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1일 풍림화산에는 반복 협행이 업데이트 되었다. 대상 몬스터, 잡는 마리수, 보상이 모두
랜덤하게 주어지는 처음 등장한 후 잡는 시간이 너무 짧고, 잡아야 하는 몬스터의 수는 너무 많은데
비해 보상은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에 따라 13일 업데이트로 동일한 제한 시간 내 퇴치 대상
몬스터의 마리수가 50% 이하로 감소하였고 보상 또한 줄어든 몬스터 사냥수에 따라 조절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많은 유저들은 반복 협행을 수행하는 노력 및 소모 비용에 비해
보상이 적다는 의견을 보였다. 개발팀 인터뷰에서는 40레벨 기준으로 그 이하는 보상이 적은 편이고,
그 이상은 보상이 많은 편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정말로 보상이 레벨에 따라 그렇게 좋지 않은 것일까?
먼저 실제 반복협행을 하고 있다는 유저를 만나 의견을 들어 보았다.


◆ 반복협행, 현재 하고 있는 유저의 평가는?


실제로 게임 안에서 만난 조 캐릭터 유저 루나티카는 반복협행에 대해 한마디로 “노가다”라는
표현을 썼다. 하다보면 나중에 무언가 좋은 것을 주지 않을까 기대하는 마음에 계속 하고는
있지만 너무 힘들어서 다른 퀘스트 하는 짬짬이 하는 정도라고 한다.


방어력이 부족해 협행 수행중 잘 죽는데 한 번 죽으면 시간을 5분 정도 손해 보게 되고
20레벨대는 30분 제한으로 진행하기에 두 번 이상 죽을 경우 협행을 포기하는 게 낫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게다가 선정되는 몬스터 또한 랜덤이기에 마을에서 먼 곳에 있는
몬스터가 선정될 경우는 정말 힘들다고 한다.


그에 비해 2번의 협행에서 모두 돈 보상을 받았는데 6~7000냥 정도만 받았다면서
협행을 하는 데 들어가는 노력에 비한다면 25000정도는 줘야 하지 않느냐고 했다.






40레벨 이상 반복 협행을 하고 있다는 선 캐릭터 유저 엘비라 역시 보상이 그리 만족스럽지는
않다는 평가를 했다. 주로 물약이나 돈 보상을 받았다고 하는데 돈 보상은 드는 비용이 충당되는
정도, 보상 물약의 양도 선 캐릭터다보니 물약 소비량이 많아 받자마자 거의 소비된다고 했다.


게다가 협행을 하기 위해 이동하는 장소가 설원 / 화산 지역이다 보니 이동 비용도 만만치 않고
잡는 것도 힘들다는 평가를 했다. 하지만 보상인 대형 금창약의 사용량이 많다보니 아쉬울 때
하는 편이라고 한다.




개발팀의 이야기와는 달리 40레벨도 이익이 꽤 크지 않다는 의견을 들었다. 과연 어느쪽이
진실이고 반복 협행의 효율은 실제로 어느 정도인 것일까? 궁금해진 기자는 40레벨 조 캐릭터와
20레벨 조 캐릭터로 직접 반복협행을 받아 그 효율을 고찰해 보았다.


◆ 풍림 실험실 : 보상 효율 확인하기 1 - 일단 받고 보자!


실험대상이 된 캐릭터는 20레벨과 40레벨 조 캐릭터이다. 각 캐릭터의 장비에는 옵션 차이가 약간
있으나 실제 게임 상에서 큰 영향을 줄 정도의 옵션은 아니므로 무시했다. 공평함을 기하기 위해
물약은 둘 다 중형 금창약만을 먹었고, 스킬은 둘 다 사용하지 않았다.



[ 20레벨 조 캐릭터의 장비 ]




[ 40레벨 조 캐릭터의 장비 ]



일단 두 캐릭터 모두 10번씩 반복 협행을 받아보았다. 매번 받을 때마다 레벨당
협행 수락 금액이 소모가 되기 때문에 자금 관계상 많은 수의 비교는 하지 않았다.



