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은 이제 한국과 중국의 4강전과 대망의 결승전만을 앞두고 있다. 'Gap is closing'이라는 말이 와닿을 정도로 해외 팀들의 기량이 크게 오르면서, 이번 롤드컵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혼전양상을 거듭하고 있다. 3회 연속 우승에 도전하고 있는 디펜딩 챔피언 SKT T1도 순탄하지 않은 과정을 거치며 살아남았다.

SKT T1이 4강까지 올라가는 과정에서 '페이커' 이상혁과 함께 팀의 승리를 견인한 선수가 있다. 그는 세계 최초로 유럽과 한국에서 로열로더를 달성한 SKT T1의 탑솔러 '후니' 허승훈이다. 그는 현재 눈부신 활약을 펼치며 세계 최고의 탑솔러가 본인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중이다.

사실 롤드컵이 시작되기 전만 해도 허승훈을 SKT T1의 불안 요소 중 하나로 꼽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그는 모든 경기에서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며 걱정의 시선을 불식시켰다. 그의 활약을 기반으로 어려운 경기를 역전한 경우도 많았다.

허승훈은 LCK 서머 시즌 동안 기량이 떨어졌다는 평가를 들으며 출전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다. 실제로 LCK 서머 정규 시즌에서도 '운타라' 박의진이 허승훈 보다 더 많은 경기를 출전했다. 그래서 허승훈과 박의진의 롤드컵 출전을 놓고 팬들의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다.

두 선수 모두 장점이 뚜렷하기에 코치진의 고민도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운타라' 박의진은 안정감이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허승훈은 기복이 있는 편이지만, 공격적인 플레이를 잘하며 큰 무대 경험이 많다. 큰 무대 경험이 많다는 것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장점이다. 결과적으로 허승훈이 롤드컵에 오게 됐고, 그는 현재 더할 나위 없이 잘하고 있다.


◈ 스플릿의 제왕 '후니'


이번 롤드컵에서 허승훈이 스플릿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 가장 많이 꺼낸 카드는 제이스다. 현재 네 번 꺼내서 3승 1패를 기록하고 있다. 제이스는 라인전과 스플릿 푸쉬가 매우 강력한 챔피언이지만, 말리면 답이 없는 챔피언 중 하나다. 자칫 잘못하면 실패한 도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신감과 실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쉽게 꺼낼 수 있는 카드가 아니다.

허승훈은 딜러 챔피언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명했지만, LCK 정규 시즌에서 제이스를 자주 사용하지 않았다. LCK에서 단 한 번 제이스를 사용했을 뿐이며 그 경기에서 패했다. LCK 서머 결승전에서 '칸' 김동하의 제이스에게 패한 것이 영감이 됐을까? 가장 중요한 롤드컵 무대에서 허승훈은 제이스를 꺼내 들었다. 그의 제이스 숙련도는 놀라울 정도로 완벽했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그룹 스테이지 8일 차 SKT T1과 C9의 대결에서 허승훈은 제이스로 스플릿의 극한을 보여줬다. 경기 초중반까지 SKT T1이 근소하게 앞서갔지만, C9이 '블랭크'의 자르반 4세를 끊고 바론을 처치하며 전황이 뒤집힐 위기에 처하게 됐다. '임팩트'의 마오카이를 상대로 스플릿 주도권을 꽉 잡고 있었던 허승훈은 그대로 봇 라인으로 진격해서 바텀 억제기와 쌍둥이 타워를 파괴했다. 바론을 뺏긴 입장에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성과를 허승훈이 만든 것이다.

허승훈은 홀로 떨어진 마오카이를 잡으며 C9의 마음을 급하게 만들었다. 이어서 장로 드래곤을 두고 대치전이 일어났고, C9은 마오카이를 불러서 한타를 노렸다. 마오카이가 빠진 것을 알아챈 허승훈은 상대 본진으로 순간이동을 사용해서 그대로 넥서스를 파괴했다. 허승훈의 영리한 플레이가 만든 승리였다.


8강 미스핏츠 전에서도 허승훈의 활약이 빛났다. 강력한 라인전부터 시작해서 후반에 적극적으로 스플릿 푸쉬를 하며 상대를 집요하게 괴롭혔다. 초가스를 상대로 꺼낸 트런들의 활약도 인상적이었다. 스플릿 푸쉬는 물론이고 중요한 교전 때마다 절묘한 위치에 기둥을 세우며 상대를 당황하게 했다.


