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롤드컵에서 무적일 것만 같았던 세계 챔피언들이 그룹 스테이지에서 하나둘 꺾였다. 그것도 처음으로 롤드컵에 진출한 LCK 팀들에게 말이다. 특히, 올 시즌 처음으로 LCK에 올라온 담원 게이밍이 롤드컵 디펜딩 챔피언인 IG를 상대로 2:0이라는 압도적인 스코어로 승리했다는 것만으로도 색다른 느낌이다. 비록, 8강에서 그리핀이 IG의 벽을 넘지 못했지만, 또다른 LCK 팀인 담원이 8강에서 2019 MSI의 챔피언인 G2를 만나게 됐다. 담원 입장에서 G2전마저 승리한다면, 세계 대회 챔피언 킬러로 거듭나면서 더 높은 곳을 바라볼 자신감을 얻게 될 것이다.

그리고 첫 롤드컵에서 담원이 놀라운 성적을 낼 수 있는 비결로 '쇼메이커' 허수를 빼놓을 수 없다. 2019 시즌 초반 LCK 경기처럼 긴장하던 모습은 찾을 수 없었고, 어느새 안정감과 캐리력을 모두 갖춘 세계 대회에 어울리는 선수로 성장해 있었다. '쇼메이커'의 진가는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나타났다. 그룹 스테이지까지 어떤 경기에서도 먼저 흔들리는 법이 없었다. 나아가, 많은 담원의 경기에서 MVP를 휩쓸 정도로 인상적인 활약까지 선보였다. 말 그대로 담원의 중심이었다.

특히, '쇼메이커'는 중요한 경기에서 가장 빛났다. 그룹 스테이지 D조의 순위를 결정짓는 IG와 마지막 경기였다. IG가 승리한다면 1위 결정전까지 갈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담원과 '쇼메이커'는 이를 용납하지 않았다. 초반 상황은 분명 IG에게 웃어주는 분위기였다. 탑에서 초반 설계로 '너구리' 장하권을 말리면서 시작해 '더샤이' 강승록의 제이스가 급격히 성장하는 그림이 나왔다.

그런데 미드에서 이전 경기와 다른 양상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다. IG '루키' 송의진은 미드 오리아나로 라인에 서 있지 못하게 할 정도의 강한 압박 플레이를 선보이곤 했다. 하지만 '쇼메이커'를 상대로 이전과 같은 압박이 통하지 않으면서 발이 풀릴 수 있었다. 이는 곧 아래 영상과 같은 탑 다이브를 받아치는 그림으로 이어지게 된다. IG의 '더샤이-루키'가 정글러 '닝' 렉사이의 다이브에 호응할지 망설이는 찰나에 파고든 '쇼메이커'가 순식간에 트리플 킬로 상황을 정리한 것이다.


그 결과로 2데스로 시작한 '너구리' 장하권의 숨통이 트일 수 있었다. 2킬로 시작해 막강해진 '더샤이'의 제이스가 한 번 끊기자 '너구리'가 제이스를 대적할 만한 힘을 키울 시간을 벌었다. 게임 중반 이후로 제이스가 강하게 사이드 라인을 압박하는 그림이 나왔지만 그 위력이 꺾인 상태였다. 봇 포탑 다이브 상황에서 '너구리'가 제이스를 데려가면서 본대 싸움으로 승부가 결정됐다. '쇼메이커'의 슈퍼플레이가 다른 라인까지 영향을 주면서 게임을 풀어가는데 큰 역할을 해낸 것이다.

이렇게 IG를 넘은 '쇼메이커'의 다음 상대는 G2와 '캡스'다. '캡스' 역시 지난 롤드컵 준우승에 올해 MSI 우승이라는 커리어를 자랑하는 미드 라이너다. 팀에서 '얀코스'와 함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하지만 이미 롤드컵 디펜딩 챔피언을 넘어본 '쇼메이커'에게 상대의 명성은 과거에 불과하다. 교전 중심의 IG를 상대로 정면 승부를 펼쳐 승리했기에 교전을 좋아하는 G2전 역시 자신감이 붙었을 법하다.

어느덧 '쇼메이커'는 세계 챔피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위치에 섰다. 8강에서 G2마저 넘어선다면, 올해 첫 LCK와 롤드컵에 진출한 이 선수의 성장세는 더 가파르게 오를 것이다. 롤드컵이라는 가장 큰 무대에서 자신의 진가를 보여줄 수 있는 '쇼메이커'로 말이다. 이전 챔피언을 연이어 끌어내리는 그만의 '쇼'를 기대해본다.



2019 LoL 월드 챔피언십 8강 2일 차 일정

3경기 SKT T1 VS 스플라이스 - 27일 오후 8시 (5전 3선승제)
4경기 담원게이밍 VS G2 e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