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은 룰이 어려운 게임이다. 몬스터의 긴 텍스트, 복잡한 룰로 인해 '비문학 게임'이라는 말이 붙을 정도이니 말 다했다. 게임에 익숙해진 유저들도 놓치는 부분이 많은데, 마스터 듀얼로 유희왕에 입문한 유저들은 높은 입문 장벽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래서 룰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스터 듀얼 환경에서 나오는 상황을 토대로 초보자들이 자주 하는 실수 1탄'을 준비했다.


▲ 유희왕은 비문학게임이 맞다




■ 이 실수만 안하면 당신도 듀얼 마스터

◎ 무한포영의 제2 효과

무한포영은 범용 함정으로 많은 유저들이 사용하고 있다.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심플한 함정 카드이지만 패에서 발동할 수 있는 '패 트랩'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필드에서 사용하면 발동하는 무한포영의 두 번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실수하는 상황이 자주 나온다.

무한포영

자신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발동은 패에서도 할 수 있다.
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세트되어 있던 이 카드를 발동했을 경우, 추가로 이 턴에,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인 다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주목해야 할 효과는 '세트되어 있던 이 카드를 발동했을 경우, 추가로 이 턴에,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인 다른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이 부분이다.

무한포영과 같은 세로열에 있던 마법, 함정을 부주의하게 사용하면 무효화되어 손해를 볼 수 있으므로 두 번째 효과를 잊지 말도록 하자. 또한 이 효과는 모든 세로열에 적용되기 때문에 자신의 마함, 함정도 무효화될 수 있다. 사용하는 쪽도 조심해서 사용하자.


▲ 무한포영의 두 번째 효과 잊지 말자



◎ 마법/함정 카드를 파괴했는데, 왜 효과가 발동하나요?

일반, 속공 마법, 일반 함정의 발동을 싸이크론 등의 카드로 체인을 걸어 파괴했는데 해당 카드의 효과가 정상적으로 발동해 어리둥절하는 유저들이 있다. 이 실수는 주로 어릴 때 유희왕을 하던 유저들에게서 많이 보이는데, 대부분의 동네 유희왕 룰에서는 파괴와 효과 무효화가 동일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식 유희왕 룰은 파괴했다고 해당 카드의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다. 이미 발동한 효과는 특별한 재정이 있지 않으면 패, 묘지 등으로 돌아가도 정상적으로 발동된다.


▲ 동네 룰에선 최강의 카드다



◎ 자주 하는 증식의 G 실수

증식의 G는 상대의 특수 소환 1회 당 1장을 드로우할 수 있는 패 트랩이다. 보통은 소환 효과에 체인을 걸어 사용해 드로우를 하거나, 상대의 행동 전에 사용해 압박을 거는 용도로 사용된다.

많이 하는 실수는 상대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체인을 걸어 사용하는 경우다. 특수 소환에 체인으로 증식의 G를 사용해도 드로우를 하지 못한다. '특수 소환 전'에 사용해야 드로우가 가능하니 잊지 말자. 물론, 늦게 사용해도 상대의 전개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 하지만 미리 사용해 손해를 보는 상황을 줄이는 것이 승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증식의 G는 상대방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 대미지 스텝에 사용 불가능한 효과

대미지 스텝에선 하루 우라라 등 효과를 무효화하는 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이점을 이용해 대미지 스텝에서 사용 가능 한 효과는 대미지 스텝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대미지 스텝에 효과 무효화 계열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대표적 예로 썬더 드래곤이 있다. 뇌겁룡의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자신 묘지에서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번개족 몬스터 1장을 패로 넣는 효과는 대미지 스텝에서 이뤄진다. 때문에 이 단계에선 하루 우라라를 사용할 수 없다.

뇌전룡 - 썬더 드래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뇌전룡-썬더 드래곤"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또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뇌전룡-썬더 드래곤" 이외의 "썬더 드래곤"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뇌겁룡 - 썬더 드래곤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에서 빛 속성과 어둠 속성 몬스터를 1장씩 제외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1턴에 1번, 몬스터의 효과가 패에서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 올린다.
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자신 묘지에서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번개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상대 엔드 페이즈에,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의 맨 위 또는 맨 아래로 되돌린다.


▲ 대미지 스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사용해 우라라를 케어하자



◎ 무덤의 지명자는 다음 내 턴까지 효과가 유지

무덤의 지명자

①: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다음 턴의 종료 시까지,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 및 그 몬스터와 원래의 카드명이 같은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무덤의 지명자는 패 트랩을 케어할 수 있는 카드로 많은 유저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 '다음 턴의 종료시까지'라는 텍스트를 잊고 다음 턴에 같은 카드를 발동해 무효화 당하는 일이 많다. 잊지 말고 무명의 지명자로 제외한 카드가 자신의 패에 있다면 다음 턴 종료까지 사용하지 말도록 하자.


▲ '다음 턴 종료 시' 기억하자



◎ 링크 몬스터 룰

선공일 경우 첫 링크 몬스터는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소환해야 한다. 후공일 때는 만약 상대방이 링크 몬스터를 소환한 상태라면 해당 몬스터의 링커 마크 방향에도 소환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링크 몬스터부터는 링크 몬스터의 링커 방향에만 링크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다. 여기서 많은 유저들이 실수하는데, 링커 방향에 다른 종류의 몬스터를 소환해 링크 소환이 막히거나 링크 소재를 정할 때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다. 링크 몬스터 전개를 할 때는 링커 방향은 비우도록 하자.


▲ 링커 방향에는 꼭! 다음 링크 몬스터의 소재만 소환하자



◎ 어니스트 계열 실수

어니스트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②: 자신의 빛 속성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부터 데미지 계산 전까지,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마스터 룰 3' 이전의 어니스트는 대미지 스텝 시에도 사용할 수 있었다. 때문에 체인을 걸지 않으면 대응이 불가능했다. 그런데 어니스트의 발동에 어니스트로 체인을 걸면 나중 카드 부터 처리하는 체인 시스템 상 먼저 사용한 쪽이 공격력이 높아져 전투에서 이기게 된다. 때문에 우선권을 가진 공격 선언 한 플레이어가 절대적으로 유리했다.

하지만 '마스터 룰 4' 이후 이런 대미지 증감 카드들도 대미지 스텝 전까지만 사용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즉 상대가 어니스트를 사용해 공격력이 증가한 후 체인을 걸어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반드시 효과 처리 이후에 어니스트를 사용하자.


▲ 대미지 스텝 시 어니스트 발동할게요, 체인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