◈ KDA가 모든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


탑솔러는 비교적 데스가 많이 생기는 포지션이다. 탱커를 할 경우 가장 먼저 앞 라인에서 죽을 수 있고, 스플릿 푸쉬를 하다가 언제든지 잘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팀의 탑솔러와 비교하더라도 허승훈의 KDA는 낮은 편에 속한다. 그가 8강 다섯 개의 세트를 치르며 기록한 평균 KDA는 3.0이다. 세 개의 세트에서 9.0을 기록한 '큐베' 이성진, 다섯 개의 세트에서 4.6을 기록한 RNG의 '렛미' 보다 훨씬 낮다. 그룹 스테이지에서 기록한 평균 KDA도 2.7로 중하위권이다.

하지만, 허승훈은 단순히 KDA로 설명할 수 없는 선수다. 운영, 시야 장악, 심리전 등은 KDA로 확인할 수 없으니까. 그는 죽더라도 팀적으로 이득을 주는 플레이를 한다. 스플릿 푸쉬 과정에서 끊기는 경우가 나오더라도 팀이 그 시간 동안 이득을 챙길 수 있게끔 시간을 벌어준다.

미스핏츠와의 5세트에서도 그는 제이스를 꺼내서 우직하게 스플릿 푸쉬를 했다. 이 과정에서 '파워오브이블'의 신드라에게 걸려서 세 번이나 죽게 됐다. 하지만, 제이스의 집요한 압박 플레이 덕분에 미스핏츠는 주도권을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바론을 칠 수 없었다. 오히려 제이스가 신드라와 쉔을 불러들여서 인원 공백을 만들자 SKT T1이 바론 버스팅을 먼저 시도하기도 했다.


상대가 3 화염용을 가져가며 우위를 점한 상황, 장로 드래곤을 앞에 두고 결정적인 한타가 펼쳐졌다. 허승훈은 순간이동으로 적의 뒤를 잡아서 신드라를 끊어내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슈퍼 플레이 덕분에 SKT T1은 후반으로 끌고 가면 불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모면하며 짜릿한 승리를 거뒀다. 이 경기를 통해서 허승훈을 단순히 지표로 판단할 수 없는 선수라는 것을 모두가 알게 됐다.


◈ RNG '렛미' 상대로 '후니'가 사용할 카드는?


이번에 SKT T1이 상대하게 될 RNG는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특히 '우지'의 폼이 절정에 달했기 때문에, 지금의 메타에서 RNG가 우승을 차지해도 이변이라고 볼 수 없다. '우지' 뿐만 아니라 다른 선수들도 기량과 자신감이 올랐기 때문에 승부를 쉽게 점칠 수 없다.

이번에 허승훈이 탑에서 만나게 될 상대는 '렛미'다. '렛미'는 허승훈과 마찬가지로 공격적은 플레이를 잘 하는 선수였다. 하지만, 롤드컵을 꿰뚫고 있는 향로 메타의 영향으로 '렛미'는 공격적인 성향을 버렸다. RNG의 노골적인 '우지 키우기' 조합에 맞춰서 '렛미'도 쉔, 초가스, 마오카이 같은 탱커 챔피언 위주로 선택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롤드컵에서 '렛미'는 10경기 중 럼블 1회를 제외하고 모두 탱커 챔피언을 사용했다.

RNG는 SKT T1을 상대로 이번에도 '우지 키우기' 조합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SKT T1은 밴픽 단계부터 RNG의 설계를 무너뜨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허승훈에게 공격적인 카드를 쥐어 주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허승훈은 탱커를 상대로 탱커로 받아치는 것보다 공격적인 챔피언으로 주도적인 플레이 할 때 더 빛나는 선수다.

허승훈은 제이스가 열린다면 제이스를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제이스가 밴이 된 상황이다. LCK에서는 공격적인 카드로 피오라, 잭스, 카밀, 럼블 등을 사용했다. 하지만, 럼블은 향로 메타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힘이 급격하게 빠지는 챔피언이다. 피오라는 제이스보다 더 극단적이기 때문에 쉽게 선택할 것 같지 않다. 오히려 상황에 따라서 하드 탱커를 저격하기 위한 나서스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그가 어떤 카드를 꺼낼지 지켜보는 것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사진 출처 : 라이엇 공식 플리커
영상 출처 : OGN 공식 유튜브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