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네트워크가 금일(8일), 온라인을 통해 'BORA 2.0 파트너스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보라네트워크의 암호화폐인 'BORA 2.0' 리뉴얼과 사업 로드맵을 파트너사, 관계자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라 네트워크는 리뉴얼된 블록체인 프로젝트 'BORA 2.0'의 로드맵을 공개하며 앞으로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보라네트워크는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사로서 게임,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외 거버넌스 카운슬과의 협력을 통해 'BORA 2.0' 생태계 환경을 확장시켜나간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카카오게임즈 조계현 대표이사는 카카오게임즈의 인사이트와 네트워크를 보라 생태계에 접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는 인사말을 전한 후, BORA 프로젝트의 개발과 지원을 수행해 온 자회사 프렌즈게임즈의 사명을 '메타보라'로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블록체인이 메타버스와 웹3.0 개발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타보라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분야 전반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여나갈 계획이다.

▲ '프렌즈게임즈'는 '메타보라'라는 새 이름으로 블록체인 기반 게임에 집중할 계획

다음 순서로 넵튠의 정욱 CEO와 보라네트워크 임영준 CBO, 이이구 CTO가 차례로 무대에 올라 '보라 2.0'의 로드맵을 소개했다. 정욱 CEO는, '게임에서 얻은 아이템을 활용해 좋아하는 가수의 팬클럽 멤버십 NFT를 얻어서 팬미팅에 참석하거나, 좋아하는 e스포츠 선수의 한정판 NFT를 구매해 추가 NFT에어드랍을 포함한 혜택을 받는 등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가 BORA 2.0 생태계에서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새롭게 개편되는 '보라 2.0'의 생태계에는 게임과 커뮤니티, DAO를 시작으로, 자산 관리, 엔터테인먼트, Dapp, e스포츠, 인플루언서 등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가 더해질 예정이다. 물론 보라가 단독으로 준비하는 것이 아닌, 함께 그림을 그려나갈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함께 새로운 에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 넵튠 정욱 CEO

보라 2.0 생태계의 첫 번째 변화는 '새로운 거버넌스'다. 기존의 보라는 자체적으로 컨트롤되는 프라이빗 컨트롤 형태를 띄고 있다보니 여러 면에서 제약이 많았다, 새로운 보라는 기존의 구조에서 탈피, 거버넌스 컨트롤 형태로 보다 열린 생태계를 갖추게 된다.

두 번째는 새로운 토큰 경제다. 기존에는 고정 교환비를 지닌 쉘 형태의 토큰 경제를 사용했지만, 이는 다양한 개별 요구 사항을 수용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새로운 보라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각 고유의 토큰 이코노미 구현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 형태의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를 위해선 토큰 이코노미가 동적인 형태로 변화해야 하며, 보라 2.0은 인플레이션 및 감소율 로직을 적용, 시스템적인 소각 로직을 도입을 통해 생태계 성장 속도에 연동하는 토큰 다이내믹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세 번째 변화는 퍼블릭 블록체인과의 연계 강화다. 기존의 보라는 생태계가 닫혀있고 확장성이 낮다는 약점이 있었으므로, 보라 2.0은 클레이튼 메인넷과의 브릿지 개발을 통해 상호 운용성을 키울 계획이다. 임영준 CBO는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계획을 3월 중에 모두 공개할 것이며, 향후 플랫폼 발전 방향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보라 2.0'을 함께할 파트너십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다. 보라 2.0은 '온보딩, 에코시스템, 에코펀드, 커뮤니티, 거버넌스 카운실'까지 총 다섯 가지 영역에서 파트너십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온보딩 파트너에는 보라의 토큰 이코노미를 본격적으로 적용할 게임 타이틀이 포함됐다. 보라네트워크는 콘텐츠 온보딩 파트너사들과 함께 토큰 이코노미를 접목한 게임 타이틀을 연내 10여종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라 2.0은 2022년 2분기에 캐주얼 골프 게임을 시작으로 수집 교배 전략 RPG, 캐주얼 퍼즐, 스포츠 PVP 게임들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후 2022년 3분기에 가상 NFT 랜드 기반 게임, IP 기반 NFT + MMORPG, 소셜 카지노 게임에 적용된 후, 4분기에는 스포츠 시뮬레이션, IP 기반 리듬 액션 게임까지 범위를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보라 2.0의 거버넌스 카운실 파트너 명단도 공개됐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샌드박스네트워크와 콜랩 아시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레전더리즈까지 네개 기업이 언급됐다.

게임 스튜디오에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넵튠, 엑스엘게임즈, 네오위즈, 모비릭스, 위메이드, 해긴, 카카오게임즈, 그리고 메타보라로 사명을 변경하게 된 프렌즈게임즈가 포함됐다.

마지막으로 크립토 인프라 분야에는 버크오설리, 하이퍼리즘, 크로스랩, 크러스트 유니버스, 카카오엔터프라이즈까지 네 개 기업이 파트너사로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