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사의 드로우카드 신의은총입니다.
보통 지축과 신의은총,신의축복을 3대 드로우카드로 꼽습니다.(천벌의망치는 제외)
예전에는 지축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비트덱이 유행하면서 신의은총도 더 치고올라왔죠(비트덱의 영향이 큼)
비트덱과 같이 초반에 손패 상관없이 몰아치고 중~후반에 왕창드로우하는 형식이 일반적입니다.
타이밍 잡기가 애매하다 싶으면 2드로우는 본전 3드로우이상 이득이란 생각으로 플레이하시면 됩니다.
사제나 법사전에 특히 그 효율이 높고 저 개인적으로도 지축보다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성기사 전용 하수인 알도르입니다.
코스트대비 공체합은 6으로 준수한 편이고 특능이 주문카드 겸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보통 고코 혹은 4~5코스트 하수인을 저격하는데 사용하기도 하며 상대 버프괴물을 저격하는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코스트도 3코대비 능력치는 매우 훌륭한 편이라 초반 필드 장악을 위해 상대 수액괴물이나 2코 3/2하수인을 저격하는데 사용해도 무난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이놈때문에 겸손을 안쓰죠.... 보통 1장은 꼭 필수로 들어가고 2장은 취향입니다.
참고로 사제-빛의정령에게는 효과발동하지 않습니다.(겸손포함)

버프류 무기 정의의칼날입니다.
보통 무기류는 상대의 하수인을 제압하거나 직접 캐릭터를 공격하는데 쓰이지만 정칼은 쓰임새가 조금 다릅니다.
자신이 내는 하수인의 공체를 +1 올려줍니다.
코스트대비 효율은 매우 뛰어난 편에 속합니다. 3/2 하수인이 -> 4/3하수인이 됩니다.
총 5명의 하수인을 버프시켜 줄 수 있습니다. 물론 무기이기 때문에 공1 공격도 가능합니다.
사용법은 초반 3턴에 칼같이 꺼내는 경우는 드물고(초반 2~3턴이 게임의 향방을 결정할 정도로 중요하기떄문에)
최소 5코정도때 꺼내들어 신병이라도 버프시켜서 꺼내는게 일반적입니다. 자체 공격도 1가능한지라 애매하게 체력이 1남은 적하수인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기도 합니다.처음 쓰시는 분들은 무조건 버프용으로 생각하시는데 직접 공격해야 하는 상황에는 과감히 공격하셔야 합니다. 고귀한 희생을 통해 나오는 수호자도 버프해서 나오기 때문에 간혹 피1로 살아남을 때도 있습니다. 앙앙이나 은빛성기사단과 같이 종자를 데리고 나오는 하수인과 잘 어울립니다. 1장은 필수라고 생각하고 2장은 취향입니다.


하스스톤은 무기류 카드가 모두 성능이 좋습니다.(빛정은 제외합시다..)
그중에서도 발군의 성능을 자랑하는 진은검입니다. 이놈 때문에 비트덱이 판칠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코스트대비 공격력은 준수하고 공격시 자힐2를 제공합니다.단순하게 공4짜리 마법카드를 두번쓴다라고 생각하셔도 편합니다. 초반에 하수인들끼리 힘싸움을 해주면서 상대 2~3피를 가진 하수인들을 처치하고 자신의 하수인을 살리는 필드장악형으로 사용합니다. 깨알같은 2힐이라 캐릭터가 입는 피해도 크지 않고 공4이기 때문에 앵간한 코4하수인들도 처치가능합니다. 요즘 많이 쓰는 5코 하수인 하늘빛비룡도 한방이기 때문에 어느덱을 짜건 2장은 필수로 들어가는 필카입니다.
요즘은 상대편도 수액괴물 1장은 거의 필수로 들어가있기 때문에 처음 장착하자마자 한대는 때리시는게 팁이라면 팁입니다.(적 영웅을 공격하건 하수인을 처치하건)


