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계자는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이번 일왕즉위식에 참석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경제보복 사태가 이날로 100일째를 맞았지만 일본 정부에서는 여전히 수출규제 철회를 비롯한 태도 변화 조짐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문 대통령이 직접 일본을 찾을 타이밍은 아니라는 것이 청와대의 판단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문 대통령이 일본을 찾을 경우 한일 정상회담 성사 여부에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는 점도 고려대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만일 문 대통령이 즉위식에 참석하는 '파격행보'를 하더라도, 정상회담이 불발되거나 한일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귀국한다면 그 의미가 퇴색될 우려가 있다. 실제로 청와대 내에서는 일본의 극적 태도변화 없이는 문 대통령의 즉위식 참석은 애초부터 고려할 수 없는 카드였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런 기류 속에 청와대와 정부 내에서는 이 총리의 참석 가능성에 한층 무게가 실리고 있다. 청와대와 정부는 아직 참석자 및 참석 여부 등 어느 것도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문 대통령 참석이 불발된 가운데 즉위식을 한일관계 개선의 발판으로 삼으려면 정부 내에서 '상징적' 지위를 지닌 이 총리가 역할을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번지고 있다. 일본 측에서 수출규제 사태 초기와 비교하면 다소나마 대화의 여지를 두고 있다는 점 역시 '지일파' 이 총리가 역할을 할 때라는 목소리에 힘을 싣고 있다.

















다만 청와대와 정부 내 일각에서는 이 총리의 참석 역시 다시 고민해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결정적 태도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이 총리가 가는 것이 과연 맞느냐는 의견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총리가 아베 총리를 만난다면 강제징용 문제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문제 등이 광범위하게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충분한 물밑조율을 거치지 않고 만날 경우 오히려 의견차만 확인할 위험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고민이 흘러나오면서 청와대와 정부는 이 총리 참석에 무게를 두면서도 막판까지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에서는 이 총리가 아닌 다른 인사가 '깜짝 발탁'될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조만간 방일대표단을 발표할 것"이라며 "그전까지는 어떤 것도 확정되지 않았다고 봐야 한다"라고 말했다.