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막 업데이트로 신규 대도시 외에도 다양한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먼저 리뉴얼된 열혈농장은 자원을 캐서 생산 건물을 짓고 건물에서 아이템을 제작하는 생산활동과 더불어 타인의 농장을 방문하거나 자신의 농장을 타인이 방문하는 등 소셜네트워크 장르의 요소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속성 개념 및 속성 보주 시스템과 자신과 생성 날짜가 같은 유저를 확인할 수 있는 동기생 시스템, 미접속 기간 동안 추가 획득 공명도가 누적되는 휴식 공명도 시스템 등이 추가되었다.



  • 리뉴얼된 열혈농장

    열혈농장이 새롭게 리뉴얼되었다.

    꾸미기 기능이 전부였던 기존의 열혈농장은 리뉴얼을 통해 자원을 캐서 건물을 짓고 특수 아이템을 생산하는 등의 추가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첫 입장 시 간단한 튜토리얼 진행으로 열혈농장의 순환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다.




    [ 리뉴얼 후 첫 입장 시 진행할 수 있는 튜토리얼 퀘스트 ]


    NPC에게 자원을 캐는 도구를 구매하고, 획득한 자원을 이용해 건물을 짓는다. 모든 건물을 종류마다 필요 자원, 생산 아이템이 다르며 일정 수준으로 농장을 꾸미면 인접한 더 넓은 땅으로 농장을 확대할 수도 있다.




    [ 자원을 채취하는 모습 ]


    [ 채취한 자원으로 건물을 짓는다. ]


    [ 건물에서는 신수 먹이, 전문기술 재료 등 다양한 아이템을 생산할 수 있다. ]


    생산 아이템 중에는 외부에서 구할 수 없는 특이한 아이템들도 있으며, 희귀도가 높은 아이템일수록 생산시간이 길어진다. 특히, 신수의 경험치를 채워줄 수 있는 특수 작물과 해당 생산 건물은 이미 고수들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 필드 사냥 없이 신수의 경험치를 올릴 수 있다. ]



  • 속성 시스템과 속성 보주 등장

    새로 등장한 속성 시스템은 염화, 수류, 금철이라는 세 가지 속성을 몬스터와 무기, 장비 등에 적용해 추가 데미지 및 방어력 효과를 받는 것을 말한다.

    염화는 불, 수류는 물, 금철은 철의 속성을 가지게 되며 속성 보주를 통해 무기나 장비에 속성 공격력 및 방어력을 부여할 수 있다. 속성 보주는 보주 전문기술로 제작하며, 마찬가지로 보주사 NPC를 통해 속성 보주 홈을 생성할 수 있다. 속성 보주 홈 생성 역시 기존 보주 홈과 같이 실패 확률이 존재하고 재생의 망치로 복구할 수 있다.




    [ 속성 보주 홈 생성 화면 ]


    속성 보주를 툴팁을 보면 해당 속성 공격력과 방어력이 얼마큼 올라가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몬스터 역시 대상정보창을 통해 어떤 속성을 가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 공개된 속성 보주 툴팁 ]


    [ 몬스터의 속성도 확인할 수 있다. ]



  • 동기생 시스템 추가

    동기생 시스템은 파벌을 불문하고 현재 타겟이 자신의 캐릭터와 같은 날짜에 생성된 캐릭터일 경우 대상의 ID 뒤에 [동기생]이란 칭호를 붙인다.

    동기생 시스템을 가장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바로 자기 자신을 타겟하는 것이다. 키보드 설정 → 목표 선택 단축키 탭에서 자신 선택 단축키를 확인할 수 있다. 자기 자신을 선택하면 ID 뒤에 [동기생] 칭호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자기 선택 단축키 ]


    [ ID뒤에 동기생이란 칭호를 확인할 수 있다. ]


    동기생 시스템은 동기생 칭호를 붙여주는 것 외에는 다른 특별한 효과가 없으며, 현재 아군이나 적군이 자신과 비슷한 플레이 타임을 가지고 있고,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 휴식 공명도 시스템

    1일 이상 접속을 하지 않은 캐릭터에게 일정량의 추가 공명도를 획득할 수 있게 해주는 휴식 공명도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휴식 공명도 수치는 하루에 2400씩, 최대 1주일까지 누적되며, 접속 후 몬스터를 처치할 때마다 2씩 소모된다. 소모된 휴식 공명도 수치는 소모되면서 실제 공명도 수치와 1:1로 전환된다.




    [ 특수자원 오브 하단에서 누적량을 확인할 수 있다. ]


    [ 전투 메시지로 추가 공명도 획득이 표시된다. ]




    Inven Moch
    (Moch@inv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