[ 20레벨 캐릭터가 받은 반복 협행 대상 몬스터 및 수량, ]




[ 40레벨 캐릭터가 받은 반복 협행 대상 몬스터 및 수량 ]



20레벨에 받은 반복협행에서 잡아야 하는 몬스터의 레벨은 20레벨에서 22레벨이 주 대상이었고
40레벨에 받은 반복협행에서 잡아야 하는 몬스터의 레벨은 40레벨에서 42레벨까지가 대상이었다.
자신보다 낮은 레벨의 몬스터는 일단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레벨 협행 몬스터는 종류가 적어 10번 받아본 안에서 몬스터가 자주 겹쳤으나
40레벨 협행 대상 몬스터는 그 종류가 좀 더 많아 전혀 겹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등장했다.


잡아야 하는 수량은 모두 각각 달랐지만 20레벨은 종류별로 10~25 사이, 총 45~60 마리 정도
잡는 편이었고 40레벨은 2종류별로 20~35 사이, 총 60~100 마리 정도를 잡아야 했다.
예외적으로 40레벨에 잡는 몬스터 중 “흑영사” 만은 항상 10마리 미만의 숫자만 잡으면 됐는데
이는 함께 잡는 다른 몬스터와 다른 지역에 등장하기 때문인 듯 보였다.


그에 비해 10회간 협행 완료시 받는 보상은 3가지 종류로 돈만 주는 보상, 돈과 물약을 주는
보상, 그리고 경험치와 돈을 주는 보상이 있었다. 10회의 협행 중 내용이 중복되는 것으로 봐서
레벨에 따라 보상이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



[ 10회 수락시 보상 결과 - 물약 보상의 경우 둘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다. ]



◆ 20레벨 협행 수행, 드는 비용과 보상 비교!


일단 반복협행을 받으려면 레벨별로 정해진 금액을 내야 한다. 20~29레벨에는 2000냥이
1회 협행 수락과 동시에 자동 지급된다. 이 돈은 협행을 중도 포기해도 돌려받지 못한다.



[ 실패하거나, 중도 포기해도 협행 수락비용은 돌려받지 못한다. ]



가장 많이 들어가는 비용은 뭐니뭐니해도 중형 금창약 비용이다.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체험상 반복 협행 1개를 수행하는 데 드는 중형 금창약 수는 50~60개 가량드는 편이었다.

중형 금창약 1개를 제작하는 데 금창약 2개가 들어가므로 직접 제작 시 개당 100냥이 들고,
다른 유저에게 구입할 경우 서버에 따라 다르지만 제작 수고료가 붙어 개당 120~130 사이에
거래된다. 그에 따라 물약 구입에 드는 비용은 실제 제작시 5000~6000냥, 유저에게 구입할 경우
6000~8000냥 정도 든다.






여기에 더해 아직 반복협행은 태산성 지역에서만 받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한 시간내에 보고까지 마치려면 매 협행마다 이동 부적을 왕복으로 구입하게 된다.
태산성, 수호맹 / 사해맹 이동 부적은 개당 2000냥이므로 왕복 4000냥이 든다.


이에 따라 20레벨대에서 협행을 수행하는 데 드는 총 비용은 협행 수락비 + 금창약 비용 +
이동 부적 비용 = 2000 + 5000~8000 + 4000 = 11000~14000 가량
이다. 여기서 물약을 좀 더
비싸게 구입하거나, 소비량이 많아지면 금액은 더욱 늘어난다.


그에 비해 확인된 보상은 20레벨 에서는 보상금 15600 / 보상금 3000 + 중형 금창약 50
or 중형 죽엽청 50 / 경험치 50025 + 보상금 3000
중 한 가지가 랜덤하게 제공되었다.
보상금은 들어가는 비용과 비슷하고 금창약 보상은 딱 먹는 분량 정도이기 때문에 오히려
협행 수락비용에 부적 가격까지 합하면 적자가 된다.


