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실제 인물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물을
황소 40마리 가격인 엽전 4천냥에 팔아먹었다는 일화는
한국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 봤을 이야기이다.


지금이라면 사기 수법으로 쇠고랑을 찼을 지도 모르는 이 사건은
당시 양반 시대의 부조리함과 지난친 욕심을 부린 상인 계층을 속여먹은
김선달의 행위와 함께, 현재는 해학과 풍자가 듬뿍 담겨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 돌아와 자신이 즐기고 있는 온라인 게임안에서 거래를 했을 때
사기를 당했다면 해학이나 풍자와는 거리가 먼 가상세계의 악몽으로 다가오게 된다.


헬게이트: 런던이 열린지도 2주가 지난 지금
처음 오픈 베타 서비스가 열린지 며칠이 지나서부터
슬슬 거래 사기를 당했다는 글이 조금씩 등장하더니 이제는 심심찮게 찾아 볼 수 있다.



[몇월 며칠자 버젼으로 사기용의자의 목록이 작성되고 있다.]



현재 헬게이트: 런던에서는 경매장이나 위탁 상점과 같은
유저간 거래 시스템이 아직 구현되지 않아
오직 직접 맞대면해 물건을 직접 확인하고 거래하는 방식이 주가 되고 있다.


☞ 헬게이트의 거래 방식에 관한 기사 바로가기!





헬게이트의 거래 방식은 서로 거래할 품목을 정한 뒤 양쪽 모두 '수락 하겠습니까?
버튼을 눌러 확인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헬게이트 런던을 플레이하는 유저들이 주의해야할 사기 유형은
수락하겠습니다 버튼이 눌러지기 직전에 바로 거래창의 금액을
바꾸어 기입하는 수법으로 유심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당하기 쉬운 유형이다.



[거래 품목을 올려놓은 뒤.]




[거래 가격을 재빨리 바꿔 기입하는 수법.]



특히 사기 거래 수법을 행하는 유저들이 목표로 삼고있는 것은
비싼 가격에 팔리는 널리 알려진 칠지도와 같은 고유 아이템의 경우가 대부분이며,

비록 거래하는 품목의 변경되거나 금액이 바뀌면 거래 인터페이스의
수락하겠습니다 버튼이 자동적으로 비활성화 되는 안전 장치가 존재하고 있지만,
마치 실수인척 거래 금액을 여러번 바꾸어
상대방의 방심을 유도하는 수법을 병행하고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결국 사기는 심리전이다.]



타게임에서 적용중인 경매장이나 개인 상점 사기의 경우에는
일종의 '낚시'와 비슷하게 미끼를 뿌려두고 유저가 낚이기만을 기다리는
낚시와 비유할 수 있는-비교적-미온적인 것이었다면

유저들끼리의 교환 시 발생하는 거래 사기는 한 플레이어가 타 플레이어를 속이겠다는
확실한 의사를 가지고 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보다 악질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사기가 가능하게 된 것은 헬게이트의 거래 시스템이
금액을 쉽게 바꿔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액수 단위가 변경된다해도
많은 액수가 거래 될 때에는 그 차이를 쉽게 발견할 수 없다는 것에도 있다.


이러한 개인상점에 관련한 악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 온라인 게임에서는
아이템의 가격을 단위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리니지2의 경우가 그 중 하나로 개인 상점에 올라온 아이템의 가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마우스을 옮겨 커서를 아이템에 올려두기만 하면 되며
단위마다 각각 다른 색을 가지고 있어 그 확인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설정된 단위마다 표시되는 색이 다르고 한글로도 나타난다]



또한 숫자로 표시된 아이템의 가격 밑에 한글로도 가격이 표시되어
-"0"이 많이 붙어 자칫 확인하기에 눈이 피곤할 수 있는-
숫자로 되어있는 가격을 일일히 확인할 필요가 없어 그 편리함은 더욱 크다.



[가격을 입력할 때에 단위마다 색이 바뀐다]





마비노기의 경우에는 아이템의 가격을 단순한 숫자나 한글만이 아니라
숫자와 한글을 혼합하여 파악할 수 있게 했는데,
예를 들어 100000 골드의 금액을 10만 골드라 표시하거나
225000000 골드의 금액을 225만이라 표시되게 함으로서 그 인지를 더욱 쉽게 했다.



[숫자와 한글이 혼합되어 사용된 가격 표시]



이렇게 가격에 따른 색의 구분과 함께 가격이 한글로 표시되거나
가격대의 표시 방법에 약간의 차이만 두어도 관련
사기에 대한 방지책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특별한 해결책이 있기 전까지는 개인 상점을 이용하는 유저들의
각별한 주의만이 그 해결책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유통사인 한빛 소프트는 계속해서 사기에 관한 게시글이 올라오자
사태 해결을 위해 해당 사례에 대한 예를
개발사인 플래그쉽에 전달하는 등, 곧 대책이 마련될 예정이다.



[제재와 함께 곧 대응책이 마련될 계획이라 한다.]



iNVEN Curry
(curry@inv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