성기사의 최강버프스킬 왕축입니다.
하수인에게 공체+4를 시켜주는 버프형 스킬입니다.(물론 영구적입니다.)
예전에는 2장 필수로 들어가는 카드였지만 현재는 1장 혹은 아예 넣지 않는 추세입니다.(이게 다 비트덱 때문ㅇ....)
비트덱 돌리시는 분들도 보통 1장 넣는걸로 알고 있고 4코대비 효율은 좋습니다.
단순하게 4코 하수인 4/4를 소환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보통 사용법은 신병 혹은 은빛 종자에게 써주는 게 좋습니다. 물론 고코하수인에게 써주면 좋지만 침묵,변이,암살등등
2턴을 버티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어그로 분산용으로 하급 하수인에게 써주는게 일반적입니다.
은빛 종자와 같은 천상의 보호막을 가지고 있는 하수인과 사용하기 좋고 은빛부대장과 함께 한턴 8데미지를 줄수 있습니다.

성기사의 유일한 광역피해마법인 신성화입니다.
코스트대비 능력은 평범한 편에 속하지만 광역피해마법이라는 점에서 일단 높은 점수를 줍니다. 성기사는 은신한 적을 처치할 수단이 전무한데 신성화로 처치가능합니다.(응징의 격노는 운빨이 필요한지라 제외) 흑마법사의 피의임프를 처치할 수단이 없는데 신성화가 유일합니다. 개인적인 팁으로는 흑법사나 도적이랑 할때 신성화가 들어올때까지 무조건 패를 돌립니다.(물량덱으로 의심되면 첫턴에 신성화잡도록 노력하시면 좋습니다.) 
요즘같은 초반 힘싸움이 좌지우지하는 판에서 신성화는 역전의 발판을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
단일 수단으로 사용해도 좋고 평등+신성화 콤보로 자주 사용 됩니다.
주문력의 영향을 받으므로 코볼트 흙점쟁이와 같은 주문력하수인과 같이 깜짝 3뎀을 주는것도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2장 추천드립니다.(참고로 적 캐릭터까지 공격합니다.)

위에 언급했다시피 성기사의 주문피해카드는 효과가 매우 낮습니다.
그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카드입니다. 5코스트라는 높은 코스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능력치는 운이 작용합니다.
빅덱으로 꾸릴시 최대 20의 피해를 줄 수도 있으나(용암거인) 발동 조건도 까다롭고 그런 도박을 할 사람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우선 코스트가 너무 높아서 사용하기도 껄끄럽고 결정적으로 운에 맡긴다는 점에서 도박성이 짙은 카드입니다.
차라리 천벌의 망치가 코스트도 1낮고 3뎀지에 드로우 효과도 있으므로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빅덱과 같은 컨셉덱이 아니라면 절대 비추하는 카드

공격력을 2배 올려주는 버프형 주문 축복받은 용사입니다.
예전에 어떤분이 힘축걸고 왕축걸고 축용사까지 걸어서 한방 역전하는걸 본적이 있는데 그만큼의 위력이 있는 카드입니다. 예를 들어 공3짜리 수액괴물이 있다고 할시 공3+힘축3+왕축4+축용사=20뎀지가 가능합니다. 만약 고코하수인이 한턴 살아있고 저 콤보가 들어간다면 게임이 원큐에 끝날 수도 있습니다. 기본 공격력에 2배가 아닌 버프받은 상태의 공격력2배 이기 때문에 축용사+축용사 콤보도 가능합니다. 코스트가 높긴 하지만 그만큼의 가치는 뽑아내는 녀석입니다.
돌진조합이나 은신덱과 같은 특정 컨셉덱과의 효율이 좋습니다.
왕축이 4코스트공체+4를 시켜주기 때문에 최소 공5짜리 이상에게 써주는게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주문카드이긴한데 요즘 추세랑 맞지 않아 많이 쓰이지 않고 있습니다.(코스트가 높기도 하고 왕축의 하위호환같은 느낌) 나중에 추세가 변하고 카드가 좀더 많이 풀리면 재조명 받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성전사 4대 무기중 최고의 공격력을 자랑합니다.
우선 코스트가 따로 들지 않고 티리온의 죽음의 효과 발동 카드라는 점에서 매우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비슷한 무기로는 전사의 이케이나이트 도끼가 있는데 그건 5/2에 5코스트이지만 파멸의 인도자는 5/3에 티리온의 죽음의 효과이기 때문에 기본성능으로나 코스트대비로나 월등히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티리온이 없어서 써본적이 없지만 매우 탐나는 카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