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KL 시즌1 A, B조의 경기가 끝이 났다. 대부분의 경기가 1티어를 제외한 8티어 전차 5대의 소규모 전투가 벌어지는 양상이었다. 그러다보니 대부분의 전차가 클립식 전차 위주로 구성되었고, 전투는 한 발씩의 딜교환 보다는 울프팩 전략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그 중 일부 경기에서는 강력한 공격력이나 기동성, 혹은 전차 크기라는 이유로 독특한 전차가 팀에 구성되는 장면을 볼 수 있었다. 월드 오브 탱크에 등장하는 전차의 종류는 약 287 대. 이 중 어떤 전차들이 실제 대회에서 애용되었지 살펴보는 것도 대회를 감상하는 또 하나의 재미일 것이다.

WTKL 대회에서 어떤 전차들이 많이 등장했는지 정리해보았다.


▣ 대회에서 빈도 높게 사용된 전차.



빠른 장전 속도의 4발 클립 중형 전차 T69. / 픽률 100%


▲ T69

모든 맵에서 100% 픽률을 보이는 미국 8티어 중형 전차. 4발 클립의 우수한 연사력이 그 원인이다. 관통력은 300이란 뛰어난 수치여서 모든 8티어 전차를 손쉽게 관통시킬 수 있다. 이큅과 소모품 사용 시 22초대의 장전 속도를 보이기에 상황 대처 능력도 뛰어나다. 기동력 또한 무난하므로 방어와 공격 모두에 좋은 성능을 보인다.

대회에서는 주로 울프팩을 이용하여 적을 습격. 최소 1기 이상의 전차를 파괴하고 장전 시간동안 엄폐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런 전략을 사용 시 일반전차가 상대하기에는 상당히 불리하다. 대회 경기에서 적이 T69를 픽할 경우 맞상대하기 위해 같은 T69를 선택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가장 최고 티어가 8티어로 지정된 대회 규칙이 바뀌지 않는 이상 꾸준히 T69를 대회에서 보게 될 것이다.



최고 효율의 8티어 전차 픽을 위한 밑거름. 미국 1티어 경전차 T 1. / 픽률 100%


▲ T 1

1티어 전차 중 가장 높은 수치의 최고속도(41km/h) 와 두 번째로 높은 추중비(17.13)를 가지고 있다. 기관총이라 불리는 20mm 주포는 한 클립으로 1티어 전차를 파괴할 수 있기에 일반 무작위 전투에서도 높은 승률을 보인다.

대회에서는 우수한 기동성을 바탕으로 최전선 정찰이나 빈틈 정찰 담당을 도맡는다. 1티어라고 우습게 볼 수 없다. 만약 1티어 전투에서 패배할 경우 본진이 공략당하여 점령패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1티어 전차를 잡기 위해 라인에서 8티어 전차가 빠져버리면 주력 병력 싸움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대회에서 T1의 전투가 8티어 전투 못지않게 중요하다.



높은 도탄율과 강력한 데미지의 소련 중전차 IS - 3. / 픽률 72%


▲ IS - 3

IS - 3의 높은 도탄률과 평균 390의 공격력은 일반 무작위 전투에서도 OP 탱크라는 평을 받게 하는 요소다. IS - 3는 소련의 기동헤비 라인이기에 이동 능력 또한 우수하다. 이런 장점들은 IS - 3를 대회 픽률 2위로 만들었다.

한 발의 공격력은 강력하지만, 연사력이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대회에서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요한 라인을 방어하는 역할로 사용하거나 혹은 기동성을 살린 돌파용 전차로 많이 이용한다. 부각이 좋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지형이 고르지 못한 맵보다는 포장된 도로가 있는 시가지 전에서 높은 픽률을 보인다.



돋보이는 공격 성능을 갖춘 프랑스 중전차 AMX 50 100. / 픽률 57%


▲ AMX 50 100

평균 300 공격력의 6발 클립 탄창은 AMX 50 100을 공격에 특화된 전차로 만들었다. 특히 방어에 특화된 전차와 팀을 이룰 시 그 공격력은 가히 놀라울 정도. 한 클립으로 모든 8티어 전차를 파괴할 수 있기에 전체 4위란 픽률을 보인다. 얇은 장갑과 긴 장전 시간이란 단점이다.

라인을 긋고 대치하는 전략보다는 올인성 전략 시 주로 픽이 되는 전차이다. 5대의 AMX 50 100을 선택하여 적진에 난입. 한 발의 실수 없이 모든 포탄을 다 명중시킨다면 눈앞에 보이는 적들은 모두 다 깡통 신세일 것이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일이나 이론으로는 가능한 놀라운 공격 능력이다. 대회에서는 주로 파트너 IS - 3과 함께 행동하며 IS - 3의 첫 탄 명중 후 남은 적을 파괴하는 역할을 맡는다.



넓은 시야와 빠른 기동 그리고 6발의 클립 탄창. 프랑스 경전차 AMX 1390. / 픽률 50%


▲ AMX 1390

악마의 달구지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는 프랑스 경전차. 기동능력과 위장력이 뛰어나서 정찰이나 적 후방 공격의 역할을 맡고 있다. AMX 50 100보다 공격력은 조금 낮으나 동일한 6발의 클립 탄창은 중전차 조차도 무시할 수 없는 위력을 보인다.

대회에서는 광산, 절벽 맵 등에 높은 픽률을 보인다. 주로 빠른 기동을 이용하여 적 병력 움직임이 내려다보이는 고지를 점령하거나 측면 빈틈을 공략해서 6발의 포탄을 쏟아붓는 역할을 한다. 울프팩을 이용하기보다는 단독 행동을 하는 것이 더 위협적이며 적 중전의 포신을 이리저리 돌리는 것에 중점을 둔다.



