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홍상표)은 올해를 ‘기능성게임 활성화 원년’으로 선언하고, 올해에만 15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제작지원 ▲홍보·마케팅 지원 ▲관련 연구 등 ‘기능성게임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현재 31억 달러 규모인 세계 기능성게임 시장이 매년 70% 정도의 성장세를 보여 2015년에는 88억 달러에 이르는 등 기능성게임이 모바일만큼이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해 결정한 것이다.

오는 25일까지 접수 신청이 가능한 ‘2013년 기능성게임 제작지원’ 사업은 의료·헬스·힐링·교육·군사·공공·기업 등 사회 각 분야와 연계한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과 이를 통한 기능성게임 창작환경 조성을 위해 자유공모와 지정공모로 이원화해 10여 편을 선정한다.

자유공모는 기업규모와 성격에 따라 ▲일반부문 ▲스타트업 기업부문 ▲기능성보드게임부문으로 나눠 일반부문은 과제당 최대 1.5억 원, 스타트업 기업부문은 과제당 최대 5천만 원, 기능성보드게임부문은 과제당 최대 2천5백만 원까지 지원한다. 이중 스타트업 기업부문은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설립 후 2년 미만으로 총 10인 이하의 개발사만 지원할 수 있다.

지정공모는 ▲건강관리·질병통제 및 예방·보건교육 등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재활분야 ▲교과학습과목을 제외한 교육정보·인식전환·훈련 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분야 ▲정책홍보 및 정보전달·정책인식전환 등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기타분야로 나누어 공모하며 과제당 최대 1.5억 원까지 지원한다.

선정작에 대해서는 하반기에 개최되는 지스타 기간 중 기능성게임 공동관에 전시하고 기능성게임종합포털에도 등재하는 등 각종 홍보 및 마케팅 지원도 이루어질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기능성게임 제작지원 이외에도 5월 ‘대한민국 기능성게임 컨퍼런스’, 하반기에 ‘제2회 대한민국 기능성게임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하는 등 기능성게임 개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