경험치를 줄 경우가 그나마 좋지만 동일한 시간 동안 한 자리에서 협행 몬스터 중 가장 높은
22레벨 몬스터를 끊임없이 잡을 경우 얻게 되는 총 경험치와 비교해보면 역시 이익은 적다.
게다가 경험치를 항상 주는 것이 아니므로 경험치 퀘스트를 받고 싶다면 매번 수락 비용을 내고
내용을 확인한 후 아니면 포기하고 다시 받는 등의 추가 비용이 든다.



[ 22레벨 몬스터를 20레벨에 잡을 경우 1440의 경험치를 얻는다. ]



▣ 20레벨대 반복협행 가격 비교 간단 정리

ㅁ 협행 수락 비용 : 2000냥
ㅁ 협행 수행 중 들어간 금창약 : 50~60개
→ 금창약 제작 또는 구입비용 : 5000~6000냥(일반 제작),
6000~8000냥(일반 제작이 아닌 경우)
ㅁ 마을간 이동에 드는 부적 : 태산성 이동부적 1개,
수호/사해지역 이동부적 1개.
→ 부적 가격 : 2개 합쳐 4000냥


▶▶ 협행 수행에 드는 총 비용
: (2000)+(5000~8000)+(4000)= 11000~14000

▷▷ 실제 협행 보상 : 보상금 15600 / 보상금 3000+중형 금창약 50
or 중형 죽엽청 50 / 경험치 50025 + 보상금 3000




◆ 40레벨 협행 수행


반복협행을 받으려면 레벨별로 정해진 금액을 내야 한다. 40~49레벨에는 6000냥이
1회 협행 수락과 동시에 자동 지급된다. 이 돈은 협행을 중도 포기해도 돌려받지 못한다.



[ 실패하거나, 중도 포기해도 협행 수락비용은 돌려받지 못한다. ]



상대 공격력이 상당히 높아지지만 자신의 HP도 많아지기 때문에 중형 금창약의 소비량은
20레벨에 비해 차이는 적었다.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체험상 반복 협행 1개를
수행하는 데 드는 중형 금창약 수는 80~100개 가량
드는 편이었다.


중형 금창약 1개를 제작하는 데 금창약 2개가 들어가므로 직접 제작 시 개당 100냥이 들고,
다른 유저에게 구입할 경우 서버에 따라 다르지만 제작 수고료가 붙어 개당 120~130 사이에
거래된다. 그에 따라 물약 구입에 드는 비용은 실제 제작시 8000~10000냥, 유저에게 구입할
경우 9000~13000냥 정도 든다.






여기에 더해 아직 반복협행은 태산성 지역에서만 받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한 시간내에
보고까지 마치려면 매 협행마다 이동 부적을 왕복으로 구입해서 이동하게 된다.
태산성 , 수호맹 / 사해맹 이동 부적은 개당 2000냥이므로 왕복 4000냥이 든다.


게다가 40레벨 이상 반복 협행 수행지역인 설원 / 화산 지역은 수호맹 / 사해맹 지역의
항구 관리인을 통해서만 갈 수 있으며 1회 7000냥이 더 소모된다.


이에 따라 40레벨대에서 협행을 수행하는 데 드는 총 비용은 협행 수락비 + 금창약 비용 +
이동 부적 비용 + 설원 / 화산 이동비 = 6000 + 9000~13000 + 4000 + 7000= 25000~30000 가량
이다.
여기서 물약을 좀 더 비싸게 구입하거나, 소비량이 많아지면 금액은 늘어날 수 있다.


그에 비해 확인된 보상은 40레벨 에서는 보상금 53000 / 보상금 8000 + 대형 금창약 100
or 대형 죽엽청 100 / 경험치 162000 + 보상금 8000
중 한 가지가 랜덤하게 제공되었다.