단단한 포탑을 지닌 언덕 요정 T32. / 픽률 21%


▲ T32

언덕 요정이란 애칭으로 불리고 있는 전차 T32. 10티어 전차도 쉽게 관통시키지 못하는 298mm 두께의 포탑을 가지고 있다. 부각이 무려 -10도나 되므로 포탑의 단단함과 부각을 살려 헐다운 전략을 주로 이용하는 전차이다. 빠른 조준시간은 이큅 선택에서 조준기 대신 환풍기를 달 수 있게 한다.

대회에서는 언덕이 많은 광산과 절벽 맵에서 사용되었다. Noa팀은 AMX 1390으로 적의 움직임을 묶어두었고 그 사이 T32는 안전하게 언덕에 도착하여 견제를 시작했다. 단단한 포탑은 적 T69의 탄을 소모하게 했고 재장전 시 들어간 순간 나머지 전차들의 화력으로 승리할 수 있었다. 언덕이 있는 맵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전차이다.



▣ 특이한 경우로 대회에 등장한 전차.



WTKL리그 A조 패자전에서 Shield팀이 사용한 Type 59. / 1회 등장


▲ Type 59

모든 유저들의 선망인 중국 프리미엄 중형 전차 Type 59. 단단한 포탑과 준수한 기동을 바탕으로 울프팩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전차. Shield팀은 Type 59 전차 3대로 적 본진 캡을 시도. 적 주력 병력에 혼란을 유도했지만, AEGIS팀의 빠른 병력 정비로 크게 이득을 보지 못하고 패배.

7 : 7 전투인 대회에서 Type 59 의 울프팩은 T69 울프팩에 비해 위력이 떨어진다. 대회에서 Type 59 전차를 이용하려면 좀 더 많은 전략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TKL리그 B조 IWK_개마무사팀이 사용한 영국 중전차 Caernarvon. / 2회 등장


▲ Caernarvon

Caernarvon의 장점을 보자면 빠른 조준시간과 명중률, 연사속도로 볼 수 있다. 중전차 임에도 불구하고 7초대 연사력을 보여주지만 낮은 230 공격력으로 인해 라인에서 딜 교환은 다소 불리하다. 장거리 전투에 특화된 전차이기 때문에 근거리 전투는 피하는 것이 좋다. 날카로운 입사각을 지닌 차체 상판은 골탄으로도 관통이 힘들다.

무작위 전투에서도 많이 보이지 않는 영국 중전차. 대회에서도 설마 픽이 될지는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상대선수가 약점을 모르는지 IWK_엄마 선수의 Caernarvon는 적은 체력으로 상당히 오랜 시간을 버텼다. 만약 다시 대회에 Caernarvon이 등장한다면 영국 중전차까지 대비한 선수들에 의해 손쉽게 파괴될 것이다.



WTKL리그 B조 IWK_개마무사팀이 사용한 중국 중전차 110. / 2회 등장


▲ 110

중전차 중 준수한 DPM을 가지고 있는 중국 중전차 110. 8초대의 장전시간과 높은 도탄율의 차체 상판은 1 : 1 전투 시 높은 승률을 보장해준다. 아쉬운 공격력은 라인전에서의 딜교환을 꺼리게 하지만 난전을 유도하는 전략을 사용할 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대회에서는 상대 전차픽이 까다로워 전략을 예측하기 어렵거나, IS - 3보다 공격적인 전략을 사용할 시 사용이 가능하다. 어느 전략이든 어울리는 전차이기 때문에 상대에 대응하기 쉽고, 준수한 DPM은 공격전략에 알맞다.



WTKL리그 B조 Free Be Druggie팀이 사용한 미국 프리미엄 중전차 T34. / 1회 등장


▲ T34

미국 T32 전차와 같은 단단한 포탑을 자랑하는 프리미엄 중전차. T32보다는 느린 연사력의 주포를 가졌지만, 평균 공격력 400이기 때문에 언덕 딜 교환에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느린 이동속도와 얇은 차체 장갑을 가지고 있기에 기동력이 필요한 맵에서는 사용이 제한되겠지만, 광산이나 절벽과 같은 작은 맵에서는 그 단점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WTKL리그 B조 Free Be Druggie팀이 사용한 영국 1티어 중형전차 Vickers Medium Mk. I. / 1회 등장


▲ Vickers Medium Mk. I

느린 추중비(8.5)와 최고 속도 24(km/h)를 가지고 있는 영국 중형전차 Vickers Medium Mk. I.
평균 공격력이 70이기에 1티어 전차는 단 두 방에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얇은 장갑과 느린 이동속도는 대회에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평을 받는다. Free Be Druggie팀은 Vickers Medium Mk. I를 T32, T34의 차체 하단 방어용으로 사용하려 한 듯하다. T 1보다 Vickers Medium Mk. I 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피탄 면적을 더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WTKL리그 B조 IWK_개마무사팀이 사용한 소련 8티어 구축전차 ISU-152. / 1회 등장


▲ ISU-152

평균 공격력 750의 10티어 주포를 가진 소련 8티어 구축 ISU-152. 이큅과 소모품 사용 시 장전시간이 14초대. 위장력도 상당하기 때문에 사격하기 전에는 쉽사리 발각되지 않는다. 포각이 좁고 명중률이 낮은 편이지만 한 발의 위력으로 모든 것을 커버하는 전차. 개활지나 평지 맵에서 이 전차가 버티고 있다면 적들은 라인을 돌파하기가 굉장히 어렵다.

8강부터는 맵이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SU-152를 활용한 전략이 많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프로호르프카의 경우 ISU-152의 성능을 100% 발휘하기 알맞은 맵이다. 2대의 ISU-152 전차가 14초 간격으로 적 전차를 파괴하는 모습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