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적인 벙커링을 통한 흔들기를 통해 정우용이 임재덕을 2:1로 꺽고 24강에 진출했다.

1경기부터 정우용은 매우 공격적인 전진 2병영 빌드를 선보이며 멀티를 가져가는 전략적인 판단을 선보인다. 막히더라도 뒤가 있는 선택을 한 정우용이었으나, 임재덕이 이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하고 앞마당이 파괴되는 큰 피해를 받고 말았다.

이어서 임재덕의 본진 입구를 벙커와 다수 해병으로 봉쇄한 정우용은 본진에 사령부 하나를 더 올리며 격차를 더욱 벌려나가고, 이후 모여있는 해병을 한 번에 공격보내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2경기에서는 임재덕이 벙커링에 의해 1경기를 내줬음에도 불구하고 산란못 없이 제2멀티까지 가져가는 베짱플레이를 선보였다. 정우용 역시 병영 없이 먼저 멀티를 가져가는 선택을 통해 양 선수 모두 부유한 플레이를 시도하며 무난한 초반을 보냈다.

이후에도 테란의 견제를 의식하지 않고 일벌레를 최대한으로 생산하는 베짱을 부리던 임재덕은, 테란의 첫 공격도 맹독충을 동원해 무난히 방어하면서 가장 위험한 시기를 잘 넘겼다. 다수의 맹독충과 저글링을 보유한 임재덕은 테란의 앞마당 돌파를 감행하고, 공성전차와 벙커가 버티고 있던 방어 라인을 뚫어 내면서 테란의 병력 다수를 잡아내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정우용도 불리한 양상속에 의료선 견제를 지속적으로 보내어 제2멀티의 활성화 시간을 버는데 성공하지만, 임재덕의 소규모 싸움에 계속 휘말리면서 전차와 해병을 끊기는 등 지속적으로 손해를 본다. 그래도 분전중이던 정우용은 12시의 저그멀티를 파괴하는데 성공하지만, 이 병력이 맹독충에 의해 전부 궤멸하고, 임재덕의 울트라리스크 체제가 갖춰지면서 승부의 무게추가 기울기 시작한다.

승기를 잡은 임재덕은 울트라리스크의 강력한 방어력을 앞세워 행성요새가 버티던 테란의 3시멀티를 파괴한 후, 무리군주와 감염충을 추가하며 그대로 경기를 종결, 스코어를 원점으로 돌렸다.

3경기에서는 정우용이 2병영을 선보이며 다시 벙커링을 시도했다. 하지만 1경기에서와 달리 임재덕은 안정적으로 벙커링을 막아내는데 성공했으나, 많은 일꾼을 동원하게 되면서 가난한 상황이 되었다. 이후 4병영까지 건설한 정우용은 다수의 해병만으로 다시 진출, 앞마당에서 저글링의 수를 줄이고 바로 본진으로 올라가 여왕과 일꾼 다수를 잡아내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고 승기를 잡았다.

이후 정우용은 마치 작정한듯 병영을 7기까지 늘리고 해병이 모이는대로 계속 공격을 감행, 임재덕의 병력과 계속 교환하면서 여왕과 일벌레를 계속해서 잡아 피해를 누적시켰다. 임재덕은 맹독충을 생산하며 해병에 대응을 해보지만 누적되는 피해를 막을 수 없었고, 뮤탈리스크 견제로 건설로봇을 다수 줄여주는 성과를 거두지만 어려운 경기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임재덕은 중앙지역에서 미처 자리잡지 못한 정우용의 병력에 맹독충과 저글링, 뮤탈리스크로 기습공격을 가해 병력의 상당수를 줄였지만 전멸시킬수는 없었고, 감염충이 추가되어도 멀티에서 농성중인 테란의 병력을 걷어낼 수 없었다. 결국 패배를 선언할 수 밖에 없었고 2:1로 승리를 거둔 정우용이 24강전에 진출했다.

2012 GSL Code A 32강 1일차 저녁조

2경기 CJ-Bbyong 정우용 2 : 1 LG-IM_NesTea 임재덕
1set CJ-Bbyong 정우용 승 : 패 LG-IM_NesTea 임재덕 밸시르 잔재
2set CJ-Bbyong 정우용 패 : 승 LG-IM_NesTea 임재덕 돌개바람
3set CJ-Bbyong 정우용 승 : 패 LG-IM_NesTea 임재덕 묻혀진 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