당한 가운데 엘렌디스는 스킬 효율이 증가했다


장비 밸런스도 변경됐다. 특히 기본공격을 주로 사용하던 하이퍼에게 각광받던 장비들의 하향이 눈에 띈다. 밸런스 변경이 이루어지는 장비는 공용 장비인 초고압 충격기와 화룡의 숨결, 처형인의 대도, 수급 수집가, 플라즈마 절단기와 커즈아이 전용 장비인 혼돈의 증표다.

초고압 충격기의 충격 발생 효과에 1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생겼으며, 범위와 대미지, 이동속도 페널티가 모두 하향됐다. 수급 수집가는 기존 8% 추가 피해에서 7% 추가 피해로 변경됐다. 화룡의 숨결의 추가 피해 효과가 125%에서 120%로 변경됐으며 재사용 대기시간 역시 3초로 증가했다.

처형인의 대도는 5초 동안 3% 추가 피해, 재적용 대기시간 5초에서 3초 동안 4% 추가 피해, 재적용 대기시간 3초로 변경됐다. 옵션 자체의 총 피해는 하향이라 볼 수 있지만, 더 자주 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격이 잦은 하이퍼에게는 상향이라고 볼 수 있다. 플라즈마 절단기는 추가 피해의 대미지가 감소했으며, 혼돈의 증표는 공포 지속 시간이 0.5초 증가하는 것에서 0.3초 증가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 많은 사랑을 받았던 초고압 충격기가 상당한 너프를 당했다


이외에도 전장 밸런스나 시스템적인 변경도 눈에 띈다. 매칭 퀄리티의 경우 우선 본인에 실력에 맞는 상대를 찾은 후 상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매칭 범위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실력이 맞는 상대가 없어 매칭이 오래 걸렸던 플레이어의 매칭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상대 대전을 2회 이상 플레이한 이후에 일반 대전에 참여할 수 있게 변경되었으며, 조작 반응성이 개선되어 키 입력 시 반응속도가 더 빨라졌다.

Pre-OBT까지 사용할 수 있었던 전장 중 하나인 드래곤의 둥지가 비활성화된다. 아예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추후 다시 등장할 예정이다. 이외 제 3 점령기지의 초기 지급 골드가 1,000골드에서 1,500골드로 변경되었으며, 침략자 Mark-II 에게 받는 피해가 20% 감소됐다.

이외에도 일주일 단위인 하이퍼 로테이션이 OBT를 기념하여 12월 1일(목)까지 1일 주기로 변경된다. 금일 변경점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OBT 이후 당분간은 드래곤은 만날 수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