들어가는 최소 비용에 비해 2배 가까이 되기에 보상금이나 경험치는 꽤 넉넉한 편이고,
대형 금창약은 한 번에 100개를 주기 때문에 의외로 넉넉하다. 이전까지 중형 금창약을
구입해 썼다면 앞으로는 이 퀘스트로 대형 금창약을 모아 사냥에 써도 될 것 같다.


하지만 이동 시간이 20레벨에 비해 기본적으로 길어지는 것도 있고(사해 / 수호 → 항구 이동)
잡아야 하는 몬스터의 수량이 늘어난 것에 비해 제한 시간은 딱 1시간으로만 정해져 있어
사망 시 협행 수행의 어려움은 그대로 남아있다.


▣ 40레벨대 반복협행 가격 비교 간단 정리

ㅁ 협행 수락 비용 : 6000냥
ㅁ 협행 수행 중 들어간 금창약 : 80~100개
→ 금창약 제작 또는 구입비용 : 8000~10000냥(일반 제작),
9000~13000냥(일반 제작이 아닌 경우)
ㅁ 마을간 이동에 드는 부적 : 태산성 이동부적 1개,
수호/사해지역 이동부적 1개, 항구 이동
→ 부적 가격 : 2개 합쳐 4000냥 , 설원 / 화산 지역 이동 : 7000냥


▶▶ 협행 수행에 드는 총 비용
: (6000)+(9000~13000)+(4000)+(7000)= 25000~30000

▷▷ 실제 협행 보상 : 보상금 53000 / 보상금 8000 + 대형 금창약 100
or 대형 죽엽청 100 / 경험치 162000 + 보상금 8000



◆ 꽁수 찾아보기 - 동행 사냥은 어떨까?


반복 협행은 비록 공유되지 않지만 반복 협행에서 잡아야 하는 몬스터 숫자는 동행원이 잡아도
인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몬스터를 잡는 유저와 동행을 맺고 하면 조금 더 빠르게 잡을수도
있지 않을까 하여 실험적으로 같은 레벨의 다른 기자와 함께 반복 협행 수행을 시도해 보았다.


그러나 이 역시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 몬스터의 종류, 수량이 랜덤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두 사람이 받은 반복 협행에서 세 종류의 몬스터가 모두 겹치는 일은 없었고, 그나마 일부가
겹쳐도 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제한 시간 내에서 동행원의 몬스터까지 모두 잡기는 불가능했다.



[ 한 사람이 그 자리에서 계속 받아도 이렇게 내용이 다르다. ]



그렇기 때문에 굳이 동행해서 빨리 하고 싶다면 해당 몬스터를 자리잡고 사냥하는 유저와
수량이 맞을 때까지만 동행을 맺었다 완료하면 동행을 파기하고, 다른 몬스터를 잡고 있는
유저와 다시 동행을 맺는 방식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해당 몬스터를 잡고 있는 유저가 사실상 반복협행을 하는 유저만 이득이 있는 이런
약간은 이기적인 조건의 동행을 맺는 것을 귀찮아 하지 않고 수락해 줘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 역시도 그리 쉽지는 않다.



[ 혼자 하는게 여러모로 마음도 편하다. ]



지금까지 현재 진행되는 반복협행의 효율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유저들의 평가를 기준으로
실제 실험을 통해 들어가는 비용 대비 보상과 비교를 해 보았을 때 20레벨대는 확실히
난이도에 비해 보상이 적다는 느낌이 강했다. 40레벨대는 보상만 본다면 그럭저럭 할 만 하지만
협행 수행 난이도가 그만큼 올라가기 때문에 이 역시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복 협행에 대해서는 풍림화산 개발팀 인터뷰에서도 밝힌 사실로 저레벨, 고레벨 모두
추가 수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부디 앞으로 더 나아져서 많은 유저들이 이용하는
협행이 되기를 바란다.



[ 인터뷰에 응해주신 엘비라님, 루나티카님 감사드립니다. ]



Inven EST (est@inv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